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I. 본 론
1. 심장의 해부생리
2.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1) 심근경색의 정의
2) 심근경색의 원인
3) 심근경색의 증상
4) 심근경색의 진단
5) 심근경색의 치료
6) 심근경색의 간호
7) 심근경색의 합병증
8) 심근경색의 예후
9) 심근경색의 예방법
III. 사례연구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IV. 결 론
V.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I. 본 론
1. 심장의 해부생리
2.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1) 심근경색의 정의
2) 심근경색의 원인
3) 심근경색의 증상
4) 심근경색의 진단
5) 심근경색의 치료
6) 심근경색의 간호
7) 심근경색의 합병증
8) 심근경색의 예후
9) 심근경색의 예방법
III. 사례연구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IV. 결 론
V.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자료
-주관적 자료(S data)
1) “ 아침마다 피를 뽑아가는 데 이유를 모르겠어요.”
2) “ 매일 검사 왔다갔다 하는데 왜 하는 지도 모르겠고 하고 나아지는 게 있는 지도 잘 모르겠어요. ”
3) “ 이 약은 무슨 약이에요..?”
-객관적 자료(O data)
1) 검사 가기 전 불안한 표정으로 간호사에게 자꾸 질문을 하심.
2) 투약하기 전 무슨 약인지에 대해 간호사에게 질문하심.
3) 퇴원 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불안함을 나타내심.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질병 및 질병관리에 대해 이해하였음을 말로 표현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질병 및 질병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2) 보호자는 대상자의 퇴원시까지 질병 및 질병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3) 환자는 지시된 치료계획에 거부감 없이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4) 대상자는 검사 및 시술에 대한 목적을 이해하였음을 말로 표현한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질병에 관한 인식의 정도를 사정한다.
2) 질병 관리에 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3) 의사가 결과에 대한 설명과 향후 관리에 대한 설명함을 확인한다.
-교육적 계획
4) 대상자의 질병 및 질병관리에에 관한 정보제공 및 교육을 시행한다.
5) 투약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6)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7) 검사 및 시술의 목적에 대해 설명한다.
8) 검사 및 시술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9) 응급상황 대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1) 대상자의 질병에 대해 스스로가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차후 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퇴원 후 질병관리의 정도에 따라 재발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므로 지식정도를 사정하여야 한다.
3) 의사의 결과에 대한 설명과 향후관리가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함으로 정보제공 및 교육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4) 대상자에게 질병 및 향후 질병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함으로써 건강관리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5) 투약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여 투약의 이행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6) 약물의 작용 및 부작용 설명을 통해 부작용 발생시 빠른 대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7) 검사 및 시술의 목적에 관해 설명하여 불암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8) 검사 및 시술의 과정에 관한 설명을 통해 불안감을 감소 시킬 수 있다.
9) 응급상황 발생시 대처방법을 교육함으로써 향후 발생 할 수 있는 응급상황을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1. 질병에 관한 인식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2. 향후 질병 관리에 관한 지식정도를 사정하였다.
3. 의사가 결과에 대한 설명과 향후 관리에 대한 설명함을 확인하였다.
4. 대상자 및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질병 및 질병관리에 관한 정보제공 및 교육을 시행하였다.
5. 투약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6.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대상자에게 설명하였다.
7. 검사 및 시술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였다.
8. 검사 및 시술의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9. 응급상황 대처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간호평가
1. 대상자는 질병 및 질병관리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음을 말로 표현하였다.
2.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퇴원 전 질병관리 교육을 실시하였다.
3. 환자는 지시된 계획에 거부감 없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4. 환자는 약물의 이름 및 용량 투여 방법을 이해하고 말로 표현하였다.
IV. 결 론
1. 연구결과 및 제언
2013년 OO월 OO일 본원에 입원한 OOO님은 진단명 Myocardial infarction으로 내원일 오전 10시경 밭에서 일하다가 sweating 동반한 ant.chest area discomfort 발생하여 인근병원 방문 후 심전도에서 II, III, AVF ST elevation소견 보여 sublingual NG 2T투약 후 전원되어 현재 입원 중이시다. 본원 응급실 통해 응급 CAG 시행하셨고, 증상은 다소 호전되어 현재 퇴원하셨다. 상기 환자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심근경색 환자에게 나타나는 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계획을 세우고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본 환자는 통증, 특히 가슴 주변의 심한 통증을 주로 호소하였기 때문에 질병과 관련된 통증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렸고, 또한 질병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와 퇴원에 앞서 심근경색의 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판단하여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리고 그에 대한 적절한 간호수행을 실시해 보고자 하였다.
