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rnal fixation device insertion (외부 고정 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xternal fixation device insertion (외부 고정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External fixation device insertion (외부 고정 간호)
1. 두개골 집게형 견인(Crutchfield tongs traction)
2. 준비물품
3. for assisting with insertion of an external fixation device
4. 시술시 간호
5. 기대되는 결과(expected outcomes)
6. 기대되지 않은 결과(unexpected outcomes)
7. 간호중재
8. 간호기록
9. 간호진단

본문내용

골절의 안정, 정렬, 치유를 위해 머리/목을 부동시킨다.
신경기능(운동/감각)향상 혹은 안정된 상태
환자의 불편감 최소화
6. 기대되지 않은 결과(unexpected outcomes)
집게, 핀, 외부고정기구의 미끄러짐
척추신경 손상이나 신경계결손
호흡부전 혹은 정지
저혈압
통증
핀 부위 출혈
7. 간호중재
피부 견인에 비하여 골격 견인은 추의 무게가 무겁고 견인기간이 장기화 될 때 선택한다. 핀이나 철사를 직접 뼈에 삽입한 후 추를 연결하여 골편이 어긋나거나 겹치게 됨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근육경련도 감소시킨다. 대퇴의 평형성 현수대 골격 견인법과 두개골 집게형 견인이 흔히 사용되는 골격견인 방법이다. 특히 골격견인을 한 경우에는 핀 삽입부의 감염여부나 핀으로 인한 피부자극을 자세히 관찰한다. 또한 골격 견인은 피부견인보다 장치가 복잡하여 환자들이 불안해하므로 정신적으로 안정시키기 위한 심리적 간호를 하도록 한다.
(1) 환자와 체위
- 환자는 앙와위로 눕히고 손상부위에 불필요한 긴장이 가지 않도록 적절한 체위를 유지한다.
(2) 상대적 견인 유지
- 어떠한 견인장치라도 상대적 견인력(counter traction)이 적절히 유지되어야 한다. 상대적 견인이란 치료적 견인력에 대응하여 환자가 침대 밑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치료적 견인력의 분산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침상발치나 환자의 무릎을 상승시킨다. 침상을 상승시킬 때 침대자체의 발치를 올려주거나 나무토막이나 벽돌을 이용하여 침대다리 밑을 높여준다. 상대적 견인력을 유지하기 위해 환자의 등을 올릴 때 침대의 각도가 20보다 더 높지 않도록 한다.
(3) 마찰
- 어떠한 형태로든 견인장치의 추나 줄에 마찰이 있으면 견인력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추의 당김이 방해받는다. 그러므로 발판이나 견인줄 연결장치가 침대에 닿지 않도록 하고, 추가 땅에 닿지 않도록 한다. 또한 침상가운이나 홑이불이 견인줄에 끼지 않도록 한다.
(4) 견인의 계속성
- 견인은 계속성이 중요하므로 처방 없이는 절대 제거하지 않는다. 그리고 견인줄이나 도르래가 빠져 있는지 계속 확인한다.
(5) 견인줄
- 일단 견인장치를 한 후에 견인 줄은 항상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6) 운동과 감각상태에 대한 관찰
- 혈액순환과 운동감각을 파악하기 위하여 환자의 피부색깔, 움직임, 체온, 감각, 맥박을 관찰한다. 견인장치 시에 특히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부위는 상지에 있어서는 팔굽뼈, 뼈돌출부, 팔굽관절의 연조직, 팔목의 뼈돌출부와 손바닥 부분 등이다. 하지에 있어서는 비골, 비골신경부위, 슬부후면의 함스트링건, 발목의 뼈 돌출부, 발뒤꿈치, 발잔등의 연조직, 대퇴부의 대전자 등이다. 체부에 있어서는 척추 돌출부, 견갑골부, 장골능, 천골 등이다. 팔굽관절이나 손목, 무릎, 발뒤꿈치에 압박을 적게 하려면 패드를 잘 대주거나 넓은 홑이불로 감싸 주며 발목을 올려놓고 발뒤꿈치는 언제나 침요에서 떨어져 있게 한다.
