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Well Flexed
Respiratory
Absent
Weak
Strong
Irritability
Absent
Some Motion
Cry
Color
Blue pale
Pinky body & blue extremity
Complete pink
(4) 태반박리
① 태반 박리 시간:
② 태반 무게 :
③ 제대 : 길이 -
제대 동맥수 - 2개 제대 정맥수 - 1개
④ 총 혈액손실 : 800 ml
5) 분만과 관련된 정보
(1) 수술 경험
① 제왕절개술을 선택한 이유? 난소의 낭이 있기 때문에 수술을 선택함.
② 제왕절개술을 받은 느낌? 아프고 무서웠음.
(2) 모성전환
① 분만 후 느낌? 아팠지만 아이를 낳아서 기뻤음.
② 아이를 본 느낌 ? 부모가 됐다는 느낌과 잘 키워야겠다는 느낌이 들었음.
(3) 수유방법 : 모유수유
(4) 산후조리
① 산후조리는 누가 도와 중 예정인가? 남편과 친정 어머니
② 산후조리와 육아에 문제가 있다면 어떤 문제가 있나?
산후조리는 특별한 문제없고 육아는 아기가 입원해 있는 것 때문에 걱정이 되고
아이가 커서는 교육문제가 걱정됨.
③ 앞으로의 가족계획은 어떤 방법으로 할 것인가?
3년동안은 피임을 할 것이고 그 후 아이(아들)를 하나 더 낳고 싶음.
6) 산욕기 수술후 간호
수술직후
수술후 제 1일
수술후 제 2일
활력징후
혈압 (mmHg)
100/60
100/60
110/60
맥박 (회/분)
70
100
108
호흡 (회/분)
20
20
20
체온 (℃)
37.5
38.0
38.2
자궁 수축
good
-
-
질 출혈
있음
있음
mild
수술부위 동통
mild
severe
mild
섭취량 (ml)
50
3650
500
배설량 (ml)
70
450
150
배 뇨 (ml)
70
450
150
배 변
-
-
소량
유방울혈 및 동통
유방 울혈되어 있음
유방 울혈되어 있고 동통 호소
유방 울혈 되어있고 동통 호소
정서적 상태
수술로 인한 두려움과 통증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임.
아기의 건강에 대한 걱정과 통증으로 인한 고통으로 진통제 요구함.
통증도 나아지고 복도를 걸어다님. 아기가 있는 신생아실 면회도 가며 점차 안정을 찾아가는 듯 보임.
3. 간호과정
의미있는 자료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과학적 근거
“숨도 못 쉬게 배가아파요”
“ 진통제 좀 놔줘요”
고통스러운 표정으로 배를 잡고 있다
진통제 투여
c-sec분만
(lower segment transverse c-sec)
# 1.c-sec분만(lower segment transverse c-sec) 관련된
통증
“ 열이 나는것 같아요”
“ 숨이 가쁘고 힘이 드네요”
수술부위의 Dressing
체온상승과 맥박 증가
(38.2℃, 108회/분)
임상검사결과 WBC의
상승 (18.32↑)
F-cath를 지니고 있어 요로감염의 위험이 있고
IV를 통한 혈관내 감염위험과 수술부위로의 감염위험이 있음
# 2. 침습적 치료 및 수술부위의 감염위험성
“ 우리 아이는 괜찮은 가요?”
“ 나도 아프고 아이도 아프니 서로 잘 만나지도 못하고 정말 걱정이에요”
아이에 대한 걱정으로
표정이 어두워 보임.
첫 아기라 부모 역할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 못함.
C-sec분만을 하여 수술 후 아이를 빨리 만나 볼 수 없었고 신생아 또한 TTN 진단을 받고 NICU에 입원하게 되어 부모와 유대관계를 형성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음
# 3. 유대관계 형성과정의 방해와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위험성
간호진단
목표/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수술과 관련된 통증
◇ 목표 : 환자의 통증이 감소한다.
◇ 기대되는 결과 : 28일 이후 진통제의 요구가 줄어든다.
① 환자의 극심한 통증 요구시 담당의사에게 보고하고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 후 효과 및 부작용을 사정한다.
② 처방된 진통제를 주사하고 그 효과 및 부작용의 발현을 관찰한다.
③ V/S을 수시로 체크한다.
④ 수술 절개부위를 수시로 관찰하며 감염의 징후나, 이상 증상을 관찰하여 이상이 있을 시 보고한다.
⑤ 환자에게 PCA 사용법을
교육한다.
① 통증의 양상과 강도에 대해서 파악한다.
② 극심한 통증 및 진통제의 부작용이 발현될 시 V/S의 변화가 나타난다.
③ PCA를 올바르게 사용함으로써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통증감소를 말로 표현한다.