앞서 연구의 필요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심근경색은 급성기 사망률이 매우 높은 중증의 질환 중 하나이다. 또한 심장은 우리 신체에서 중요한 신체기관중 하나이며, 심장과 관련된 질병은 심각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간호사들은 그에 따른 책임과 지속적인 사정, 간호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다시한번 제고할 수 있어야 함을 제안한다.
2. 느낀점
Myocardiar infaction에 대한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순환기내과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해서 한번 더 자세히 공부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2주 동안 여러 가지를 보고 배우며 많은 것을 알게 되어 좋은 공부가 되었다. 타 병동에서 실습 때는 보지 못해던 심장초음파 검사, 운동부하검사 등을 보면서 교과서에서 보았던 것들은 다시 한번 공부해 보는 좋은기회가 되었다. 간호 학생으로써 환자가 요구하는 문제에 대해 모두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간호학생으로 해 줄 수 있는 간호부분에 대해서 한번 더 제고해 보고 수행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V. 참 고 문 헌
성인간호학 l 현문사 l 전시자 외 l 2009
성인간호학I l 대한간호협회 l 한국간호과학회 l 2010
성인간호학I l 수문사 l 김금순 외 4명 l 2012
간호과정 l 현문사 l 1995
간호중재 l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경자外 l 1997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l 유해영 l 현문사 l 2007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l 최영희 외 l 현문사 l 2006
KIMS ONLINE
-주관적 자료(S data)
1) “ 아침마다 피를 뽑아가는 데 이유를 모르겠어요.”
2) “ 매일 검사 왔다갔다 하는데 왜 하는 지도 모르겠고 하고 나아지는 게 있는 지도 잘 모르겠어요. ”
3) “ 이 약은 무슨 약이에요..?”
-객관적 자료(O data)
1) 검사 가기 전 불안한 표정으로 간호사에게 자꾸 질문을 하심.
2) 투약하기 전 무슨 약인지에 대해 간호사에게 질문하심.
3) 퇴원 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불안함을 나타내심.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질병 및 질병관리에 대해 이해하였음을 말로 표현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질병 및 질병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2) 보호자는 대상자의 퇴원시까지 질병 및 질병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3) 환자는 지시된 치료계획에 거부감 없이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4) 대상자는 검사 및 시술에 대한 목적을 이해하였음을 말로 표현한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질병에 관한 인식의 정도를 사정한다.
2) 질병 관리에 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3) 의사가 결과에 대한 설명과 향후 관리에 대한 설명함을 확인한다.
-교육적 계획
4) 대상자의 질병 및 질병관리에에 관한 정보제공 및 교육을 시행한다.
5) 투약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6)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7) 검사 및 시술의 목적에 대해 설명한다.
8) 검사 및 시술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9) 응급상황 대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1) 대상자의 질병에 대해 스스로가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차후 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퇴원 후 질병관리의 정도에 따라 재발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므로 지식정도를 사정하여야 한다.
3) 의사의 결과에 대한 설명과 향후관리가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함으로 정보제공 및 교육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4) 대상자에게 질병 및 향후 질병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함으로써 건강관리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5) 투약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여 투약의 이행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6) 약물의 작용 및 부작용 설명을 통해 부작용 발생시 빠른 대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7) 검사 및 시술의 목적에 관해 설명하여 불암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8) 검사 및 시술의 과정에 관한 설명을 통해 불안감을 감소 시킬 수 있다.
9) 응급상황 발생시 대처방법을 교육함으로써 향후 발생 할 수 있는 응급상황을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1. 질병에 관한 인식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2. 향후 질병 관리에 관한 지식정도를 사정하였다.
3. 의사가 결과에 대한 설명과 향후 관리에 대한 설명함을 확인하였다.
4. 대상자 및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질병 및 질병관리에 관한 정보제공 및 교육을 시행하였다.
