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Ⅱ한류란? 1. 한류의 정의 2. 한류의 기원
Ⅲ 중국에서의 한류 발생이유 1. 경제발전으로 인한 소비의 증가와 시기적절성 2. 문화할인적 요인 3. 상대적 문화의 낙후성 4. 중국정부의 방송언론과 드라마에 대한 통제
Ⅳ 한류가 중국사회에 미친 영향 1. 중화 복고사조 촉진 2. 경제적효과 3. 한국어 학습열풍 4. 반한류의 대두
Ⅴ 한류의 가능성과 한계 1. 한류라는 현상이 과연 동아시아와의 상호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는가? 2. 한류의 한계극복방안과 새로운 가능성의 모색
Ⅵ 결론
-출처
Ⅱ한류란? 1. 한류의 정의 2. 한류의 기원
Ⅲ 중국에서의 한류 발생이유 1. 경제발전으로 인한 소비의 증가와 시기적절성 2. 문화할인적 요인 3. 상대적 문화의 낙후성 4. 중국정부의 방송언론과 드라마에 대한 통제
Ⅳ 한류가 중국사회에 미친 영향 1. 중화 복고사조 촉진 2. 경제적효과 3. 한국어 학습열풍 4. 반한류의 대두
Ⅴ 한류의 가능성과 한계 1. 한류라는 현상이 과연 동아시아와의 상호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는가? 2. 한류의 한계극복방안과 새로운 가능성의 모색
Ⅵ 결론
-출처
본문내용
중국에서의 한류 현상 고찰
Ⅰ.서 론
2000년대 들어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수가 부쩍 늘었다. 그 중 동아시아인들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중국의 관광객 수는 대단히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2012년에는 중 국이 일본을 앞지르고 현재 한국을 가장 많이 방문하는 국가가 되었다. 필자는 여기서 왜 이 런 현상이 일어났는가 의아해하던 중 문헌검색을 통해 그 주된 이유가 바로 중국에서 일어난 한류현상에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이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고자 본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본 보고서에서는 한류의 정의와 그 기원을 짚으며 한류에 대해서 개관하고자 한다. 그 후 중 국에서 한류현상이 발생한 그 원인을 짚고자 한다. 한류연구자들은 한류현상의 이유를 다양한 맥락에서 짚고 있으나 본 보고서에서는 그 중 대표적인 몇 가지 주장들을 소개하겠다. 그 후 중국에서 한류가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서 여러 문헌검토로 인해 알게 된 사실들을 정 리하겠다. 끝으로 전술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류의 가능성과 한계를 짚어보겠다. 이를 위해 한류라는 현상이 과연 동아시아와의 상호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는지에 대해 논해 보고 이를 바 탕으로 한류의 한계와 그 극복방안에 대해서 나름대로 제시해보며 새로운 한류의 가능성을 모 색해보고자 한다.
Ⅱ.한류란?
1. 한류의 정의
한류의 정의는 기존의 출판된 서적과 논문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중국과 동아시아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한국의 TV드라마와 댄스음악 등 한국 대중문화의 유행을 지칭하는 말이라 정의된다.1) 주로 한국의 대중드라마, 대중가요에만 국한되었던 한류가 최근에는 패션, 전통음식, 화장품 등 외국인들의 관심을 끄는 모든 한국의 대중문화를 지칭하는 의미로 그 폭이 넓어져 가고 있다.2)
2, 한류의 기원
한류라는 어휘의 기원은 중국 인민일보의 2001년 11월 4일자 사설에서 ‘한풍(韓風)이 지나간
1) 박영환, 『문화한류로 본 중국과 일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8 , p.17 2) 송운뢰, ‘한류가 중국 소비자의 한국 화장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5.2 p.4 참 조
- 2
후’라는 문장에서 비롯되었다.3) 중국에서는 1997년 드라마 <별은 내 가슴에>와 <사랑이 뭐 길래>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하여 한국의 대중문화가 퍼지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1998 년 댄스그룹 H.O.T의 <행복>이 히트하고 2000년 H.O.T의 베이징 공연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면서 중국언론에서는 이 현상에 대해서 크게 보도하기 시작하였다. 2001년 중국 인민 일보에서 ‘한풍이 지나간 후’라는 문장을 사용한 이후에 한류라는 어휘가 언론에서 빈출하면 서 고유명사처럼 굳어지기 시작하였다
Ⅰ.서 론
2000년대 들어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수가 부쩍 늘었다. 그 중 동아시아인들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중국의 관광객 수는 대단히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2012년에는 중 국이 일본을 앞지르고 현재 한국을 가장 많이 방문하는 국가가 되었다. 필자는 여기서 왜 이 런 현상이 일어났는가 의아해하던 중 문헌검색을 통해 그 주된 이유가 바로 중국에서 일어난 한류현상에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이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고자 본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본 보고서에서는 한류의 정의와 그 기원을 짚으며 한류에 대해서 개관하고자 한다. 그 후 중 국에서 한류현상이 발생한 그 원인을 짚고자 한다. 한류연구자들은 한류현상의 이유를 다양한 맥락에서 짚고 있으나 본 보고서에서는 그 중 대표적인 몇 가지 주장들을 소개하겠다. 그 후 중국에서 한류가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서 여러 문헌검토로 인해 알게 된 사실들을 정 리하겠다. 끝으로 전술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류의 가능성과 한계를 짚어보겠다. 이를 위해 한류라는 현상이 과연 동아시아와의 상호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는지에 대해 논해 보고 이를 바 탕으로 한류의 한계와 그 극복방안에 대해서 나름대로 제시해보며 새로운 한류의 가능성을 모 색해보고자 한다.
