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짝의 기획의도
-SBS측
-6조의 ‘짝’ 선택의도
2. 시청률 (짝 신드롬)
3. 흥행요소 분석
Ⅱ. 본론
1. 짝의 긍정적인 측면
2. 짝의 부정적인 측면
- 일반화
- 결혼(연애) 상품화
- 외모지상주의
- 제작자의 의도에 따른 수용자의 무비판적 수용
(편집효과, 인권보호미흡)
Ⅲ. 결론
1. 짝의 발전방향
*참고자료 및 참고사이트
1. 짝의 기획의도
-SBS측
-6조의 ‘짝’ 선택의도
2. 시청률 (짝 신드롬)
3. 흥행요소 분석
Ⅱ. 본론
1. 짝의 긍정적인 측면
2. 짝의 부정적인 측면
- 일반화
- 결혼(연애) 상품화
- 외모지상주의
- 제작자의 의도에 따른 수용자의 무비판적 수용
(편집효과, 인권보호미흡)
Ⅲ. 결론
1. 짝의 발전방향
*참고자료 및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이 발생했다. 3가지 예를 살펴보겠다.
먼저 도시락 선택이다. ‘짝’에서는 도시락을 같이 먹을 사람을 선택하는 순서가 있다. 남성과 여성이 자신이 마음에 드는 파트너를 선택하여 함께 식사하는 것인데, 여기서 선택을 받지 못하면 그 사람은 도시락을 혼자 먹어야 한다. 선택이 끝난 후 카메라는 선택받지 못한 출연자 슬프고 쓸쓸하게 비추며, 다음날 인터넷에는 선택받지 못한 여성이 ‘굴욕녀, 0표아가씨’로 비하되기도 한다. 프로그램 초반에는 이성이 밥과 반찬 중 한 가지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선택받지 못하면 제대로 된 식사도 하지 못하는 시스템이었다. 선택받지 못한 출연자가 선택을 받아 즐겁게 식사하는 다른 사람들의 모습을 바라보며 혼자 밥을 먹을 때 어떤 기분이 드는지 상상해 본다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짝’이 여름에 촬영될 때 중간 선택으로 이성을 선택하는 방법이 물에 뛰어드는 것이었다. 한 여자를 두고 경쟁하는 두 남성들에게는 여성의 소지품을 돌에 올려놓은다음 연못에 뛰어들어 가져오게 하기도 하였다. 물론 상대방에 대해 얼마나 진실된 마음을 갖고있는가를 보여주는 선택방식이라고 정당화 할 수도 있겠지만, 출연자들을 물에 뛰어들게 한다는 설정은 지나치다고 생각한다. 짝을 차지하기 위해 물에 뛰어든다는 설정을 출연자들이 동의했을까? 출연진이라는 이유로 강요받은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마지막으로 제작진들이 출연자들의 루머에 대해 제대로 조치를 하지 않는다. 단적인 예로 짝12기 여자6호이다. 방송 다음 날 시청자 게시판에는 여자 6호가 불륜녀라는 글이 게재되었다. 방송에서는 현모양처의 이미지로 시청자들에게 동정과 호평을 받았던 출연자였기 때문에 파장은 더욱 컸다. 불륜녀라는 글을 쓴 사람은 여성으로, 예전 자신의 신혼집에 여자 6호가 드나들었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또한 돌아온 싱글, 돌싱 특집의 여자 5호가 에로배우 출신이라는 루머도 생겼다. 어떻게 보면 일반인 출연진들의 인생이 달린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일반인 출연진들이므로 달리 해명할 방법도 없었기 때문에 제작진들이 나서서 해명해야 했지만, 제작진은 확실한 해명을 하지 않았고, 결국 당사자인 두 여성이 다른 매체의 인터뷰를 통해 직접 변론하거나 부인하였다. 짝 제작진 측은 자신들이 출연자의 과거를 일일이 조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하며 그런 루머가 돌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답변하며 책임을 회피했다. 일리가 있는 의견이지만, 사생활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일반인을 출연자로 삼는 프로그램이니만큼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론
‘짝’의 발전방향
1.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프로그램 ‘짝’
: 시청률을 올리는 과정에서 자극적 요소를 연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하지만 ‘짝’은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짝’을 시청하는 연령층도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는 10대 청소년들도 많다. 가치관이 확실하게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을 위해서라도 ‘짝’은 시청률을 올리기에만 급급한 연출을 하면 안 되겠다. 그리고 앞서 이야기 한 부정적 측면들을 고치고 기획의도에 맞게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2. 진정한 사랑이 필요한 ‘짝’
: 방송된 모습처럼 출신학교와 회사 등의 배경이 아닌, 사랑을 매개로 커플이 탄생하는 과정을 담는 프로그램이 되어야 한다. 해가 바뀌어 2011년이 되면서 현대는 사람의 배경을 더욱 중시하는 사회로 변모했다. 어쩔 수 없는 시대라지만 사람과 사람이 교제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두 사람 간의 사랑이므로, 진정한 사랑을 시청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짝’은 그들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이끌어내야 한다.
