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컴효과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스컴효과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미디어 폭력성
2. 매체폭력과 현실 폭력
3. 매체폭력이 공격적 행위에 미치는 효과
4. 비열한 세상! 그 징후의 계발
5. 공포의 계발
6. 강효과or약효과
7. 누가 영향을 받을 것인가?
8. 생각해볼 문제

본문내용

1. 미디어의 폭력성
- 거브너의 폭력 효과 연구
폭력물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수용자 조사 질문
1967년 이 후 프라임 타임과 주말 낮 시간대의 네트워크 드라마
- TV프로그램의 폭력지수
TV 프로그램의 폭력지수 : 폭력 일반성 측정, 폭력적 에피소드들의 빈도와 비율, 폭력자와 희생자 배역을 맡고 있는 인물의 수

- 연구결과
1. 각각의 질문에 대한 응답은 실제와 매우 다른 비율을 보임
2. 미국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범죄는 실제는 10% 였으나, TV는 77%로 나타남
3. 중시청자와 경시청자가 서로 다른 전형적인 대답을 하는 경향이 나타남
"폭력행동의 잦은 묘사는 시청자들에게 실재 세계의 폭력발생에 대해 과대평가하게 만든다"

<중 략>

5.2 대중매체와 공포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 히스와 길버트(heath & Gilbert,1996)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은 가상현실에 대한 신념과 개인의 경험이 주요요인.

‘텔레비전 시청과 범죄우려의 관계 연구’
- 위버와 와쉬라그(weaver & wakshlag,1986)
시청자의 피해경험 또는 범죄피해자와의 유사성이 잠재적 중요 요인이 됨.
  • 가격1,5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7.03.16
  • 저작시기2017.2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021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