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목차
Ⅰ. 서론 -------------------------------------Page 3~11
1. 연구의 목적
2.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질병의 병태생리
3). 질병의 형태
4). 질병의 원인
5). 질병의 증상
6). 질병의 진단
7). 질병의 경과/합병증
8). 질병의 치료 약물
Ⅱ.본론 -------------------------------------Page 11~48
1.자료수집 --------------------------------------------------Page 11~39
1). 개인력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신체검진
6). Lab data
7). 진단검사
8). 내과적 치료요법
9). 외과적 치료요법
2. 간호문제 -----------------------------------------------Page 40~41
3. 간호과정 적용 -------------------------------------------Page 42~48
Ⅲ. 결론 --------------------------------------Page 49~51
1. 퇴원일지 -----------------------------------------------------Page 49
2. 참고 문헌 ------------------------------------------------Page 49~50
1. 연구의 목적
2.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질병의 병태생리
3). 질병의 형태
4). 질병의 원인
5). 질병의 증상
6). 질병의 진단
7). 질병의 경과/합병증
8). 질병의 치료 약물
Ⅱ.본론 -------------------------------------Page 11~48
1.자료수집 --------------------------------------------------Page 11~39
1). 개인력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신체검진
6). Lab data
7). 진단검사
8). 내과적 치료요법
9). 외과적 치료요법
2. 간호문제 -----------------------------------------------Page 40~41
3. 간호과정 적용 -------------------------------------------Page 42~48
Ⅲ. 결론 --------------------------------------Page 49~51
1. 퇴원일지 -----------------------------------------------------Page 49
2. 참고 문헌 ------------------------------------------------Page 49~50
본문내용
4-1) 수술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여 대상자가 시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객관적 자료
장기목표
의존적 중재
ㆍ잦은 질문
ㆍ잘못된 개념
을 표현
ㆍ올바른 지식
을 알려주기
를 요망함
대상자는 잘못된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⑤: 외과적 시술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헤파린 투여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단기목표
1.규칙적인 V/S측정
2. 금기사항을 확인 한다
3.잠재적인 압박부위를 관찰
4. 헤파린 투여와 관련된 환자 교육 실시
5.헤파린 요법의 부작용 관찰 및 방지
독자적 중재
2-1)헤파린의 가장 중요한 부작용은 ‘출혈’ 이다. 이 위험성은 면밀한 환자 선택과 주의 깊은 용량 조절,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의 밀착감시 등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4-1~3)헤파린은 ‘항응고’작용을 하므로
‘출혈’ 위험성을 막기 위함이다.
5-1)출혈은 보통 수술부위, 주사부위 또는 소변에서 볼 수 있으며, 동맥 혈전증은 혈소판 응집으로 형성되고 동맥 색전증이 생기기 쉽게된다.
대상자는 출혈의 위험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활동을 하며 만족해한다..
“링거액 하나
빼는데 평상
시 눌리는 것
보다 더 오랫
동안 눌렸는
데도 지혈이
잘 안 되는
건지.. 불편해
요.”
2~3일 동안 출혈징후가 없이 항 응고 요법을 유지한다.
1-1) 혈전용해제 투여 동안에는 15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그 후 1시간 마다 측정한다.
2-1) 환자에게 과거 과민반응의 병력, 출혈 및 출혈위험성, 혈액응고검사 결과 응고간격이 적당하지 않음, 헤파린 알레르기 등의 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3-1) 혈종 또는 피부균열, 특히 천골, 등, 팔꿈치와 발목 같은 잠재적인 압박부위를 관찰한다.
4-1) 침습적 절차 및 간단한 외상에도 주의한다.
4-2)부드러운 칫솔모를 사용하여 자극을 줄인다.
4-3)혈뇨나 혈변이 있을 시 즉시 보고하도록 한다.
5-1)주사부위, 요 색깔, 동맥 색전증 여부 관찰한다.
5-2)침습적 절차가 필수적인 경우 그 부위를 30분 이상 압박한다.
객관적 자료
장기목표
의존적 중재
ㆍIV line 제거
시 오랜 지혈
로 불편해 함
ㆍHeparin sodium (25,000)
[ 1V * 1회 * 1일 ] IV
항응고 요법이 끝날 때 까지 출혈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⑥: 혈전 용해제 치료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질병의 진행과정
관련된
지식부족
단기목표
1.협심증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정도를 측정
2.협심증에 대한 교육 자료를 통해 설명
3.유발인자와 예방법을 교육
4.통증 발생시 대처방법 교육
독자적 중재
1-1) 대상자의 지식을 파악하여 알맞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1-2) 현재 환자의 지식정도의 사정은 교육내용의 기본이 된다.
2-1) 영상과 자료를 통해 대상자의 이해를 빠르고 정확하게 습득하도록 도울 수 있다.
2-3) 적절한 정보는 환자의 조절력을 증가시키고,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불안을 감소시킨다.
