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례보고서
1. 일반적 배경 -------------------------------------- p. 1
2. 건강력(Health history) ------------------------------ p. 1
1) 주호소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3. 간호력(Nursing history) ------------------------------ p. 2~6
1) 건강지각-건강관리 양상 2) 영양-대사 양상
3) 배설 양상 4) 활동-운동 양상
5) 수면-휴식 양상 6) 인지-지각 양상
7) 자아인식-자아개념 양상 8) 역할-관계 양상
9) 성-생식기능 양상 10) 대응-스트레스 내성 양상
11) 가치-신념 양상
4. 신체검진 ----------------------------------------- p. 6
5. 진단 검사 ---------------------------------------- p. 6~8
1) 혈액 검사 2) 소변검사
3) 전해질 검사 4) 특수 검사
6. 약물 ------------------------------------------------------- p. 9
7. 수술방법 및 과정의 서술 ------------------------------------ p. 10
8. 비정상 자료 목록 ------------------------------------------- p. 10~11
9. 문제도출 --------------------------------------------------- p. 11~13
10. 간호과정 -------------------------------------------------- p. 13~21
1) 외과적 유리체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2) 수술과 관련된 불안
3) 감각지각 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4)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11. 부록 ------------------------------------------------------ p. 22
12. 참고문헌 -------------------------------------------------- p. 23
1. 일반적 배경 -------------------------------------- p. 1
2. 건강력(Health history) ------------------------------ p. 1
1) 주호소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3. 간호력(Nursing history) ------------------------------ p. 2~6
1) 건강지각-건강관리 양상 2) 영양-대사 양상
3) 배설 양상 4) 활동-운동 양상
5) 수면-휴식 양상 6) 인지-지각 양상
7) 자아인식-자아개념 양상 8) 역할-관계 양상
9) 성-생식기능 양상 10) 대응-스트레스 내성 양상
11) 가치-신념 양상
4. 신체검진 ----------------------------------------- p. 6
5. 진단 검사 ---------------------------------------- p. 6~8
1) 혈액 검사 2) 소변검사
3) 전해질 검사 4) 특수 검사
6. 약물 ------------------------------------------------------- p. 9
7. 수술방법 및 과정의 서술 ------------------------------------ p. 10
8. 비정상 자료 목록 ------------------------------------------- p. 10~11
9. 문제도출 --------------------------------------------------- p. 11~13
10. 간호과정 -------------------------------------------------- p. 13~21
1) 외과적 유리체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2) 수술과 관련된 불안
3) 감각지각 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4)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11. 부록 ------------------------------------------------------ p. 22
12. 참고문헌 -------------------------------------------------- p. 23
본문내용
렸음.
4. 세안, 양치, 식사 등 간단한 행위는 스스로 하도록 격려하였음.
5. 환의, 베겟잇, 홑이불 등 필요한 물건이 있으면 즉각 학생간호사에게 말씀하시라고 알려드림.
간호수행
(RN시행관찰)
2. (Rn 김OO) pm04:00 세안은 물수건을 이용하여 실시하며 첫 날은 양치를 솜을 이용하여 실시한다고 교육하였음.
6. (Rn 김OO) pm04:00 자리이동시 보호자께서 항상 동행하여야 한다고 교육함.
이론적근거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수술부위의 수화를 방지하고 당일 수술부위의 자극을 피하기 위함이다.
스스로 자기간호를 하게 하여 좌절감과 불안을 감소시킨다.
스스로 자기간호를 하게 하여 좌절감과 불안을 감소시킨다.
청결한 침상과 옷은 피부를 상쾌하게 하고 편안함을 도모한다.
안전을 기하고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결과평가
대상자는 자신의 기능수준에 맞는 자기간호 활동을 수행하였다.
(pm06:00 스스로 식사를 수행하는 모습을 관찰함.
pm08:00 스스로 얼굴을 물티슈를 이용하여 세안하는 모습을 관찰함.)
# 4.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1) 간호사정
월/일
간호사정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관련자료
4/26
“언제 이거 땔 수 있어요?”
“이거 그냥 때고 있으면 안되나.”
“한쪽 눈을 가리고 있으니 너무 불편해.”
