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조와 기능
1) 안구 부속기의 구조
2) 내안구조
2. 건강사정
1) 건강력
2) 신체검진
3) 임상진단 검사
1) 안구 부속기의 구조
2) 내안구조
2. 건강사정
1) 건강력
2) 신체검진
3) 임상진단 검사
본문내용
히 볼
수 없는데 독서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정규적으로 검사할 필요는 없음
- 근거리 시야는 인쇄물을 사용하여 측정거리 30cm 앞에서 검사함
ㆍSnellen의 시력표 : 시력검사를 위해 흔히 사용되며 여러 크기의 영문 알파벳을 사용함
※ 시력측정방법
ㄱ. 실내를 고르게 조명하고 환자의 눈높이에 시력표를 걸어놓음
- 시력표의 조명은 200-500lux가 표준이며 측정 거리는 6m임
ㄴ. 눈가리개나 불투명한 카드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왼쪽 눈을 가리고 오른쪽부터 검사함
ㄷ. 큰 시표부터 차차 작은 시표를 읽게 하며 읽을 수 있는 최소 시표를 따라 옆의 숫자
를 보는데 옆의 숫자가 소수식이면 그 숫자가 바로 시력임
- Snellen식이이라면 예를 들어 시력이 20/30이면 20은 차트로부터 떨어진 거리이고
30은 정상인이 볼 수 있는 거리로 분모가 크면 클수록 환자의 시력은 나쁨
시력이
불량할 경우
- 0.1의 시표도 보지 못하면 그 시표를 볼 수 있을 때까지 단축시킨 거리
(m로 표시)에 예를 들면 0.1을 2m앞에서 보았을 때 0.02x2=0.4가 됨
- 1m미만의 거리에서는 50cm앞에서 손가락 개수를 알아맞히도록 하여
손가락 지수(FC)로 표시하고 이 방법으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눈 앞
에서 손을 움직여 수지운동(hand movement; HM)이라 기록함
- 수지운동도 보지 못하면 암실에서 광선의 유무를 판단하게 하고 이때의
시력을 광각(light perception)이라고 하는데 이것도 없으면 시력은 0, 즉
좁은 의미의 맹인이 됨(실제로는 시력이 20/20 또는 시야가 20°이하이면
법적맹인이라고 판단함)
②시야검사
-눈이 한점을 주시하고 있을때에 눈이 볼수 있는 범위
-중심부 시야 : 평면 시야계로 측정
-주간부와 주변부 : 주변 시야계 사용
-주변시야 측정하는 방법 : 대면법, 주변 시야계법
-대면법 : 검사자가 환자와 50cm ~1m의 거리를 두고 마주 앉아 환자의 왼쪽 눈을 가 리고 오른쪽눈과 검사자의 오른쪽 눈의 중간 지점에서 적당한 물체를 주변에서 중심으 로 점차 이동시켜 물체를 동시에 두 사람이 볼 수 있으면 정상
- 반대쪽 눈의 시야도 같은 방법
-시야결손 : 뇌 질환, 녹내장, 망막 박리
③굴절검사
-굴절 : 광선이 각막, 전방, 수정체를 통과하여 망막에 물체의 상을 맺게 하는 것
-굴절이상 : 검사하는 방법에 따라 모양근 마비성, 비마비성으로 나뉨
-모양근 마비성 굴절 이상 검사 : 굴절력이 실제보다 증가한 환자에게 모양근 마비제를 투여하여 조절력을 감소시켜 눈의 굴절상태를 평가하는것
-비마비성 굴절 이상 : 성인에서 모양근 마비제를 투여하지 않고 시행
④ 검안경 검사
-망막, 혈관, 시신경유두, 황반 등의 눈의 구조를 관찰
◆ 직상 검안법
-안저가 약 1배 확대되어 보이며 환자나 관찰자의 굴절이상을 교정할 수 있는 렌즈를 끼고 눈 가까이서 관찰
◆ 도상 검안법
-넓은 안저 시야를 한꺼번에 볼수 있으나 불과 4-5배 밖에 확대되지 않으며 거꾸로 보 임, 검사자는 도상 검안경을 쓰고 대물 렌즈를 환자의 눈 앞에 두고 검사
-검안경 검사시에 동공을 확대시키지 않아도 중심망막과 시신경은 쉽게 볼수 있음
-검안경 : 70% 알코올 솜으로 닦아서 사용, 환자의 눈에 직접 대지 말고 눈 앞 3cm 앞 에 놓고 검사, 방을 어둡게 하여 검사
◆ 세극동 현미경 검사
-높은 확대율로 눈의 전방을 검사
-각막의 상처, 홍채의 염증, 조기 백내장, 전방등을 쉽게 관찰
◆안저 촬영술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신경과 시신경 유두부의 모양이나 색깔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안저를 검사하는것
-녹내장 환자에게 시행
수 없는데 독서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정규적으로 검사할 필요는 없음
- 근거리 시야는 인쇄물을 사용하여 측정거리 30cm 앞에서 검사함
