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디어 폭력성
2. 매체폭력과 현실 폭력
3. 매체폭력이 공격적 행위에 미치는 효과
4. 비열한 세상! 그 징후의 계발
5. 공포의 계발
6. 강효과or약효과
7. 누가 영향을 받을 것인가?
8. 생각해볼 문제
2. 매체폭력과 현실 폭력
3. 매체폭력이 공격적 행위에 미치는 효과
4. 비열한 세상! 그 징후의 계발
5. 공포의 계발
6. 강효과or약효과
7. 누가 영향을 받을 것인가?
8. 생각해볼 문제
본문내용
1. 미디어의 폭력성
- 거브너의 폭력 효과 연구
폭력물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수용자 조사 질문
1967년 이 후 프라임 타임과 주말 낮 시간대의 네트워크 드라마
- TV프로그램의 폭력지수
TV 프로그램의 폭력지수 : 폭력 일반성 측정, 폭력적 에피소드들의 빈도와 비율, 폭력자와 희생자 배역을 맡고 있는 인물의 수
- 연구결과
1. 각각의 질문에 대한 응답은 실제와 매우 다른 비율을 보임
2. 미국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범죄는 실제는 10% 였으나, TV는 77%로 나타남
3. 중시청자와 경시청자가 서로 다른 전형적인 대답을 하는 경향이 나타남
"폭력행동의 잦은 묘사는 시청자들에게 실재 세계의 폭력발생에 대해 과대평가하게 만든다"
<중 략>
5.2 대중매체와 공포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 히스와 길버트(heath & Gilbert,1996)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은 가상현실에 대한 신념과 개인의 경험이 주요요인.
‘텔레비전 시청과 범죄우려의 관계 연구’
- 위버와 와쉬라그(weaver & wakshlag,1986)
시청자의 피해경험 또는 범죄피해자와의 유사성이 잠재적 중요 요인이 됨.
- 거브너의 폭력 효과 연구
폭력물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수용자 조사 질문
1967년 이 후 프라임 타임과 주말 낮 시간대의 네트워크 드라마
- TV프로그램의 폭력지수
TV 프로그램의 폭력지수 : 폭력 일반성 측정, 폭력적 에피소드들의 빈도와 비율, 폭력자와 희생자 배역을 맡고 있는 인물의 수
- 연구결과
1. 각각의 질문에 대한 응답은 실제와 매우 다른 비율을 보임
2. 미국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범죄는 실제는 10% 였으나, TV는 77%로 나타남
3. 중시청자와 경시청자가 서로 다른 전형적인 대답을 하는 경향이 나타남
"폭력행동의 잦은 묘사는 시청자들에게 실재 세계의 폭력발생에 대해 과대평가하게 만든다"
<중 략>
5.2 대중매체와 공포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 히스와 길버트(heath & Gilbert,1996)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은 가상현실에 대한 신념과 개인의 경험이 주요요인.
‘텔레비전 시청과 범죄우려의 관계 연구’
- 위버와 와쉬라그(weaver & wakshlag,1986)
시청자의 피해경험 또는 범죄피해자와의 유사성이 잠재적 중요 요인이 됨.
키워드
추천자료
(매스컴) 책 책 책을 읽읍시다의 탄환이론 분석
미디어 예술
매스미디어의 기능
[현대사회와 매스컴] 스타시스템의 역사, 현황, 문제점 및 대안
(사회학)매스컴과 현대사회 필기자료
매스미디어 속의 장애인 이미지
현대사회에 매스컴이 미치는 악영향(스탈당 증후군, 된장녀)
[매스컴과 사회] 위기와 함께 본 한국영화산업 - 방송통신융합, DVD시장의 부활, 불법다운로...
[매스컴의이해]방송국의 스포츠중계권 독점과 외국 중계권협상 사례 및 국민의 보편적 접근권...
[대중매체/매스컴A+] 성매매 특별법 보도를 통해 살펴 본 뉴스 포탈 서비스의 미래
[대학교육][미디어교육][언어문화교육][정보화]대학교육의 목적, 대학교육의 무상화, 대학교...
[매스컴과 사회 과제] 중효과이론 중 문화적 규범 이론
[대중문화와 매스컴 보고서] SBS '짝'
대중문화와 매스컴 - 무한도전의 인기 비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