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근현대에서 발생한 사건과 제도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아시아 근현대에서 발생한 사건과 제도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근대국가 차이점
①중국-신정정치(新政政治)
정의 & 목적
배경
경과
결과
②한국-대한제국(大韓帝國)
배경
경과
결과
③일본-명치유신(明治維新)
배경
경과
결과
2.근대국가의 공통점
3.근대국가 수립에 대한 나의 생각

본문내용

그 중에서 국가 최고 원수가 서양의 근대화를 배워 성립 시키려는 노력이 있었다는 점은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 근대화 된 현대를 살고 있는 나에게는 무척 낯설게 다가오는 점은 정치적으로는 복고적 측면이 있는 동시에 문화나 사상적으로는 혁명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내 입장에서는 복고적 왕정을 주장한다고 느끼지만, 전통적 학문을 배우고, 전통문화 토대에서 성장한 지배계층에게는 어쩌면 당연한 선택이었을 것 같다. 그리고, 의문이 든 것은 국가의 원수들이 정말 나라를 생각했다면 왜 국민이 주인이 되는 미국식 민주주의를 택하지 않고, 유럽의 제국주의가 추구했던 입헌 군주제를 택한 점이다. 나라를 지킨다는 것은 명분이고, 자신의 권리와 권위를 지키기 위해서 더 급급했던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한 가지 주목하고 싶은 점은 3국 중 유일하게 근대국가 성립에 성공시킨 것은 물론, 아시아 국가 중에서 일본은 20세기에 제국주의의 식민지가 되지 않았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명치유신’이 성공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우리나라의 ‘대한제국’이 일본에 의해 왜 망했는가를 알아야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일본은 어떻게 위기를 극복하고 성공했냐는 점이다. 내가 생각했을 때는 근대국가를 성립했던 주체의 마음가짐에 있다고 본다. 중국과 한국은 알게 모르게 외세에 의지하여 근대국가를 성립하고, 국내 혼란 및 또 다른 외세를 막으려는 생각만 했지 일본처럼 주체적으로 스스로의 힘으로 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20세기는 동양에게 있어서는 갑자기 들이 닥친 서양에 의해서 급속하게 근대화하는 변화를 강요받아 급변했던 시기였다. 그래서, 무척이나 짧은 기간에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나게 되는데, 내가 굳이 많은 사건들 중에서 근대국가를 뽑은 이유는 우리나라의 운명뿐만이 아니라 3국의 운명이 식민지를 지배하는 국가가 되느냐, 식민 지배를 당하는 국가가 되느냐 갈림길 역할을 했다는 나름의 확신이 있어 좀 더 공부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좀 더 넓은 시아를 가졌다면, 식민지를 만들고 누구는 지배자가 되고 누구는 피지배가 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당시 살았던 사람들은 3국이 힘을 합쳐 서양을 막을 방법에 대해서는 공상만 할 뿐 실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흔적을 남겼다. 여기서 우리는 근대에 긴밀할 수밖에 없는 3국의 역사에 대해서 정확히 파악한 다음에 똑같은 행위를 반복하지 않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 참고문헌
1. 자료
《위키백과사전》, 《한국민족대백과사전》
2. 단행본
나기이 미치오, 1994 『세계사의 흐름으로 본 명치유신』(주)교문사
이원복, 2010 『먹나라 이웃나라-일본2』김영사
안정현 외 1인, 1999『한권으로 보는 중국사 100장면』가람역사
박한제, 2007 『아틀라스 중국사』사계절
이병주, 2006 『중국 근대화를 이끈 걸출한 인물들』지식산업사
국립고궁박물관, 2011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민속원
한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푸른역사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5.13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5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