-진통제의 투여횟수와 양이 감소되었다.
-얼굴표정이 밝아지고 편안해 보인다.
침습적 치료 및 수술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 목표 : 환자는 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
◇ 기대되는 결과
: 환자는 감염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다.
① 감염의 징후(구강점막의 발적, IV site의 swelling, 발열, 맥박의 변화)를
2시간마다 사정한다.
② 기침과 심호흡을 장려하고 찬 가습기를 제공한다.
③ Foley-catheter의 소변 수집기는 침상보다 낮게 하고 배출관이 꺽이지 않게 한다.
④ 항생제를 투여한다.
⑤ 모든 처치는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① 감염 시 V/S의 변화가 나타난다.
② 폐활량 증가와 무기폐와 폐렴 최소화
③ 역류방지, 감염예방
④ 뮤균적으로 시행시 감염률이 감소된다.
감염의
증후가 나타
나지 않았고
V/S 이
정상범위에
있다.
유대관계 형성과정의 방해와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 위험성
◇ 목표 : 효과적인 유대관계를 증진한다.
◇기대되는 결과 :
부모는 아이를
면회를 하면서 지속적으로
접촉을 시도하며 유대관계를 형성해 나간다.
① 제왕절개분만이 수술이 아닌
분만의 한 형태임을 설명한다.
② 신생아의 상태와 특성을 (성별, 몸무게, 정상유무, 발육)
알려준다.
③ 면회시간에 맞추어 부모가 함께 아이를 찾아가도록 한다.
④ 산모가 수유할 수 있을 만큼
상태가 호전되면 모유수유를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⑤ 어떤 경우에도 부모의 적응이 필요하며 그것이 정상 반응임을 강조한다.
- 아이와 자주 접촉하고 모유수유를
함으로써 애착을 증진시킬 수 있다
- 자가 간호와
신생아 간호를 한다.
- 부모는 신생아와의 접촉을 만족해한다.
- 아이를 한 가족으로 받아들이며 부모역할을 할 수 있다.
Respiratory
Absent
Weak
Strong
Irritability
Absent
Some Motion
Cry
Color
Blue pale
Pinky body & blue extremity
Complete pink
(4) 태반박리
① 태반 박리 시간:
② 태반 무게 :
③ 제대 : 길이 -
제대 동맥수 - 2개 제대 정맥수 - 1개
④ 총 혈액손실 : 800 ml
5) 분만과 관련된 정보
(1) 수술 경험
① 제왕절개술을 선택한 이유? 난소의 낭이 있기 때문에 수술을 선택함.
② 제왕절개술을 받은 느낌? 아프고 무서웠음.
(2) 모성전환
① 분만 후 느낌? 아팠지만 아이를 낳아서 기뻤음.
② 아이를 본 느낌 ? 부모가 됐다는 느낌과 잘 키워야겠다는 느낌이 들었음.
(3) 수유방법 : 모유수유
(4) 산후조리
① 산후조리는 누가 도와 중 예정인가? 남편과 친정 어머니
② 산후조리와 육아에 문제가 있다면 어떤 문제가 있나?
산후조리는 특별한 문제없고 육아는 아기가 입원해 있는 것 때문에 걱정이 되고
아이가 커서는 교육문제가 걱정됨.
③ 앞으로의 가족계획은 어떤 방법으로 할 것인가?
3년동안은 피임을 할 것이고 그 후 아이(아들)를 하나 더 낳고 싶음.
6) 산욕기 수술후 간호
수술직후
수술후 제 1일
수술후 제 2일
활력징후
혈압 (mmHg)
100/60
100/60
110/60
맥박 (회/분)
70
100
108
호흡 (회/분)
20
20
20
체온 (℃)
37.5
38.0
38.2
자궁 수축
good
-
-
질 출혈
있음
있음
mild
수술부위 동통
mild
severe
mild
섭취량 (ml)
50
3650
500
배설량 (ml)
70
450
150
배 뇨 (ml)
70
450
150
배 변
-
-
소량
유방울혈 및 동통
유방 울혈되어 있음
유방 울혈되어 있고 동통 호소
유방 울혈 되어있고 동통 호소
정서적 상태
수술로 인한 두려움과 통증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임.
아기의 건강에 대한 걱정과 통증으로 인한 고통으로 진통제 요구함.
통증도 나아지고 복도를 걸어다님. 아기가 있는 신생아실 면회도 가며 점차 안정을 찾아가는 듯 보임.