Ⅱ.한류란?
1. 한류의 정의
한류의 정의는 기존의 출판된 서적과 논문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중국과 동아시아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한국의 TV드라마와 댄스음악 등 한국 대중문화의 유행을 지칭하는 말이라 정의된다.1) 주로 한국의 대중드라마, 대중가요에만 국한되었던 한류가 최근에는 패션, 전통음식, 화장품 등 외국인들의 관심을 끄는 모든 한국의 대중문화를 지칭하는 의미로 그 폭이 넓어져 가고 있다.2)
2, 한류의 기원
한류라는 어휘의 기원은 중국 인민일보의 2001년 11월 4일자 사설에서 ‘한풍(韓風)이 지나간
1) 박영환, 『문화한류로 본 중국과 일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8 , p.17 2) 송운뢰, ‘한류가 중국 소비자의 한국 화장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5.2 p.4 참 조
- 2
후’라는 문장에서 비롯되었다.3) 중국에서는 1997년 드라마 <별은 내 가슴에>와 <사랑이 뭐 길래>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하여 한국의 대중문화가 퍼지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1998 년 댄스그룹 H.O.T의 <행복>이 히트하고 2000년 H.O.T의 베이징 공연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면서 중국언론에서는 이 현상에 대해서 크게 보도하기 시작하였다. 2001년 중국 인민 일보에서 ‘한풍이 지나간 후’라는 문장을 사용한 이후에 한류라는 어휘가 언론에서 빈출하면 서 고유명사처럼 굳어지기 시작하였다
추천자료
한류열풍 : 문화속의 경제한류를 꿈꾸며
한류(寒流) 없는 한류(韓流)를 꿈꾸며
[한류열풍][한국영화][드라마]한류열풍의 원인과 한국 영화, 드라마의 수용 및 향후 대안과 ...
[한류][반한류][험한류][한류열풍]한류, 반한류, 험한류의 동향과 향후 과제 및 방향 분석(반...
[한류열풍][험한류][항한류][한류]한류열풍과 험한류 및 항한류 분석 고찰(동북아지역 문화협...
[한류][한류열풍]한류와 한류열풍 심층 분석(한류의 개념, 한류의 생성원인, 한류의 종류, 한...
[한류][한류열풍][문화산업][문화컨텐츠]한류, 한류열풍의 의의와 파급효과 및 향후 과제 및 ...
한류열풍보고서 (한류열풍 한류 신한류 한류개념 한류기원 한류발전 [사회학 사회])
한류의 정의와 영향력 조사 및 소녀시대를 통한 한류문화 발전과 문제점 해결방안 조사분석
싸이(Psy) 강남스타일 성공사례분석과 한국의 문화컨텐츠 한류의 성공을위한 사업전망 및 한...
한류문화컨텐츠 수출방안-한류문화의 발전과정,문화컨텐츠 산업이란,세계 엔터테인먼트&...
한류(사회학개론, 한류영향, 한류종류, 한류원인, 한류장단점, 한류지속성) PPT, 프레젠테이션
소녀시대 삼촌 팬,한류마케팅,엔터테이먼트사업,한류 사회문화,한류 소녀시대,한류 사회이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