3. 다큐멘터리와 예능의 중도인 ‘짝’
: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은 신선한 프로그램 포맷을 유지해야 한다. ‘짝’이 처음 방송할 당시에는 정규화 할 생각이 없었으나, 시청률이 많은 것을 보고 프로그램을 정규화 했다. ‘짝’ 홈페이지와 포털사이트에 본 프로그램이 시사/교양이라고 소개된 만큼, 제작진은 재미만을 위해 프로그램을 변화시키지 말고 사회를 시사하고 교양을 전달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및 참고사이트
진화심리학 - 딜런 에번스 저 |이충호 역 |김영사 |2001.02.20
논문 - 미디어 이용이 청소년의 외모지상주의와 신체변형욕구에 미치는 영향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과 1인 미디어를 중심으로 [저자명 민지현 / 문서유형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
sbs짝홈페이지 - http://tv.sbs.co.kr/jjak/
가연결혼정보회사사이트 - http://www.gayeon.com/main/main.asp
참고 뉴스기사링크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971180.htm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11081821301001
http://www.nemopan.com/panfreetalk/5181886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915151900100
http://willism.tistory.com/588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46
http://cafe.naver.com/no1shot.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9841&
http://news.nate.com/view/20111103n15337
http://news.nate.com/view/20111103n15337
http://www.dcnews.in/news_list.php?code=tv&id=629476
http://10.asiae.co.kr/Articles/new_view.htm?a_id=2011092118561151297
http://news.nate.com/view/20110908n32150
http://fiancee.tistory.com/1343
http://www.cyworld.com/woogi002000/7501750
http://daddymoo.tistory.com/511
먼저 도시락 선택이다. ‘짝’에서는 도시락을 같이 먹을 사람을 선택하는 순서가 있다. 남성과 여성이 자신이 마음에 드는 파트너를 선택하여 함께 식사하는 것인데, 여기서 선택을 받지 못하면 그 사람은 도시락을 혼자 먹어야 한다. 선택이 끝난 후 카메라는 선택받지 못한 출연자 슬프고 쓸쓸하게 비추며, 다음날 인터넷에는 선택받지 못한 여성이 ‘굴욕녀, 0표아가씨’로 비하되기도 한다. 프로그램 초반에는 이성이 밥과 반찬 중 한 가지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선택받지 못하면 제대로 된 식사도 하지 못하는 시스템이었다. 선택받지 못한 출연자가 선택을 받아 즐겁게 식사하는 다른 사람들의 모습을 바라보며 혼자 밥을 먹을 때 어떤 기분이 드는지 상상해 본다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짝’이 여름에 촬영될 때 중간 선택으로 이성을 선택하는 방법이 물에 뛰어드는 것이었다. 한 여자를 두고 경쟁하는 두 남성들에게는 여성의 소지품을 돌에 올려놓은다음 연못에 뛰어들어 가져오게 하기도 하였다. 물론 상대방에 대해 얼마나 진실된 마음을 갖고있는가를 보여주는 선택방식이라고 정당화 할 수도 있겠지만, 출연자들을 물에 뛰어들게 한다는 설정은 지나치다고 생각한다. 짝을 차지하기 위해 물에 뛰어든다는 설정을 출연자들이 동의했을까? 출연진이라는 이유로 강요받은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마지막으로 제작진들이 출연자들의 루머에 대해 제대로 조치를 하지 않는다. 단적인 예로 짝12기 여자6호이다. 방송 다음 날 시청자 게시판에는 여자 6호가 불륜녀라는 글이 게재되었다. 방송에서는 현모양처의 이미지로 시청자들에게 동정과 호평을 받았던 출연자였기 때문에 파장은 더욱 컸다. 불륜녀라는 글을 쓴 사람은 여성으로, 예전 자신의 신혼집에 여자 6호가 드나들었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또한 돌아온 싱글, 돌싱 특집의 여자 5호가 에로배우 출신이라는 루머도 생겼다. 어떻게 보면 일반인 출연진들의 인생이 달린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일반인 출연진들이므로 달리 해명할 방법도 없었기 때문에 제작진들이 나서서 해명해야 했지만, 제작진은 확실한 해명을 하지 않았고, 결국 당사자인 두 여성이 다른 매체의 인터뷰를 통해 직접 변론하거나 부인하였다. 짝 제작진 측은 자신들이 출연자의 과거를 일일이 조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하며 그런 루머가 돌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답변하며 책임을 회피했다. 일리가 있는 의견이지만, 사생활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일반인을 출연자로 삼는 프로그램이니만큼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론
