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태아 심음 청진
2. 전자 태아 감시
2. 전자 태아 감시
본문내용
으로 상승 → 자궁수축과 관계, 자궁내압과 무관
진통 동안에 상승을 보인 태아의 결과는 한결같이 좋음
증가된 FHR은 교감신경계의 일시적인 자극 때문, 제대정맥의 선택적인 폐쇄를 일으켜 태아에게 저혈압과 FHR의 일시적인 증가
조기감퇴
양상 : FHR는 자궁 수축과 함께 서서히 시작해서 자궁 수축이 끝나면 기본선으로 되돌아 옴
병태생리학 : 아두 압박(아두 압박은 자궁수축과 관계있음)
감퇴가 가장 늦은 점 : FHR이 100회/분이거나 그 이하
후기감퇴
양상 : FHR이 수축의 극기에서 떨어지기 시작하여 자궁수축이 멈춘 후 기본선으로 돌아옴
병태생리학 : 자궁과 태반의 혈액순환 부적절
심박수 감소는 미미하고 정상 범위 내에 있거나 가변성이 소실되거나 감소되면 문제됨
가변성이 감소된 후기 감퇴는 가변성이 있는 후기 감퇴보다 태아산증과 더 관계있음
지연된 감퇴
양상 : FHR이 2분 이상 10분 이내로 약 30회/분 이상의 기본선 아래로 감속
병태생리학 : 제대 압박이나 태반 순환의 부적절, 그리고 아두하강이 급격히 될 때
간호중재가 비효과적이라면 즉시 분만유도
가변성감퇴
양상 : 자궁수축 동안 또는 수축의 사이에 FHR이 감퇴함. 양상은 기본선에서 U자 V모양으로 갑자기 떨어졌다가 돌연히 기본선으로 되돌아옴
병태생리학 : 탯줄압박
진통 동안에 가장 흔히 관찰
제대 압박 시 → 태아의 말초혈관 저항이 증가 → 태아의 산소분압은 저하, 이산화탄소분압은 상승 → 미주신경 자극 → 태아 심박동수 저하 발생시킴 → 미주신경의 활동은 비정상적으로 되고 수축의 시작, 형태, 정도, 지속시간을 다양하게 일으킴
(5) 비주기적 상승과 감퇴
- 자궁수축이 없이도 비주기적인 상승과 감퇴가 발생할 수 있음
예 : 태동이나 자극과 관련된 상승, 제대 탈출처럼 자궁수축과 관련되지 않은 감퇴 등
sinusoidal pattern
기본선의 반복적인 기복이 있는 비정상적인 FHR
일시적인
sinusoidal pattern
정상태아일 경우에도 보일 수 있음
특별히 태아의 기형과 관계있는 것은 아님
지속적인
sinusoidal pattern
때때로 태아의 저산소증과 태아 빈혈을 의미 → Rh인자의 면역에 기인한 중증 태아에서 자주 발견
심각한 태아 빈혈은 산부에게서 출혈이 있는 경우 볼 수 있음
sinusoidal pattern 발생
심각한 저산소증으로 기인한 자율신경 조절의 상실을 반영한다는 가설이 있음
- 이 양상은 중증 태아의 예후가 나쁜 징조로 여겨짐
7) 태아 감식기적용
-대상자에게 심리적인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감시기 적용의 필요성을 진통의 시작 전에 대상자에게 상의
-태아에게 위험이 있어서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태아에게 위험이 생기기 전에 위험을 알아내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대상자에게 가르쳐 주어 대상자의 공포를 완화시켜줌
-대부분의 대상자는 감시기 조작을 관찰하기 원하기 때문에 장치는 산부나 남편, 간호사가 볼 수 있는 곳에 놓아야 함
-비정상적인 태아심박동 양상이 발견되면 간호사는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고 동시에 대상자를 안심시키고 의사에게 보고함
진통 동안에 상승을 보인 태아의 결과는 한결같이 좋음
증가된 FHR은 교감신경계의 일시적인 자극 때문, 제대정맥의 선택적인 폐쇄를 일으켜 태아에게 저혈압과 FHR의 일시적인 증가
조기감퇴
양상 : FHR는 자궁 수축과 함께 서서히 시작해서 자궁 수축이 끝나면 기본선으로 되돌아 옴
병태생리학 : 아두 압박(아두 압박은 자궁수축과 관계있음)
감퇴가 가장 늦은 점 : FHR이 100회/분이거나 그 이하
후기감퇴
양상 : FHR이 수축의 극기에서 떨어지기 시작하여 자궁수축이 멈춘 후 기본선으로 돌아옴
병태생리학 : 자궁과 태반의 혈액순환 부적절
심박수 감소는 미미하고 정상 범위 내에 있거나 가변성이 소실되거나 감소되면 문제됨
가변성이 감소된 후기 감퇴는 가변성이 있는 후기 감퇴보다 태아산증과 더 관계있음
지연된 감퇴
양상 : FHR이 2분 이상 10분 이내로 약 30회/분 이상의 기본선 아래로 감속
병태생리학 : 제대 압박이나 태반 순환의 부적절, 그리고 아두하강이 급격히 될 때
간호중재가 비효과적이라면 즉시 분만유도
가변성감퇴
양상 : 자궁수축 동안 또는 수축의 사이에 FHR이 감퇴함. 양상은 기본선에서 U자 V모양으로 갑자기 떨어졌다가 돌연히 기본선으로 되돌아옴
병태생리학 : 탯줄압박
진통 동안에 가장 흔히 관찰
제대 압박 시 → 태아의 말초혈관 저항이 증가 → 태아의 산소분압은 저하, 이산화탄소분압은 상승 → 미주신경 자극 → 태아 심박동수 저하 발생시킴 → 미주신경의 활동은 비정상적으로 되고 수축의 시작, 형태, 정도, 지속시간을 다양하게 일으킴
(5) 비주기적 상승과 감퇴
- 자궁수축이 없이도 비주기적인 상승과 감퇴가 발생할 수 있음
예 : 태동이나 자극과 관련된 상승, 제대 탈출처럼 자궁수축과 관련되지 않은 감퇴 등
sinusoidal pattern
기본선의 반복적인 기복이 있는 비정상적인 FHR
일시적인
sinusoidal pattern
정상태아일 경우에도 보일 수 있음
특별히 태아의 기형과 관계있는 것은 아님
지속적인
sinusoidal pattern
때때로 태아의 저산소증과 태아 빈혈을 의미 → Rh인자의 면역에 기인한 중증 태아에서 자주 발견
심각한 태아 빈혈은 산부에게서 출혈이 있는 경우 볼 수 있음
sinusoidal pattern 발생
심각한 저산소증으로 기인한 자율신경 조절의 상실을 반영한다는 가설이 있음
- 이 양상은 중증 태아의 예후가 나쁜 징조로 여겨짐
7) 태아 감식기적용
-대상자에게 심리적인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감시기 적용의 필요성을 진통의 시작 전에 대상자에게 상의
-태아에게 위험이 있어서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태아에게 위험이 생기기 전에 위험을 알아내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대상자에게 가르쳐 주어 대상자의 공포를 완화시켜줌
-대부분의 대상자는 감시기 조작을 관찰하기 원하기 때문에 장치는 산부나 남편, 간호사가 볼 수 있는 곳에 놓아야 함
-비정상적인 태아심박동 양상이 발견되면 간호사는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고 동시에 대상자를 안심시키고 의사에게 보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