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산의 유형 및 간호(만출력 이상, 산도 이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난산의 유형 및 간호(만출력 이상, 산도 이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게 가장 중요한 간호는 사람들과의 교류임.
→ 동일한 의사와 간호사에 의해 계속적인 치료와 간호를 받는 것이 좋음.
안위법은 기능부전성 분만 양상을 회복하는 데 실제적으로 도움이 됨.
관장으로 직장을 비우거나 체위를 변경함으로써 자궁수축을 증가시킬 수있음.
자궁수축을 돕기 위하여 측와위를 취함
→ 측와위를 취하면 앙와위보다는 자국수축의 빈도는 약간 줄어드나 수축과
이완의 협동이 잘 되고 자궁수축의 강도가 더 강해짐.
병실 내에서 걷거나 편안한 의자에 앉아 있으면 효과적인 자궁수축을 되찾는 데 도움을 줌.
→ 파막되었으나 선진부 진집이 잘 안되어 있는 산부는 안정을 취하기
c. 옥시투신 투여
자궁수축이 약하거나 비효율적일 때 진통을 유도하거나 촉진시킬 수 있음.
태위 이상, 아두골반 불균형, 산도의 기형과 같은 태아 하강이 안되는 경우와 고긴장성 자궁기능 부전, 태아 질식, 자궁의 과도신전, 네 번이상의 다산부, 질분만이 불가능한 전치태반, 질의 헤르페스 감염 등과 같은 경우에는 절대 금기임.
옥시투신 주입 전에는 철저한 사정이 중요함.
* 옥시투신 투여의 선행조건- 2차 분만 지연이 확실할 때 시작된다.
- 분만의 진행이 확실하여 경부개대나 소실이 진행된 상태로 경부가 3~4cm정도
개대될 때만 투여한다.
- 모체의 골반이나 태아가 분만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야 한다.
- 태아의 체중이 4g 이상으로 임부의 복부가 지나치게 팽만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한다.
- 자녀를 5명 이상 분만한 임부나 35세 이후의 고령산부는 자궁 파열의 위험
때문에 피한다.
- 태아의 상태가 좋다는 확신을 가질 때에만 이용한다.
- 옥시토신 투여 후 경련성 수축 시에는 투약을 중단한다.
옥시토신 주입 시에는 용량과 투여 속도에 유의해야 함. → infusino pump 사용
유도분만의 경우 1~2mU/분으로 시작함.
분만촉진의 경우 0.5~1.0mu/분으로 시작해 1~2mU/분씩 점차적으로 증가시킴.
자궁경관이 1cm/시간의 속도로 개대되도록 적당한 자궁수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함.
대체로 2분 간경으로 45~60초 동안 수축이 올수 있도록 조절함.
합병증 : 태아질식, 과도수축으로 인한 태반조기박리, 자궁파열, 두통을 동반한 고혈압, 항이뇨 효과 등
투여하는 동안에는 자궁수축의 기간과 강도를 감시, 태아질식징후를 관찰해야함.
희석 시에 포도당 용액보다 전해질 용액을 사용하면 더 효과적임.
3. 산도
태아가 질 분만 시 이동하는 경로로, 산모의 골반(골산도)과 연조직(연산도)으로 이루어져 있음.
골반은 임신 1기에 측정하고, 건강관리자의 첫 번째 방문 시 이루어짐.
임신 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릴락신과 에스트로겐은 결합 조직을 더 이완시키고 유연하게 만들어 산모의 골반이 분만에 적합하게 해줌.
연산도
자궁하절, 경부, 골반상(회음체 쪽 근육덩어리, 분만시 늘어남), 질, 질구
골산도
단단한 골반의 뼈부분
4.. 산도 이상
(1) 골반 이상
산도, 즉 골반 입구, 골반강과 출구가 협소한 것을 의미하거나, 아두의 크기와 골반의 크기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발생되는 아두골반 불균형인 경우임.
대부분의 경우 자궁수축의 효율성, 연조직의 탄력성, 태세, 태위 및 아두의 주형 가능성에 따라 질분만의 가능성 여부가 결정됨.
협골반
(contracted pelvis)
입구: 전후경이 10cm이하, 횡경선 12cm 이하, 대각결합선의 길이가 11.5cm이하
출구: 좌골결절 사이의 거리가 8cm 이하
골반강: 좌골극간 횡경성 10cm이하, 횡종경성 5cm 이하
골반 입구가 정상보다 작으면 선진부의 진입 어려움
아두의 하강이 어렵거나 불가능하여 이상태향 초래.
아두골반 불균형
(Cephalopelvic Dispropotion, CPD)
아두의 조건과 산부 골반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맞지 않아 질식 분만이 불가능한 상태
분만시 아두 하강이 어렵고 아두가 골반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없음
① 원인
선천적 협골반, 영양실조, 종양, 골반 골절, 척추나 하지 이상, 구루병이나 골연화증 같은 질병이 원인이 될 수 있음.
② 분만에 미치는 영향
하강이 잘 일어나지 않음
비정상적인 선진부나 태향이 많음
질강 분만 시 연조직 손상을 입기 쉬움
산후출혈 및 감염의 위험이 높음
태아 외상을 입기 쉬움
제대탈출이 되기 쉬움
③ 협골반 시 분만기전
여성형 골반: 모든 골반 직경이 다 짧아서 산도의 입구로부터 저항을 받고 아두 주형의 정도가 심해짐.
남성형 골반: 골반 입구의 앞쪽은 쐐기 모양이고 뒤쪽은 편평하기 때문에 후방두정위로 하강하여 후두골이 후발을 향한 채 분만하기 쉬움.
편평형 골반: 골반 입구의 전후경선이 짧아서 분만 1기와 2기 초의 지연과 좌골극이나 그 이하에서 횡경 정지가 일어나기 쉬움.
[여성형골반, 남성형골반, 편평형 골반]
④ 진단
난산, 사산, 신생아 사망 등의 과거력을 확인함.
내진 시에 골반상의 심한 긴장력이 있는지, 천골이 넓고 잘 굽어져 있는지, 천골갑의 돌출 정도 및 좌골극이 튀어나오지 않고 완만한지, 치골궁으로 두손가락이 쉽게 들어가는지 확인함.
인신 37주경 임부를 양 팔꿈치로 기대어 눕게 한 후 아두를 골반으로 밀어 넣어 보아 진입되는가를 봄(DeLee hillis maneuver).
임신 37주 이후 X선 골반계측법이나 초음파촬영을 함.
⑤ 관리
협골반이나 아두골반 불균형이 의심될 때는 시도 분만(trial of labor) 시행
시도 분만 : 태아의 선진부나 태향에 이상이 없고 골반의 크기가 협골반을 겨우 벗어난 상태일 때 질강 분만을 시도해보는 것임.
시도 분만 동안에는 자궁수축상태, 경관의 소실 및 개대, 진행 정도, 선진부 하강 및 태아 상태를 사정하고, 산모의 방광이 차지 않도록 함.
(2) 연조직 이상
원인 : 쌍각자궁과 같은 해부학적 이상, 자궁근중과 같은 종양, 과거 분만 시 입은 손상, 경관의 원추절제술
분만이 중단되거나 심한 열상이 발생하거나 경관이 떨어져 나갈 수 있음.
필요 시 회음 절개
참고문헌
박철용 외(2012). 제7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561~567, 573~574
이영숙 외 (2014),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p.394~395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7.04.02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2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