‘짝’의 발전방향
1.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프로그램 ‘짝’
: 시청률을 올리는 과정에서 자극적 요소를 연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하지만 ‘짝’은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짝’을 시청하는 연령층도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는 10대 청소년들도 많다. 가치관이 확실하게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을 위해서라도 ‘짝’은 시청률을 올리기에만 급급한 연출을 하면 안 되겠다. 그리고 앞서 이야기 한 부정적 측면들을 고치고 기획의도에 맞게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2. 진정한 사랑이 필요한 ‘짝’
: 방송된 모습처럼 출신학교와 회사 등의 배경이 아닌, 사랑을 매개로 커플이 탄생하는 과정을 담는 프로그램이 되어야 한다. 해가 바뀌어 2011년이 되면서 현대는 사람의 배경을 더욱 중시하는 사회로 변모했다. 어쩔 수 없는 시대라지만 사람과 사람이 교제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두 사람 간의 사랑이므로, 진정한 사랑을 시청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짝’은 그들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이끌어내야 한다.
3. 다큐멘터리와 예능의 중도인 ‘짝’
: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은 신선한 프로그램 포맷을 유지해야 한다. ‘짝’이 처음 방송할 당시에는 정규화 할 생각이 없었으나, 시청률이 많은 것을 보고 프로그램을 정규화 했다. ‘짝’ 홈페이지와 포털사이트에 본 프로그램이 시사/교양이라고 소개된 만큼, 제작진은 재미만을 위해 프로그램을 변화시키지 말고 사회를 시사하고 교양을 전달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및 참고사이트
진화심리학 - 딜런 에번스 저 |이충호 역 |김영사 |2001.02.20
논문 - 미디어 이용이 청소년의 외모지상주의와 신체변형욕구에 미치는 영향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과 1인 미디어를 중심으로 [저자명 민지현 / 문서유형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
sbs짝홈페이지 - http://tv.sbs.co.kr/jjak/
가연결혼정보회사사이트 - http://www.gayeon.com/main/main.asp
참고 뉴스기사링크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971180.htm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11081821301001
http://www.nemopan.com/panfreetalk/5181886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915151900100
http://willism.tistory.com/588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46
http://cafe.naver.com/no1shot.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9841&
http://news.nate.com/view/20111103n15337
http://news.nate.com/view/20111103n15337
http://www.dcnews.in/news_list.php?code=tv&id=629476
http://10.asiae.co.kr/Articles/new_view.htm?a_id=2011092118561151297
http://news.nate.com/view/20110908n32150
http://fiancee.tistory.com/1343
http://www.cyworld.com/woogi002000/7501750
http://daddymoo.tistory.com/511
추천자료
텔레비전 드라마 속의 여성상
상상품화사례.이중성윤리,성문화 성윤리에 미치는 영향
미국,일본애니메이션의 자연과인간의철학
아티스트 낸시랭 활동 분석 및 비판
대중매체에서 보여주는 남성의 몸 & 여성의 몸 (여성학의 이해)
한류열풍의 발생원인과 중국에서의 한류효과 및 전망
2014년 1학기 패션과 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동계계절시험 패션과 문화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패션과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패션과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국제브랜드관리 C) 한국의 대중음악(K-Pop)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차별화하기 위해서 어떤 ...
2017년 1학기 패션과문화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패션과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포스터모던사회와 청소년》 또래와 청소년 문화 - 노스페이스 현상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