3. 간호과정
의미있는 자료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과학적 근거
“숨도 못 쉬게 배가아파요”
“ 진통제 좀 놔줘요”
고통스러운 표정으로 배를 잡고 있다
진통제 투여
c-sec분만
(lower segment transverse c-sec)
# 1.c-sec분만(lower segment transverse c-sec) 관련된
통증
“ 열이 나는것 같아요”
“ 숨이 가쁘고 힘이 드네요”
수술부위의 Dressing
체온상승과 맥박 증가
(38.2℃, 108회/분)
임상검사결과 WBC의
상승 (18.32↑)
F-cath를 지니고 있어 요로감염의 위험이 있고
IV를 통한 혈관내 감염위험과 수술부위로의 감염위험이 있음
# 2. 침습적 치료 및 수술부위의 감염위험성
“ 우리 아이는 괜찮은 가요?”
“ 나도 아프고 아이도 아프니 서로 잘 만나지도 못하고 정말 걱정이에요”
아이에 대한 걱정으로
표정이 어두워 보임.
첫 아기라 부모 역할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 못함.
C-sec분만을 하여 수술 후 아이를 빨리 만나 볼 수 없었고 신생아 또한 TTN 진단을 받고 NICU에 입원하게 되어 부모와 유대관계를 형성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음
# 3. 유대관계 형성과정의 방해와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위험성
간호진단
목표/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수술과 관련된 통증
◇ 목표 : 환자의 통증이 감소한다.
◇ 기대되는 결과 : 28일 이후 진통제의 요구가 줄어든다.
① 환자의 극심한 통증 요구시 담당의사에게 보고하고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 후 효과 및 부작용을 사정한다.
② 처방된 진통제를 주사하고 그 효과 및 부작용의 발현을 관찰한다.
③ V/S을 수시로 체크한다.
④ 수술 절개부위를 수시로 관찰하며 감염의 징후나, 이상 증상을 관찰하여 이상이 있을 시 보고한다.
⑤ 환자에게 PCA 사용법을
교육한다.
① 통증의 양상과 강도에 대해서 파악한다.
② 극심한 통증 및 진통제의 부작용이 발현될 시 V/S의 변화가 나타난다.
③ PCA를 올바르게 사용함으로써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통증감소를 말로 표현한다.
-진통제의 투여횟수와 양이 감소되었다.
-얼굴표정이 밝아지고 편안해 보인다.
침습적 치료 및 수술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 목표 : 환자는 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
◇ 기대되는 결과
: 환자는 감염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다.
① 감염의 징후(구강점막의 발적, IV site의 swelling, 발열, 맥박의 변화)를
2시간마다 사정한다.
② 기침과 심호흡을 장려하고 찬 가습기를 제공한다.
③ Foley-catheter의 소변 수집기는 침상보다 낮게 하고 배출관이 꺽이지 않게 한다.
④ 항생제를 투여한다.
⑤ 모든 처치는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① 감염 시 V/S의 변화가 나타난다.
② 폐활량 증가와 무기폐와 폐렴 최소화
③ 역류방지, 감염예방
④ 뮤균적으로 시행시 감염률이 감소된다.
감염의
증후가 나타
나지 않았고
V/S 이
정상범위에
있다.
유대관계 형성과정의 방해와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 위험성
◇ 목표 : 효과적인 유대관계를 증진한다.
◇기대되는 결과 :
부모는 아이를
면회를 하면서 지속적으로
접촉을 시도하며 유대관계를 형성해 나간다.
① 제왕절개분만이 수술이 아닌
분만의 한 형태임을 설명한다.
② 신생아의 상태와 특성을 (성별, 몸무게, 정상유무, 발육)
알려준다.
③ 면회시간에 맞추어 부모가 함께 아이를 찾아가도록 한다.
④ 산모가 수유할 수 있을 만큼
상태가 호전되면 모유수유를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⑤ 어떤 경우에도 부모의 적응이 필요하며 그것이 정상 반응임을 강조한다.
- 아이와 자주 접촉하고 모유수유를
함으로써 애착을 증진시킬 수 있다
- 자가 간호와
신생아 간호를 한다.
- 부모는 신생아와의 접촉을 만족해한다.
- 아이를 한 가족으로 받아들이며 부모역할을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수술후 오심구토의 문헌고찰과 간호과정
백내장(cataract) 문헌고찰
Ⅰ. 제왕절개와 자연분만의 문헌고찰
심근경색과 고혈압에 대한 문헌고찰
담석증 - 문헌고찰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문헌고찰
SPR 스키조 정신분열 문헌고찰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 ...
[아동간호] 가와사키 문헌고찰
[간호] 뇌 동맥류 문헌고찰
[기본간호학] 임종간호에 대한 문헌고찰
[간호학] 화상 문헌고찰 (화상 분류, 종류, 증상 및 징후, 치료적 관리, 예후 및 합병증)
만성신부전 케이스(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찰,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느낀점 ) A...
성인간호학) 대동맥판막질환 사전학습자료, 문헌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