5. 투약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6.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대상자에게 설명하였다.
7. 검사 및 시술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였다.
8. 검사 및 시술의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9. 응급상황 대처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간호평가
1. 대상자는 질병 및 질병관리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음을 말로 표현하였다.
2.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퇴원 전 질병관리 교육을 실시하였다.
3. 환자는 지시된 계획에 거부감 없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4. 환자는 약물의 이름 및 용량 투여 방법을 이해하고 말로 표현하였다.
IV. 결 론
1. 연구결과 및 제언
2013년 OO월 OO일 본원에 입원한 OOO님은 진단명 Myocardial infarction으로 내원일 오전 10시경 밭에서 일하다가 sweating 동반한 ant.chest area discomfort 발생하여 인근병원 방문 후 심전도에서 II, III, AVF ST elevation소견 보여 sublingual NG 2T투약 후 전원되어 현재 입원 중이시다. 본원 응급실 통해 응급 CAG 시행하셨고, 증상은 다소 호전되어 현재 퇴원하셨다. 상기 환자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심근경색 환자에게 나타나는 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계획을 세우고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본 환자는 통증, 특히 가슴 주변의 심한 통증을 주로 호소하였기 때문에 질병과 관련된 통증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렸고, 또한 질병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와 퇴원에 앞서 심근경색의 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판단하여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리고 그에 대한 적절한 간호수행을 실시해 보고자 하였다.
앞서 연구의 필요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심근경색은 급성기 사망률이 매우 높은 중증의 질환 중 하나이다. 또한 심장은 우리 신체에서 중요한 신체기관중 하나이며, 심장과 관련된 질병은 심각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간호사들은 그에 따른 책임과 지속적인 사정, 간호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다시한번 제고할 수 있어야 함을 제안한다.
2. 느낀점
Myocardiar infaction에 대한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순환기내과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해서 한번 더 자세히 공부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2주 동안 여러 가지를 보고 배우며 많은 것을 알게 되어 좋은 공부가 되었다. 타 병동에서 실습 때는 보지 못해던 심장초음파 검사, 운동부하검사 등을 보면서 교과서에서 보았던 것들은 다시 한번 공부해 보는 좋은기회가 되었다. 간호 학생으로써 환자가 요구하는 문제에 대해 모두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간호학생으로 해 줄 수 있는 간호부분에 대해서 한번 더 제고해 보고 수행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V. 참 고 문 헌
성인간호학 l 현문사 l 전시자 외 l 2009
성인간호학I l 대한간호협회 l 한국간호과학회 l 2010
성인간호학I l 수문사 l 김금순 외 4명 l 2012
간호과정 l 현문사 l 1995
간호중재 l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경자外 l 1997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l 유해영 l 현문사 l 2007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l 최영희 외 l 현문사 l 2006
KIMS ONLINE
키워드
추천자료
심근경색
[성인병]성인병의 등장, 성인병의 위험인자와 성인병 사례1(고지혈증), 성인병 사례2(당뇨병)...
심근경색 CASE (현직간호사)
[재활간호][실어증환자][관절염환자][뇌졸중환자][유방암]재활간호의 배경, 재활간호의 과정,...
[심혈관계질환, 심장근육, 심혈관계, 흡연, 협심증]심혈관계질환과 심장근육, 심혈관계질환과...
심혈관계질환(심장질환, 심장병)의 위험요인과 증상, 심혈관계질환(심장질환, 심장병)과 관상...
심장질환(심장병, 심혈관계질환) 부정맥질환, 관상동맥질환, 심장질환(심장병,심혈관계질환) ...
(스포츠의학, 운동처방관련학과) 허혈성 심장질환과 운동 - 협심증 & 심근경색.pdf
심혈관계질환(임상영양학,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울혈성신부전, 심근경색, 뇌졸중) PPT
ICU case study, Acute Myocardiac Infarction, AMI 케이스 스터디,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
심근경색 간호과정
[노인복지] 성인병과 성인병이 수반하는 합병증 - 뇌졸증, 고혈압, 심근경색, 동맥경화증, 암
ccu case) 급성관상동맥증후군 (NSTMI Non ST elevation myocardiac infarction 비 ST절 상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