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영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내영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rax)을 초래
②상완 신경얼기나 동맥의 손상
③공기 색전증
④쇄골밑 정맥의 혈전증과 감염, 고혈당증, 저혈당증, 그밖에 다른 전해질의 불균형
TPN의 고장성 포도당 용액은 세균성장의 배지역할을 한다. TPN을 받는 대상자는 특히 캔디다. 패혈증 등의 감염에 매우 취약하다. 카테터나 용액, 삽입 부위 튜브나 여과지의 오염 등이 감염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카테터 드레싱, 용액이나 정맥 튜브를 교환할 때 엄격하게 무균술을 유지해야 한다.
여과지는 대개 세균이나 입자를 걸러내기 위해 수액주입관 안에 있다. 용액과 주입물품들은 24시간마다 교환해야 한다. 드레싱은 카테터를 삽입한 바로 직후를 제외하고는 병원정책에 따라 48~72시간 간격으로 교환한다(드레싱은 삽입한 후 첫10일간은 대개 24시간마다 교환한다). 드레싱을 교환하기 위해 마스크를 쓰고 멸균 장갑을 끼며 Betadine과 항생제연고를 삽입부위에 바르고 건조시킨 후 멸균 드레싱 또는 투명 드레싱을 한다. 공기와 적은 약의 습기도 스며들지 않도록 폐쇄 드레싱을 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용액은 반드시 버린다.
TPN용액의 주입 속도가 포도당 대사보다 빠르면 고혈당증이 발생하여 삼투성 이뇨와 함께 탈수와 전해질 부족이 발생하므로 이와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주입펌프를 사용한다.
TPN용액이 일정한 속도로 주입 되어도 대상자의 혈당치는 주입되는 포도당 농도가 높기 때문에 상승되므로 regular insulin을 투여하기도한다. 대상자에게 많이 나타나는 고혈당에 대한 신체의 중요한 반응은 췌장에서의 인슐린 배출이 증가하는 것이다. 만약 고장성의 포도당 용액의 공급이 갑자기 중단되며 혈당치는 떨어지지만 인슐린은 계속 방출되어 대상자는 저혈당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갑자기 TPN용액의 주입을 멈추지 말아야 하며, TPN용액이 준비가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10%포도당 용액을 주입하여 갑자기 저혈당이 되지 않도록한다. 정맥혈전증 역시 또 다른 합병증으로 목정맥의 확장(한쪽만)이나 팔, 목, 얼굴의 한쪽에만 생기는 부종 및 어깨의 통증 등이 특징적인 증상이다. 만약 이러한 상태가 의심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TPN 용액의 주입 속도를 세심하게 관찰하여 생길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한다. 만약, 용액이 계획보다 느리게 주입된 경우라도 갑자기 속도를 빠르게 하지 않는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며 탈수와 과수화(overhydration)상태를 사정한다. 체중 측정과 BUN, creatinine, 전해질, 미네랄과 같은 생화학 혈액 검사로 영양 상태를 측정하며 감염이나 염증증상이 있는지를 사정하기 위해 활력징후 중 체온의 변화와 드레싱시 카테터 삽입 부위의 발적, 부종, 삼출물 등을 관찰한다.
<참고 자료>
최신기본 간호학(하) - 현문사- 2001년 - 김명자외 12명
개정판 기본간호학(하) - 현문사- 1999년 -김명자, 김금순외 5명
기본간호의 실제 - 현문사 - 송경애외 지음
임난영 外(1999), 기본간호학, 수문사
임난영 外(1999), 기본간호의 실제, 수문사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0.30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9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