“간호사 선생님한테 좀 물어보자 잠깐 벗고 있어도 되는지.”
“얼굴은 어떻게 씻어야 하노?”
“약은 그러면 언제까지 넣어야되요?”
op Dx Vitrextomy시행
(Pars Plana Vitrectomy 4.26)
정밀안저검사 결과 출혈발견.
형광안저조영술 결과 신생혈관 출혈 발견.
시력(우안) - 0.1
수술 후 우안(수술부위) 안대를 착용하고 있음.
손이 자꾸 눈으로 가는 모습이 관찰됨.
자기간호와 관련하여 궁금해 하는 모습이 보임.
추후관리에 대하여 질문함.
- 위의 투약목록 참조.
위의 BST 측정수치 결과.
(참조)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2) 간호과정
월/일
4/26
간호진단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간호계획
목표
수술 후 교육한 범위 내에서 재활을 실시 할 것이다.
기대되는결과
대상자는 허용된 활동, 재활계획에 대한 이해를 말로 표현한다.
간호지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2주간 밤에 안보호대를 착용하도록 교육한다.
눈을 비비지 않도록 한다.
샤워, 샴푸, 운동, 무거운 것 드는 것, 힘이 드는 집안일, 정원일을 최소한 2주간은 피하도록 교육한다.
통목욕 및 갑작스런 움직임을 피하도록 한다.
허리 아래로 머리를 구부리지 않도록 교육한다.
계단 오르기, TV 시청 등 서서히 활동을 늘려나가도록 한다.
감염의 증상, 징후에 대하여 교육한다.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화내지 말고 흥분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변 완화제 및 변비예방을 위한 섬유질과 수분섭취의 필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간호수행
(직접시행)
안대를 때고 싶어 하는 모습을 통하여 지식이 저조함을 알 수 있었다.
3. 절대 눈을 비비면 안된다는 교육을 실시함.
6. 안압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허리 아래로 머리를 구부리지 않도록 교육하였음.
7. 계단오르기, TV시청은 천천히 늘려나가도록 권고함.
10. 화를 내는 것은 안압을 상승시켜서 눈에 무리를 주는 것임을 교육하였음.
11. 변비를 예방하기 위하여 섬유질 음식과 수분섭취를 권장하였음.
간호수행
(RN시행관찰)
2. (RN 김OO) 2주간 야간에 안보호대를 착용해야함을 설명하였음.
4. (RN 김OO) 무거운 것 들지말기, 샴푸, 샤워 등을 2주간 하지 않는 것을 교육함.
5. (RN 김OO) 통목욕을 피할 것을 권고하였.
8. (RN 김OO) 충혈, 분비물 증가 등의 감염징후에 대하여 교육하고 이상 증후가 보일 시 내원하여
진료받으라 교육함.
9. (RN 김OO) valentac IM을 투여함.
이론적근거
추후관리 교육의 부족함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밤에 무의식적으로 눈을 만질 수 있기 때문이다.
3, 8. 감염의 기회를 줄이고 원활한 재활을 돕기 위함이다.
4, 5, 6, 7, 10. 안압을 상승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9. 진통제를 통하여 통증이 감소될 수 있다.
11. 규칙적인 장운동을 유지하여 복압상승을 줄여서 안압상승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결과평가
대상자는 교육받은 범위 내에서 재활활동을 수행하였다.
(나 :“여OO님 눈 비비시거나 눈에 물 들어가면 안 되는거 아시죠?”
여OO :“안다 안다. (웃음) 근지러워도 잘 참고 눈 안비비고 있다.
나 : “여OO님 그러면 저랑 간호사선생님이 어떤 것을 하면 안된다고 말했죠?”
여OO : “뭐 . 눈비비지말고... 음 물들어가지 말고, 힘 주지 말고 뭐 그런거지 뭐(웃음) .”
