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
- 진단 총 11개
4. 간호과정
- 수술과 관련된 통증
-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 수술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
- 진단 총 11개
4. 간호과정
- 수술과 관련된 통증
-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 수술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본문내용
답해하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계획 (Nursing Plan)
간호 목표
장기목표 :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 1.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호흡 시 불편감이 감소했다고 말한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효과적인 호흡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한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1) 사정
①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8시간마다 사정한다.
② 산소포화도 SpO2를 측정한다.
①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확인함으로써 또 다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② 산소포화도를 측정함으로 저산소증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2) 처방수행
①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누여한다.
① 진해거담제는 대상자의 분비물을 배출시켜주어 호흡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수행
① 대상자를 호흡이 편안 체위나 자세를 취하도록 돕고 머리 쪽을 상승시킨다.
② 산소요법을 적용한다.
① 산소 공급은 앉은 자세에서 증진되고, 폐 확장을 도와주어 호흡곤란, 노력성 호흡을 감소시킨다.
② 산소요법을 적용함으로써 대상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4) 교육
①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호흡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① 효과적인 호흡방법을 교육함으로써 호흡능력을 키운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1) 사정
①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함.
8/30
PM9
9/1
AM2
9/1
AM9
9/1
PM5
9/1
PM9
B.P
120/70
120/80
130/80
120/80
120/80
P
84
80
84
82
82
R
22
23
22
22
21
B.T
37.0
37.1
37.3
37.0
37.1
② 산소포화도 SpO2를 측정함.
8/30
PM9
9/1
AM2
9/1
AM9
9/1
PM5
9/1
PM9
SpO2
94%
95%
95%
94%
95%
2) 처방수행
① 처방된 약물을 간호사 선생님께서 투여하는 것을 관찰함.
# Mucosten ing 10% - 1일 2회, 1회 600mg IV
# Cough syr 20mL - 1일 3회, 1회 20mL PO
3) 수행
① 대상자를 Semi Fowelr's Position이나, Fowler's Position을 취해주었음.
② 산소요법을 적용해주었음.
- Nasal cannula 3L/min 시행
3) 교육
①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호흡방법에 대해 교육하였음.
- 지속적으로 코로 깊게 들이마시고, 입으로 내쉬는 심호흡 방법을 교육함.
- 기침 방법을 교육함.
- 습도가 낮을 경우 수건이나 환의를 빨아 침상근처에 널어놓도록 교육함.
- 하루에 2L의 수분을 마시도록 교육함.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1. Rounding시 대상자의 호흡 시 불편감이 감소했다고 말함.
# 숨찬감이 감소되었다고 말함.
2. 대상자가 효과적인 호흡방법을 2가지 말함.
# 코로 깊게 들이마시고, 입으로 내쉬는 심호흡 방법
# 기침 방법
간호사정 (Nursing Assessment)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 1. 8/30 VATS wedge resection, lung 함.
2. 8/30 Chest tube 삽입함.
3. 8/30 PM9 V/S 130/80-80-20-36.8
4. 수술부위 정상적인 피부 관찰됨.
시간
8/31
AM11
9/1
AM11
습한정도
건조
건조
소양감
없음
없음
부위
오른쪽 늑골
오른쪽 늑골
청결상태
청결
청결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수술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계획 (Nursing Plan)
간호 목표
장기목표 :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 1. 대상자는 5일 이내에 감염위험요인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수술부위에 발적, 종창 등의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1) 사정
① Rounding시 환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① 피부상태를 사정함으로써 앞으로의 간호중재를 미리 선택할 수 있다.
2) 처방수행
① 처방된 약물을 투약한다.
① 항생제는 수술 부위에 염증이나 감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3) 수행
① compression dressing을 실행한다.
① compressing dressing을 수행함으로써 수술부위를 청결하게 한다.
4) 교육
① 수술부위 dressing을 자주 건드리지 않도록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한다.
② 손 위생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한다.
③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한다.
① 수술부위 dressing을 자주 건드리면 감염 위험성이 높아진다.
② 모든 감염의 원인은 비위생적인 손이므로 엄격한 손의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③ 습하고 불청결한 환경은 감염의 요인이 될 수 있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1) 사정
① Roundung시 피부상태를 사정하고 기록함.
시간
9/2
AM11
9/3
AM11
9/4
AM11
습한 정도
건조
건조
건조
소양감
없음
없음
없음
부위
오른쪽 늑골
오른쪽 늑골
오른쪽 늑골
청결상태
청결
청결
청결
2) 처방수행
① 처방된 약물을 간호사 선생님이 투여하는 것을 관찰함.
# Flumarin inj 500mg - 1일 2회, IV
3) 수행
① 전담간호사선생님께서 Compression dressing 하는 것을 보조함.
4) 교육
① 수술부위 dressing을 자주 건드리지 않도록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하였음.
- dressing을 자주 건드릴 시, 손을 통한 감염위험성을 설명함.
② 손 위생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하였음.
- 손 위생 순서를 교육함.
- 물로 씻을 때에는 40초 이상, 손 소독제는 20초 이상할 것을 교육함.
③ 깨끗하고 건조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하였음.
- 습하고 불청결한 피부는 감염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함.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1. 퇴원 시까지 발적, 종창 등의 증상을 보이지 않음.
2. 대상자는 감염위험요인에 대해 2가지를 말함.
# 불청결한 손
# 습한 피부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계획 (Nursing Plan)
간호 목표
장기목표 :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 1.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호흡 시 불편감이 감소했다고 말한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효과적인 호흡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한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1) 사정
①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8시간마다 사정한다.
