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대로만 하는 실험에서는 1~2명만 실험에 참가하여 이끌어가면서 소위 몇 명만 실험을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번 실험 같은 경우에는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조원들이 실험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을 준비해야 했기 때문에 조원전체가 실험에 참가하는 좋은 방향으로 유도 된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번 실험에서 아쉬웠던 점은 첫 번째로는 고정도르래를 의자에 설치하여서 전체적인 실험세트의 높낮이가 낮아서 일정무게 이상에서는 땅에 닿아버리는 경우가 생겨 정확한 실험을 할 수가 없었다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이론과 달리 용수철 무게를 무시할 수가 없어서 실험의 결과 값에 대한 오차가 매우 커졌다는 점이었다.
처음 우려했던 것과는 다르게 실험이 잘 된 것 같아서 기쁘고 다음 실험에서도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다. 처음에 약간 어리바리한 느낌이 있어서 잘 보살펴준 조원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하고 싶다.
이번 실험을 하기 전에는 힘의 평형이라고 하면 고등학교 때 물리를 공부하지 않아서 그냥 막연하게 어렵고 머리 아프기만 했다. 하지만 예비보고서를 쓸 때 공부해 보니 x성분, y성분으로 간단하게 각각 나누어서 x성분에는 sinθ, y성분에는cosθ를 질량에 곱하고 성분의 합은 0이다 해서 방정식만 세우면 되는 것 이었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사실로 직접 함수를 만들어 그래프를 그려보기도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서 물리를 알아보지도 않고 그저 고등학교 때 물리를 안했다면서 물리실험 시간 때마다 겁먹어만 있던 나를 반성하게 되었고, 열심히 공부만 한다면 물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도 생기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물리는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다른 사람들보다 더 수학적인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봐서 ‘힘의 합력 실험 : 비대칭형’에서 벡터를 이용한 풀이도 생각해내서 조원들에게 도움을 준거 같아서 좋았다. 실험을 할 때 실험에 큰 영향을 줄 거라 생각하지 않고 용수철저울 무게 자체를 무시했었는데, 실험 결과를 낼 때 마다 용수철저울 무게가 의외로 큰 영향을 주어서 결과 값이 나올 때마다 오차가 꽤 크게 생겼다. 그렇게 생긴 오차 때문에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 위해 용수철저울 위치에 추를 조금씩 추가해서 측정하자는 아이디어가 활약을 하지 못한 것 같아 매우 아쉬웠다. 이번 실험을 통해 앞으로 실험을 할 땐 오차를 줄만한 요인은 최대로 줄일 수 있을 만큼 줄여야 한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용수철저울의 무게를 가지고 있는 설비로 측정 하는 것이 불가능 하여서 저울의 무게를 측정 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하여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까 염려하였지만 용수철 저울이 측정하는 것은 용수철저울을 거는 고리를 기준으로 아래방향으로 실을 당기는 힘을 측정한다. 즉 용수철저울이 표시하는 것은 사람이 밑으로 잡아당기는 힘 + 용수철 저울의 무게이기 때문에 용수철저울의 무게는 몰라도 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번 실험에서 아쉬운 점은 측정 시 추를 매단 도르래의 높이를 낮게 하였기 때문에 실험 시 실의 각도의 범위가 매우 좁은 범위에 한정되어 있었던 점이 아쉽다
이번 실험에서 아쉬웠던 점은 첫 번째로는 고정도르래를 의자에 설치하여서 전체적인 실험세트의 높낮이가 낮아서 일정무게 이상에서는 땅에 닿아버리는 경우가 생겨 정확한 실험을 할 수가 없었다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이론과 달리 용수철 무게를 무시할 수가 없어서 실험의 결과 값에 대한 오차가 매우 커졌다는 점이었다.
처음 우려했던 것과는 다르게 실험이 잘 된 것 같아서 기쁘고 다음 실험에서도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다. 처음에 약간 어리바리한 느낌이 있어서 잘 보살펴준 조원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하고 싶다.
이번 실험을 하기 전에는 힘의 평형이라고 하면 고등학교 때 물리를 공부하지 않아서 그냥 막연하게 어렵고 머리 아프기만 했다. 하지만 예비보고서를 쓸 때 공부해 보니 x성분, y성분으로 간단하게 각각 나누어서 x성분에는 sinθ, y성분에는cosθ를 질량에 곱하고 성분의 합은 0이다 해서 방정식만 세우면 되는 것 이었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사실로 직접 함수를 만들어 그래프를 그려보기도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서 물리를 알아보지도 않고 그저 고등학교 때 물리를 안했다면서 물리실험 시간 때마다 겁먹어만 있던 나를 반성하게 되었고, 열심히 공부만 한다면 물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도 생기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물리는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다른 사람들보다 더 수학적인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봐서 ‘힘의 합력 실험 : 비대칭형’에서 벡터를 이용한 풀이도 생각해내서 조원들에게 도움을 준거 같아서 좋았다. 실험을 할 때 실험에 큰 영향을 줄 거라 생각하지 않고 용수철저울 무게 자체를 무시했었는데, 실험 결과를 낼 때 마다 용수철저울 무게가 의외로 큰 영향을 주어서 결과 값이 나올 때마다 오차가 꽤 크게 생겼다. 그렇게 생긴 오차 때문에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 위해 용수철저울 위치에 추를 조금씩 추가해서 측정하자는 아이디어가 활약을 하지 못한 것 같아 매우 아쉬웠다. 이번 실험을 통해 앞으로 실험을 할 땐 오차를 줄만한 요인은 최대로 줄일 수 있을 만큼 줄여야 한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용수철저울의 무게를 가지고 있는 설비로 측정 하는 것이 불가능 하여서 저울의 무게를 측정 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하여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까 염려하였지만 용수철 저울이 측정하는 것은 용수철저울을 거는 고리를 기준으로 아래방향으로 실을 당기는 힘을 측정한다. 즉 용수철저울이 표시하는 것은 사람이 밑으로 잡아당기는 힘 + 용수철 저울의 무게이기 때문에 용수철저울의 무게는 몰라도 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번 실험에서 아쉬운 점은 측정 시 추를 매단 도르래의 높이를 낮게 하였기 때문에 실험 시 실의 각도의 범위가 매우 좁은 범위에 한정되어 있었던 점이 아쉽다
추천자료
RLC회로의 임피던스<일반물리학실험//형설출판사//경희대학교>
일반물리실험 액체 밀도 측정 결과 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5장 힘과 물체의 평형
일반물리학실험 7장 힘과 일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8장 선운동량 보존법칙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14장 회전운동과 관성모멘트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15장 물질의 비중 측정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3. 빛지레를 이용한 물체의 두께 측정 결과 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 9장 운동량과 에너지 보존 결과보고서
일반물리실험-단조화운동 예비보고서입니다.
일반물리학실험 -물질의 비중 측정 예비 보고서
일반물리실험 A+자료 속력측정 결과레포트
일반물리실험 A+자료 낙하운동(semina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