→ 대화로써 교육내용이 잘 전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1. 부록
- BECK 성인용 불안척도
우울로부터 불안을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환자의 불안, 동요의 정도를 주관적으로
채점하게 하여 불안, 공포가 강한 상태를 100점, 가장 이완되어 있는 상태를 0점으로 하여
불안, 공포상태의 정도에 따라 점수가 주어짐
1. 척도의 내용
1) 정신과 집단에서 호소하는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2) 불안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영역을 포함하는 21문항으로 구성
3) 특히 우울로부터 불안을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됨
2. 실시방법
자기보고식, 지난 한주동안 불안을 경험한 정도를 4점 척도 상에 표시
3. 채점방법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구함
전혀 느끼지 않았다 - 0 점
조금 느꼈다 - 1점
상당히 느꼈다 -2 점
심하게 느꼈다 - 3점
4. 해석 지침
1) 총점의 범위 0 -63점, 2) 22 - 26점 : 불안상태(관찰과 개입을 요함), 3) 27 -
31점 : 심한 불안상태, 4) 32점 이상 : 극심한 불안상태
12. 참고문헌
이향련 외(2012), 성인간호학2, 수문사 p1671~1687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p255~257
진단검사가이드북 - 정담미디어
[출처] Back의 불안척도 해석|작성자 usllra
드럭인포 - (www.druginfo.co.kr)
4. 세안, 양치, 식사 등 간단한 행위는 스스로 하도록 격려하였음.
5. 환의, 베겟잇, 홑이불 등 필요한 물건이 있으면 즉각 학생간호사에게 말씀하시라고 알려드림.
간호수행
(RN시행관찰)
2. (Rn 김OO) pm04:00 세안은 물수건을 이용하여 실시하며 첫 날은 양치를 솜을 이용하여 실시한다고 교육하였음.
6. (Rn 김OO) pm04:00 자리이동시 보호자께서 항상 동행하여야 한다고 교육함.
이론적근거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수술부위의 수화를 방지하고 당일 수술부위의 자극을 피하기 위함이다.
스스로 자기간호를 하게 하여 좌절감과 불안을 감소시킨다.
스스로 자기간호를 하게 하여 좌절감과 불안을 감소시킨다.
청결한 침상과 옷은 피부를 상쾌하게 하고 편안함을 도모한다.
안전을 기하고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결과평가
대상자는 자신의 기능수준에 맞는 자기간호 활동을 수행하였다.
(pm06:00 스스로 식사를 수행하는 모습을 관찰함.
pm08:00 스스로 얼굴을 물티슈를 이용하여 세안하는 모습을 관찰함.)
# 4.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1) 간호사정
월/일
간호사정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관련자료
4/26
“언제 이거 땔 수 있어요?”
“이거 그냥 때고 있으면 안되나.”
“한쪽 눈을 가리고 있으니 너무 불편해.”
“간호사 선생님한테 좀 물어보자 잠깐 벗고 있어도 되는지.”
“얼굴은 어떻게 씻어야 하노?”
“약은 그러면 언제까지 넣어야되요?”
op Dx Vitrextomy시행
(Pars Plana Vitrectomy 4.26)
정밀안저검사 결과 출혈발견.
형광안저조영술 결과 신생혈관 출혈 발견.
시력(우안) - 0.1
수술 후 우안(수술부위) 안대를 착용하고 있음.
손이 자꾸 눈으로 가는 모습이 관찰됨.
자기간호와 관련하여 궁금해 하는 모습이 보임.
추후관리에 대하여 질문함.
- 위의 투약목록 참조.
위의 BST 측정수치 결과.
(참조)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2) 간호과정
월/일
4/26
간호진단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간호계획
목표
수술 후 교육한 범위 내에서 재활을 실시 할 것이다.
기대되는결과
대상자는 허용된 활동, 재활계획에 대한 이해를 말로 표현한다.
간호지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2주간 밤에 안보호대를 착용하도록 교육한다.
눈을 비비지 않도록 한다.
샤워, 샴푸, 운동, 무거운 것 드는 것, 힘이 드는 집안일, 정원일을 최소한 2주간은 피하도록 교육한다.
통목욕 및 갑작스런 움직임을 피하도록 한다.
허리 아래로 머리를 구부리지 않도록 교육한다.
계단 오르기, TV 시청 등 서서히 활동을 늘려나가도록 한다.