② 산소포화도 SpO2를 측정한다.
①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확인함으로써 또 다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② 산소포화도를 측정함으로 저산소증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2) 처방수행
①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누여한다.
① 진해거담제는 대상자의 분비물을 배출시켜주어 호흡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수행
① 대상자를 호흡이 편안 체위나 자세를 취하도록 돕고 머리 쪽을 상승시킨다.
② 산소요법을 적용한다.
① 산소 공급은 앉은 자세에서 증진되고, 폐 확장을 도와주어 호흡곤란, 노력성 호흡을 감소시킨다.
② 산소요법을 적용함으로써 대상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4) 교육
①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호흡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① 효과적인 호흡방법을 교육함으로써 호흡능력을 키운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1) 사정
①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함.
8/30
PM9
9/1
AM2
9/1
AM9
9/1
PM5
9/1
PM9
B.P
120/70
120/80
130/80
120/80
120/80
P
84
80
84
82
82
R
22
23
22
22
21
B.T
37.0
37.1
37.3
37.0
37.1
② 산소포화도 SpO2를 측정함.
8/30
PM9
9/1
AM2
9/1
AM9
9/1
PM5
9/1
PM9
SpO2
94%
95%
95%
94%
95%
2) 처방수행
① 처방된 약물을 간호사 선생님께서 투여하는 것을 관찰함.
# Mucosten ing 10% - 1일 2회, 1회 600mg IV
# Cough syr 20mL - 1일 3회, 1회 20mL PO
3) 수행
① 대상자를 Semi Fowelr's Position이나, Fowler's Position을 취해주었음.
② 산소요법을 적용해주었음.
- Nasal cannula 3L/min 시행
3) 교육
①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호흡방법에 대해 교육하였음.
- 지속적으로 코로 깊게 들이마시고, 입으로 내쉬는 심호흡 방법을 교육함.
- 기침 방법을 교육함.
- 습도가 낮을 경우 수건이나 환의를 빨아 침상근처에 널어놓도록 교육함.
- 하루에 2L의 수분을 마시도록 교육함.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1. Rounding시 대상자의 호흡 시 불편감이 감소했다고 말함.
# 숨찬감이 감소되었다고 말함.
2. 대상자가 효과적인 호흡방법을 2가지 말함.
# 코로 깊게 들이마시고, 입으로 내쉬는 심호흡 방법
# 기침 방법
간호사정 (Nursing Assessment)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 1. 8/30 VATS wedge resection, lung 함.
2. 8/30 Chest tube 삽입함.
3. 8/30 PM9 V/S 130/80-80-20-36.8
4. 수술부위 정상적인 피부 관찰됨.
시간
8/31
AM11
9/1
AM11
습한정도
건조
건조
소양감
없음
없음
부위
오른쪽 늑골
오른쪽 늑골
청결상태
청결
청결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수술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계획 (Nursing Plan)
간호 목표
장기목표 :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 1. 대상자는 5일 이내에 감염위험요인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수술부위에 발적, 종창 등의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1) 사정
① Rounding시 환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① 피부상태를 사정함으로써 앞으로의 간호중재를 미리 선택할 수 있다.
2) 처방수행
① 처방된 약물을 투약한다.
① 항생제는 수술 부위에 염증이나 감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3) 수행
① compression dressing을 실행한다.
① compressing dressing을 수행함으로써 수술부위를 청결하게 한다.
4) 교육
① 수술부위 dressing을 자주 건드리지 않도록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한다.
② 손 위생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한다.
③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한다.
① 수술부위 dressing을 자주 건드리면 감염 위험성이 높아진다.
② 모든 감염의 원인은 비위생적인 손이므로 엄격한 손의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③ 습하고 불청결한 환경은 감염의 요인이 될 수 있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1) 사정
① Roundung시 피부상태를 사정하고 기록함.
시간
9/2
AM11
9/3
AM11
9/4
AM11
습한 정도
건조
건조
건조
소양감
없음
없음
없음
부위
오른쪽 늑골
오른쪽 늑골
오른쪽 늑골
청결상태
청결
청결
청결
2) 처방수행
① 처방된 약물을 간호사 선생님이 투여하는 것을 관찰함.
# Flumarin inj 500mg - 1일 2회, IV
3) 수행
① 전담간호사선생님께서 Compression dressing 하는 것을 보조함.
4) 교육
① 수술부위 dressing을 자주 건드리지 않도록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하였음.
- dressing을 자주 건드릴 시, 손을 통한 감염위험성을 설명함.
② 손 위생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하였음.
- 손 위생 순서를 교육함.
- 물로 씻을 때에는 40초 이상, 손 소독제는 20초 이상할 것을 교육함.
③ 깨끗하고 건조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대상자와 보호자를 교육하였음.
- 습하고 불청결한 피부는 감염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함.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1. 퇴원 시까지 발적, 종창 등의 증상을 보이지 않음.
2. 대상자는 감염위험요인에 대해 2가지를 말함.
# 불청결한 손
# 습한 피부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case - 응급실 (상황, 우선순위, case, 비상약품종류와 간호),case study-뇌졸중
성인간호학레포트-이비인후과계 구조 기능
성인간호학레포트-신장,남성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암병동 케이스)
성인간호학 - 염증성 심장질환과 간호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LC)
성인간호학) 지혈장애 A+
성인간호학)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 A++
성인간호학) 식도열공탈장과 이완불능증
성인간호학 중증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A+
성인간호학) 귀의 건강사정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 복막염
성인간호학(2)hw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