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태아 심박동 양상
1) 태아심박동 기본선
① 자궁수축이 없을 때나 수축과 수축사이에 10분간 FHR 측정하여 범위 결정
② 정상치: 120~160회/분
③ 영향: 태아의 자율신경계의 통합성, 미성숙, 태아 저산소증, 약물, 모체의 발열
2) 태아빈맥 (Fetal Tachycardia)
① 정의: 분당 160회 이상의 기초 태아심박동이 15분 이상 나타날 때
② 원인: 초기 태아 저산소증, 모체발열, 태아 심장 부정맥, 부교감 신경 차단제, 교감신경 유사제, 모체 갑상선 기능항진증, 태아빈혈
③ 간호중재
㉠ 자궁수축에 의한 반응으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빈맥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자궁수축 여부, FHR, 산부V/S을 관찰한다.
㉡ 산모의 동맥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자세를 변경시킨다. (Lt. Lateral position)
㉢ 태아의 위험요인 감지를 위해 지속적인 재검사와 관찰, 기록을 수행한다.
1) 태아심박동 기본선
① 자궁수축이 없을 때나 수축과 수축사이에 10분간 FHR 측정하여 범위 결정
② 정상치: 120~160회/분
③ 영향: 태아의 자율신경계의 통합성, 미성숙, 태아 저산소증, 약물, 모체의 발열
2) 태아빈맥 (Fetal Tachycardia)
① 정의: 분당 160회 이상의 기초 태아심박동이 15분 이상 나타날 때
② 원인: 초기 태아 저산소증, 모체발열, 태아 심장 부정맥, 부교감 신경 차단제, 교감신경 유사제, 모체 갑상선 기능항진증, 태아빈혈
③ 간호중재
㉠ 자궁수축에 의한 반응으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빈맥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자궁수축 여부, FHR, 산부V/S을 관찰한다.
㉡ 산모의 동맥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자세를 변경시킨다. (Lt. Lateral position)
㉢ 태아의 위험요인 감지를 위해 지속적인 재검사와 관찰, 기록을 수행한다.
추천자료
임심과 출산
angio-room에서 하는 시술(PTCA,인공심박동기,IABP,PTBD,TACE,뇌혈관 조영술,뇌동맥류 코일 ...
[간호학]분만 중 태아건강사정과 특징 및 유의사항[A+추천 레포트★★★★★]
기독교 태교 개념, 중요성 정리 및 기독교 태아교육 및 비기독교 태아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
의학용어(간호실무용어) - 심맥관계
임산부의 흡연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
[심장][심장 개념][심장 구조][심장 기능][심장 종류][심장 활동][심장 박동][심장 질환][심...
[심장][자극전도계][심장 구조][심장 활동][심장 박동][심박출량][심장 순환][심장 질환]심장...
심맥관계와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
인공 심박동기 (1. 인공 심박동기2. 인공 심박동기의 유형3. 인공 심박동기 이식 전,후 간호 ...
11장 인간의 성장과 발달 태아기 영유아기 학령전기
산전관리, 산전관리목적, 산전관리방법, 임신력, 출산력, 태아건강사정, 임신1기, 임신2기, ...
(정신건강 공통) 1. 태아기, 영아기, 유아기, 청소년기, 성인기, 노년기의 발달 변화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