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목집단 기법의 개념, 목적, 방법, 유용성 등[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목집단 기법의 개념, 목적, 방법, 유용성 등[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명목집단의 개념

2. 명목집단의 목적

3. 명목집단의 유용성

4. 진행방법

5. 유사기법
(1)브레인스토밍
(2) 델파이 기법

본문내용


이 단계는 모아진 의견에 대해 확실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을 경우에만 진행된다.
5. 유사기법
명목집단기법과 유사한 토론 방식이 몇몇 있는데 그 중 두 가지를 살펴본다면, 먼저 앞서 말했듯 명목집단기법이 개념의 기반을 두고 있는 브레인스토밍과 델파이 기법의 기본개념과 차이점을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1)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은 회합 동안 떠오르는 모든 아이디어를 기록자가 기록한다. 따라서 문제에 대한 수많은 가능한 대안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는 제안된 아이디에 대한 비판 없이 자유로운 생각과 열린 마음을 사용하는 것을 강조한다. 브레인스토밍의 목적은 가능한 한 많은 팀원들을 제안의 좋고 나쁨을 고려하지 않고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를 제시하는데 있다.
여기서 기억해야 할 것은, 브레인스토밍의 중요한 개념은 가능안한 많은 해결책이다. 이는 표현된 어떤 아이디어에 대해서 아무런 비판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모든 구성원들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2) 델파이 기법
델파이 기법은 1848년으로서 경마(競馬)의 결과를 예측해 보는 데서 시작되었다. 이를 1950년대 말경에 미국의 민간 연구기구인 랜드연구소가 군사전략 연구에 도입하여 발전시켜 일반적으로 미국의 랜드연구소가 개발한 기법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 기법은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해 문제해결이나 미래예측을 하는 방법으로 ‘전문가 합의법이라고도 하는데’ 설문을 반복하여 특정한 주제에 대해 전문가 집단의 합의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보통 세 번 정도의 설문조사를 하면 응답 간의 편차가 줄어들고 의견이 서로 비슷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 과정을 통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이 회의 장소에서 대면하는 과정을 없애고 전문가들의 익명성을 보장함으로써 보다 자유롭고 객관적으로 의견 수렴이 이루어지도록 해 준다.
델파이 기법으로 질문을 3회 되풀이하면 참가자 사이에 어떤 항목이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영향이 크다고 생각하는지가 분명해진다. 단, 델파이법으로 얻어 낸 의견의 일치는 현실 상황과는 관계가 없음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전원의 의견이 완전히 일치하더라도 그 예측이 빗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적어도 그 시점에서 참가자의 생각은 전부 모아진 것이다. 이것이 바로 델파이법의 장점이다.
■ 차이점
첫째, 명목집단 기법은 과정완료에 1시간 30분정도가 소요되지만 델파이 기법같은 경우 사람들이 응답을 한 것을 요약·정리하여 다시 우송하는 과정이 합의에 도달하게 될 때까지 계속되므로 많은 시간을 요하므로 신속한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없으며 둘째, 명목집단 기법은 의견제시에 타인의 영향력을 받진 않지만 토의가 의루어지는 장소에 당사자들이 참석한다. 하지만 델파이 기법은 응답자들이 한 자리에 참석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정철현, 행정의사결정론, 다산출판사, 2001)
(조흥식·김역혹·황숙연·김융일, 나남, 2009)
(남기범·전주수·한승준 공역, 나와나미디어, 조직혁신의 전략: 과정과 기법, 2001)
(네이버 지식백과)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9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5.21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6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