ㆍSnellen의 시력표 : 시력검사를 위해 흔히 사용되며 여러 크기의 영문 알파벳을 사용함
※ 시력측정방법
ㄱ. 실내를 고르게 조명하고 환자의 눈높이에 시력표를 걸어놓음
- 시력표의 조명은 200-500lux가 표준이며 측정 거리는 6m임
ㄴ. 눈가리개나 불투명한 카드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왼쪽 눈을 가리고 오른쪽부터 검사함
ㄷ. 큰 시표부터 차차 작은 시표를 읽게 하며 읽을 수 있는 최소 시표를 따라 옆의 숫자
를 보는데 옆의 숫자가 소수식이면 그 숫자가 바로 시력임
- Snellen식이이라면 예를 들어 시력이 20/30이면 20은 차트로부터 떨어진 거리이고
30은 정상인이 볼 수 있는 거리로 분모가 크면 클수록 환자의 시력은 나쁨
시력이
불량할 경우
- 0.1의 시표도 보지 못하면 그 시표를 볼 수 있을 때까지 단축시킨 거리
(m로 표시)에 예를 들면 0.1을 2m앞에서 보았을 때 0.02x2=0.4가 됨
- 1m미만의 거리에서는 50cm앞에서 손가락 개수를 알아맞히도록 하여
손가락 지수(FC)로 표시하고 이 방법으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눈 앞
에서 손을 움직여 수지운동(hand movement; HM)이라 기록함
- 수지운동도 보지 못하면 암실에서 광선의 유무를 판단하게 하고 이때의
시력을 광각(light perception)이라고 하는데 이것도 없으면 시력은 0, 즉
좁은 의미의 맹인이 됨(실제로는 시력이 20/20 또는 시야가 20°이하이면
법적맹인이라고 판단함)
②시야검사
-눈이 한점을 주시하고 있을때에 눈이 볼수 있는 범위
-중심부 시야 : 평면 시야계로 측정
-주간부와 주변부 : 주변 시야계 사용
-주변시야 측정하는 방법 : 대면법, 주변 시야계법
-대면법 : 검사자가 환자와 50cm ~1m의 거리를 두고 마주 앉아 환자의 왼쪽 눈을 가 리고 오른쪽눈과 검사자의 오른쪽 눈의 중간 지점에서 적당한 물체를 주변에서 중심으 로 점차 이동시켜 물체를 동시에 두 사람이 볼 수 있으면 정상
- 반대쪽 눈의 시야도 같은 방법
-시야결손 : 뇌 질환, 녹내장, 망막 박리
③굴절검사
-굴절 : 광선이 각막, 전방, 수정체를 통과하여 망막에 물체의 상을 맺게 하는 것
-굴절이상 : 검사하는 방법에 따라 모양근 마비성, 비마비성으로 나뉨
-모양근 마비성 굴절 이상 검사 : 굴절력이 실제보다 증가한 환자에게 모양근 마비제를 투여하여 조절력을 감소시켜 눈의 굴절상태를 평가하는것
-비마비성 굴절 이상 : 성인에서 모양근 마비제를 투여하지 않고 시행
④ 검안경 검사
-망막, 혈관, 시신경유두, 황반 등의 눈의 구조를 관찰
◆ 직상 검안법
-안저가 약 1배 확대되어 보이며 환자나 관찰자의 굴절이상을 교정할 수 있는 렌즈를 끼고 눈 가까이서 관찰
◆ 도상 검안법
-넓은 안저 시야를 한꺼번에 볼수 있으나 불과 4-5배 밖에 확대되지 않으며 거꾸로 보 임, 검사자는 도상 검안경을 쓰고 대물 렌즈를 환자의 눈 앞에 두고 검사
-검안경 검사시에 동공을 확대시키지 않아도 중심망막과 시신경은 쉽게 볼수 있음
-검안경 : 70% 알코올 솜으로 닦아서 사용, 환자의 눈에 직접 대지 말고 눈 앞 3cm 앞 에 놓고 검사, 방을 어둡게 하여 검사
◆ 세극동 현미경 검사
-높은 확대율로 눈의 전방을 검사
-각막의 상처, 홍채의 염증, 조기 백내장, 전방등을 쉽게 관찰
◆안저 촬영술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신경과 시신경 유두부의 모양이나 색깔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안저를 검사하는것
-녹내장 환자에게 시행
추천자료
태양의 관측법과 구조 및 특성
주식회사 한국의 구조조정 무엇이 문제인가를 읽고
『과학혁명의 구조』에 대한 심리학적 재해석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 개략
부여사의 전개와 지배구조
이비인후과와 안과계의 구조
윤대녕 탱자 사실구조분석
문제소설 상란전 사실구조분석
얼굴과 몸의 구조와 이해
이비인후과계와 안과계 구조와 기능 및 용어정리
국내외 기업의 구조조정 사례에 관한 분석
우리나라 부동산펀드의 구조와 내용
근대의 경제 구조 - 시장경제와 자본주의, 근대 시대별 경제사상 과련 주요 이론
[세계산업 구조변화] 세계 산업질서의 변화(세계산업의 발전과정,역사,발달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