감염의 증상, 징후에 대하여 교육한다.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화내지 말고 흥분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변 완화제 및 변비예방을 위한 섬유질과 수분섭취의 필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간호수행
(직접시행)
안대를 때고 싶어 하는 모습을 통하여 지식이 저조함을 알 수 있었다.
3. 절대 눈을 비비면 안된다는 교육을 실시함.
6. 안압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허리 아래로 머리를 구부리지 않도록 교육하였음.
7. 계단오르기, TV시청은 천천히 늘려나가도록 권고함.
10. 화를 내는 것은 안압을 상승시켜서 눈에 무리를 주는 것임을 교육하였음.
11. 변비를 예방하기 위하여 섬유질 음식과 수분섭취를 권장하였음.
간호수행
(RN시행관찰)
2. (RN 김OO) 2주간 야간에 안보호대를 착용해야함을 설명하였음.
4. (RN 김OO) 무거운 것 들지말기, 샴푸, 샤워 등을 2주간 하지 않는 것을 교육함.
5. (RN 김OO) 통목욕을 피할 것을 권고하였.
8. (RN 김OO) 충혈, 분비물 증가 등의 감염징후에 대하여 교육하고 이상 증후가 보일 시 내원하여
진료받으라 교육함.
9. (RN 김OO) valentac IM을 투여함.
이론적근거
추후관리 교육의 부족함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밤에 무의식적으로 눈을 만질 수 있기 때문이다.
3, 8. 감염의 기회를 줄이고 원활한 재활을 돕기 위함이다.
4, 5, 6, 7, 10. 안압을 상승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9. 진통제를 통하여 통증이 감소될 수 있다.
11. 규칙적인 장운동을 유지하여 복압상승을 줄여서 안압상승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결과평가
대상자는 교육받은 범위 내에서 재활활동을 수행하였다.
(나 :“여OO님 눈 비비시거나 눈에 물 들어가면 안 되는거 아시죠?”
여OO :“안다 안다. (웃음) 근지러워도 잘 참고 눈 안비비고 있다.
나 : “여OO님 그러면 저랑 간호사선생님이 어떤 것을 하면 안된다고 말했죠?”
여OO : “뭐 . 눈비비지말고... 음 물들어가지 말고, 힘 주지 말고 뭐 그런거지 뭐(웃음) .”
→ 대화로써 교육내용이 잘 전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1. 부록
- BECK 성인용 불안척도
우울로부터 불안을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환자의 불안, 동요의 정도를 주관적으로
채점하게 하여 불안, 공포가 강한 상태를 100점, 가장 이완되어 있는 상태를 0점으로 하여
불안, 공포상태의 정도에 따라 점수가 주어짐
1. 척도의 내용
1) 정신과 집단에서 호소하는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2) 불안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영역을 포함하는 21문항으로 구성
3) 특히 우울로부터 불안을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됨
2. 실시방법
자기보고식, 지난 한주동안 불안을 경험한 정도를 4점 척도 상에 표시
3. 채점방법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구함
전혀 느끼지 않았다 - 0 점
조금 느꼈다 - 1점
상당히 느꼈다 -2 점
심하게 느꼈다 - 3점
4. 해석 지침
1) 총점의 범위 0 -63점, 2) 22 - 26점 : 불안상태(관찰과 개입을 요함), 3) 27 -
31점 : 심한 불안상태, 4) 32점 이상 : 극심한 불안상태
12. 참고문헌
이향련 외(2012), 성인간호학2, 수문사 p1671~1687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p255~257
진단검사가이드북 - 정담미디어
[출처] Back의 불안척도 해석|작성자 usllra
드럭인포 - (www.druginfo.co.kr)
추천자료
당뇨망막병증[안과]
당뇨망막병증
당뇨 DM FOOT CASE STUDY (당뇨병성 발 궤양) A+
[성인간호학A+] NIDDM (type2) 2형 당뇨병 환자의 간호과정
생활과건강 2017년 1)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2)제2형 당뇨병 환자를...
[생활과건강] 당뇨는 가장 흔한 내분비계 질환으로 인슐린 결핍에 의해 지방 및 단백질 대사...
[생활과건강 2017년]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시오- 만성 당뇨 합병...
[생활과건강 2017년]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시오- 만성 당뇨 합병...
1)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생활과건강 2)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