2-2) 꾸준히 교육하여 완벽하게 인지하도록 돕는다.
3-1) 좀더 정확하게 질병에 대해 인식하도록 도울 수 있다.
4-1) 협심통에 대처하도록 교육하여
효율적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대상자가 협심증의 유발요인에 대해 잘 이해하고, 말할 수 있었으며, 퇴원 후 일상생활을 할 때 노력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줌.
“양주를 마시
고 나서 그런
것인 줄 알고
가만히 있었어
요.”
“몇 번 아프길래 그러다가 말겠지하고 병원을 방문하지는않았어요.”
대상자는
협심증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을 습득한다.
1-1) 대상자에게 질문하면서 지식정도를 파악한다.
2-1) 협심증과 관련된 영상이나 그림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2-2) 하루에 2~3회 정도 교육하고, 궁금한 것에 대해 말하도록 격려한다.
3-1) 협심통 유발인자와 예방법을 교육한 후 질문을 한다.
4-1) 협심통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객관적 자료
장기목표
의존적 중재
ㆍ초기 질병에
대한인식이 부족함
ㆍ몇 차례의 흉
통에도 그저
술기운이라고
생각
ㆍ상황의 악화
더악화되자 병원을 방문
대상자는
협심증 유발 인자를 알고, 통증 예방을 위해 노력한다.
▶⑦: 질병의 진행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Ⅲ. 결론
1. 퇴원일지
환자는 한 달 전부터 활동 시 Chest pain이 있어 11.15일 파티마 병원에 입원하셨다. 처음 입원하셔서 가슴 쪼임과 호흡이 불편함을 호소하셨으며 진단 결과 불안정한 협심증이었다. 환자분이 가슴이 쪼이듯이 아픔과 호흡이 불편함을 호소하셔서 우선 침상 안정을 취하게 하였으며 V/S은 stable하게 나왔다. 그러나 환자분이 자신의 병과 시술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내셔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완요법을 시행하였으며, 협심증 위험요인에 대해서 교육하고 통증이 발생하였을 때 대처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자 환자분은 이해를 하시며 고개를 끄덕이셨다.
환자분은 큰 이상 없이 하루하루 잘 지내셨고 시술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시술 전과 시술 후의 V/S이 조금 불안정하게 나왔지만 이내 곧 안정되었다.
환자분은 입원해 계시는 동안 특별히 호소하시는 증상이 없어서 통증이 있을 때마다 병원에 와서 치료받기로 하시고 11.23일 날 퇴원하셨다.
2. 참고문헌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08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200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편, 1996 최신지견 내과학, 군자출판사, 1997
김조자 외,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간호과정 접근, 현문사, 1999
임난영 외,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현문사, 2000
전시자 외, 간호과정, 현문사, 2004
-참고사이트
http://www.medcity.com
http://www.druginfo.co.kr
http://www.riss4u.co.kr
http://www.ivfkorea.co.kr
-그 외 사진 검색
http://www.daum.net
http://www.naver.com
객관적 자료
장기목표
의존적 중재
ㆍ잦은 질문
ㆍ잘못된 개념
을 표현
ㆍ올바른 지식
을 알려주기
를 요망함
대상자는 잘못된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⑤: 외과적 시술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헤파린 투여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단기목표
1.규칙적인 V/S측정
2. 금기사항을 확인 한다
3.잠재적인 압박부위를 관찰
4. 헤파린 투여와 관련된 환자 교육 실시
5.헤파린 요법의 부작용 관찰 및 방지
독자적 중재
2-1)헤파린의 가장 중요한 부작용은 ‘출혈’ 이다. 이 위험성은 면밀한 환자 선택과 주의 깊은 용량 조절,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의 밀착감시 등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4-1~3)헤파린은 ‘항응고’작용을 하므로
‘출혈’ 위험성을 막기 위함이다.
5-1)출혈은 보통 수술부위, 주사부위 또는 소변에서 볼 수 있으며, 동맥 혈전증은 혈소판 응집으로 형성되고 동맥 색전증이 생기기 쉽게된다.
대상자는 출혈의 위험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활동을 하며 만족해한다..
“링거액 하나
빼는데 평상
시 눌리는 것
보다 더 오랫
동안 눌렸는
데도 지혈이
잘 안 되는
건지.. 불편해
요.”
2~3일 동안 출혈징후가 없이 항 응고 요법을 유지한다.
1-1) 혈전용해제 투여 동안에는 15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그 후 1시간 마다 측정한다.
2-1) 환자에게 과거 과민반응의 병력, 출혈 및 출혈위험성, 혈액응고검사 결과 응고간격이 적당하지 않음, 헤파린 알레르기 등의 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3-1) 혈종 또는 피부균열, 특히 천골, 등, 팔꿈치와 발목 같은 잠재적인 압박부위를 관찰한다.