8. 간호기록
- 환자와 가족의 교육
경추견인의 종류
견인시 날짜, 시간, 시술의사의 이름
사용된 마취제
사용된 진정제
견인에 이용된 무게
수행시 포괄적인 사정과 비정상 반응시
견인기구의 적절한 기능과 안전성 확인 처치 내용
기대되지 않은 결과
간호에 대한 환자의 반응
추가된 중재
9. 간호진단
1) 견인으로 인한 활동 제한에 따른 피부 손상 위험성
간호중재
근거
1. 압박 부위를 사정(천골, 발뒤꿈치, 뼈 돌출부)한다.
2. 환자를 들어 올려 피부간호를 시행한다.
3. 공기침요(Air-mattress)나 물침대를 사용한다.
1. 이 부위는 앙와위시 일반적으로 압박받는 부위이다.
2. 견인환자는 돌아누울 수 없다.
3. 이것은 표면의 압력을 줄여 준다.
2) 견인으로 인한 활동제한에 따른 활동의 지속성 장애
간호중재
근거
1. 골절부위를 제외하고 ROM을 시행한다.
2. 폐음을 사정한다.
3. 심호흡과 기침을 교육한다.
4. 혈전성 정맥염의 증상을 사정한다.
5. 장운동을 사정한다.
6. 수분과 섬유질이 들어 있는 음식을 먹도록 한다.
7. 필요하면 하제를 복용한다.
1. ROM은 근육 긴장도를 유지시킨다.
2. 부동이나 진통제의 사용은 과소환기나 무기폐의 원인이된다.
3. 심호흡과 기침은 과대환기를 돕고 분비물을 깨끗이한다.
4. Homan’s sign과 다른 사정 방법으로 혈전성 정맥염을 조기 발견한다.
5. 변비는 진통제와 부동으로 인해 나타난다.
6. 수분과 섬유질은 변을 부드럽게 하여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7. 하제는 장을 자극해 준다.
3) 견인으로 인한 신체 손상 위험성
간호중재
근거
1. 견인추가 닿는 부위가 없이 잘 매달려 있도록 한다.
2. 도르래에 견인줄이 닿지 않는다.
3. 처방에 따라 견인추를 천천히 가감한다.
4. 핀 부위를 간호한다.
5. 처방에 따라 체위를 결정한다.
1. 견인추가 바닥이나 침대에 닿으면 효과가 없다.
2. 도르래에 견인줄이 닿아 있으면 효과가 없다.
3. 천천히 계속적으로 당겨 주는 것이 근육의 경련을 막아준다.
4. 감염의 위험을 줄인다.
5. 상대적 견인력을 유지한다.
4) 견인으로 인한 말초신경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간호중재
근거
1. 견인하고 있는 사지 원위부의 색, 온감, 움직임과 감각을 기록한다.
2. 발등의 맥박을 사정한다.
3. 통증과 진통제로 조절되는 정도를 기록한다.
4. 피부색, 맥박, 피부온도, 움직임, 감각의 변화나 통증의 증가가 있으면 즉시 의사에게 알린다.
1. 구획증후군의 증상은 창백, 맥박 소실, 사지의 냉감, 움직임의 제한, 감각의 변화, 진통제로 조절되지 않는 통증이다.
2. 구획증후군은 즉각적인 의학적 중재를 요구한다.
5) 부동으로 인한 자가 간호 결핍
간호중재
근거
1. 쉽게 손이 닿는 곳에 필요한 물품을 둔다.
2. 목욕이나 홑이불 교환 등을 환자가 계획하도록 한다.
3. 움직이기 전 진통제를 투여한다.
1. 가능한 한 독자적으로 자가 간호를 시행하도록 한다.
2. 환자가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3. 움직임은 골절부위에 통증과 경련을 증가시킨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현문사
성인간호학-수문사
중환자간호 매뉴얼-군자출판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7.04.28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4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