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사정한다: 대천문의 함몰, 흥분, 불안정
6. 두개강 상승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의식수준의 변화, 활력징후의 변화(수축기압의 상승,
맥박수의 감소, 감소하거나 불규칙적인 호흡), 구토, 동공의 변화를 기록
7. 측로술을 한 피부에 과도한 압박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머리 드레싱 아래 귀 윗부분과 뒷부분에 거즈를 댄다.
진단) 수술 시 금식과 관련된 영양부족
S:-
O: 대상자는 울고 있으며 sucking reflex를 강하게 보인다.
: 대상자 현재 plasma solution 주입되고 있고 금식상태이다.
중재) 1. 불안정, 식욕부진, 구토 경향이 생길 수 있으므로 수유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숙지한다.
2. 수유 전에 간호와 치료를 끝내도록 해서 수유 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3. 머리를 잘 지지하면서 반좌위로 안고 수유한다. 트림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할애한다.
4. 적은 양을 자주 제공한다.
5.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수유 후 머리 부위를 상승시켜 옆으로 눕힌다.
reference)
김조자 외(2003). 성인간호학3. 서울: 현문사
Sigma Theta Tau Lambda 외(2003).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서울:현문사.
6. 두개강 상승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의식수준의 변화, 활력징후의 변화(수축기압의 상승,
맥박수의 감소, 감소하거나 불규칙적인 호흡), 구토, 동공의 변화를 기록
7. 측로술을 한 피부에 과도한 압박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머리 드레싱 아래 귀 윗부분과 뒷부분에 거즈를 댄다.
진단) 수술 시 금식과 관련된 영양부족
S:-
O: 대상자는 울고 있으며 sucking reflex를 강하게 보인다.
: 대상자 현재 plasma solution 주입되고 있고 금식상태이다.
중재) 1. 불안정, 식욕부진, 구토 경향이 생길 수 있으므로 수유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숙지한다.
2. 수유 전에 간호와 치료를 끝내도록 해서 수유 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3. 머리를 잘 지지하면서 반좌위로 안고 수유한다. 트림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할애한다.
4. 적은 양을 자주 제공한다.
5.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수유 후 머리 부위를 상승시켜 옆으로 눕힌다.
reference)
김조자 외(2003). 성인간호학3. 서울: 현문사
Sigma Theta Tau Lambda 외(2003).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서울: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