4-1) 침습적 절차 및 간단한 외상에도 주의한다.
4-2)부드러운 칫솔모를 사용하여 자극을 줄인다.
4-3)혈뇨나 혈변이 있을 시 즉시 보고하도록 한다.
5-1)주사부위, 요 색깔, 동맥 색전증 여부 관찰한다.
5-2)침습적 절차가 필수적인 경우 그 부위를 30분 이상 압박한다.
객관적 자료
장기목표
의존적 중재
ㆍIV line 제거
시 오랜 지혈
로 불편해 함
ㆍHeparin sodium (25,000)
[ 1V * 1회 * 1일 ] IV
항응고 요법이 끝날 때 까지 출혈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⑥: 혈전 용해제 치료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질병의 진행과정
관련된
지식부족
단기목표
1.협심증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정도를 측정
2.협심증에 대한 교육 자료를 통해 설명
3.유발인자와 예방법을 교육
4.통증 발생시 대처방법 교육
독자적 중재
1-1) 대상자의 지식을 파악하여 알맞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1-2) 현재 환자의 지식정도의 사정은 교육내용의 기본이 된다.
2-1) 영상과 자료를 통해 대상자의 이해를 빠르고 정확하게 습득하도록 도울 수 있다.
2-3) 적절한 정보는 환자의 조절력을 증가시키고,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불안을 감소시킨다.
2-2) 꾸준히 교육하여 완벽하게 인지하도록 돕는다.
3-1) 좀더 정확하게 질병에 대해 인식하도록 도울 수 있다.
4-1) 협심통에 대처하도록 교육하여
효율적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대상자가 협심증의 유발요인에 대해 잘 이해하고, 말할 수 있었으며, 퇴원 후 일상생활을 할 때 노력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줌.
“양주를 마시
고 나서 그런
것인 줄 알고
가만히 있었어
요.”
“몇 번 아프길래 그러다가 말겠지하고 병원을 방문하지는않았어요.”
대상자는
협심증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을 습득한다.
1-1) 대상자에게 질문하면서 지식정도를 파악한다.
2-1) 협심증과 관련된 영상이나 그림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2-2) 하루에 2~3회 정도 교육하고, 궁금한 것에 대해 말하도록 격려한다.
3-1) 협심통 유발인자와 예방법을 교육한 후 질문을 한다.
4-1) 협심통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객관적 자료
장기목표
의존적 중재
ㆍ초기 질병에
대한인식이 부족함
ㆍ몇 차례의 흉
통에도 그저
술기운이라고
생각
ㆍ상황의 악화
더악화되자 병원을 방문
대상자는
협심증 유발 인자를 알고, 통증 예방을 위해 노력한다.
▶⑦: 질병의 진행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Ⅲ. 결론
1. 퇴원일지
환자는 한 달 전부터 활동 시 Chest pain이 있어 11.15일 파티마 병원에 입원하셨다. 처음 입원하셔서 가슴 쪼임과 호흡이 불편함을 호소하셨으며 진단 결과 불안정한 협심증이었다. 환자분이 가슴이 쪼이듯이 아픔과 호흡이 불편함을 호소하셔서 우선 침상 안정을 취하게 하였으며 V/S은 stable하게 나왔다. 그러나 환자분이 자신의 병과 시술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내셔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완요법을 시행하였으며, 협심증 위험요인에 대해서 교육하고 통증이 발생하였을 때 대처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자 환자분은 이해를 하시며 고개를 끄덕이셨다.
환자분은 큰 이상 없이 하루하루 잘 지내셨고 시술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시술 전과 시술 후의 V/S이 조금 불안정하게 나왔지만 이내 곧 안정되었다.
환자분은 입원해 계시는 동안 특별히 호소하시는 증상이 없어서 통증이 있을 때마다 병원에 와서 치료받기로 하시고 11.23일 날 퇴원하셨다.
2. 참고문헌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08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200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편, 1996 최신지견 내과학, 군자출판사, 1997
김조자 외,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간호과정 접근, 현문사, 1999
임난영 외,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현문사, 2000
전시자 외, 간호과정, 현문사, 2004
-참고사이트
http://www.medcity.com
http://www.druginfo.co.kr
http://www.riss4u.co.kr
http://www.ivfkorea.co.kr
-그 외 사진 검색
http://www.daum.net
http://www.naver.com
추천자료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케이스 스터디
고혈압(HTN), 당뇨병(DM)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실습 췌장암(pancreatic cancer) 케이스 스터디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Myocardial Infarction][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MI]문헌고찰
[성인간호학][Cerebral infarction][뇌경색]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추간판탈출증][HNP]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herniation of nucle...
[성인간호학][췌장암][pancreatic cancer]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실습)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
간호학과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 MI)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인격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우...
간질 성 폐질환 ILD : Interstitial lung diseas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심부전(heart failur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호흡기제거에 대한 부적응, 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