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Ⅱ.본론
본문내용
] Propionic acid계 NSAIDs: 해열,진통,소염
[효능] 만성관절류마티스, 변형성 관절증, 요통, 견관절주위염, 경견완증후군, 수술후.외상 후 및 발치후의 소염.진통, 급성상기도염에서의 해열.진통
[용량] 1 tab t.i.d.(max.dose:6tab/day). 1회 요법시에는 1회 1~2 tab
[소아] 안전성 미확립
[부작용] 간효소치 상승, 복통, 위장관궤양, 가슴앓이, 발진, 급성신부전, 골수억제, 쇽
[금기] 소화성궤양, 중증의 혈액이상, 중증의 간.신장애, 아스피린 천식 및 기왕력자
[임부]안전성 미확립
분만지연 및 유즙이행이 보고되었으므로, 임신말기 및 수유부 투여금지
[저장]실온보관
Gasmtion(Mosapride citrate)
[약리] 5HT4 agonist : 신경말단에서 ACH유리, 소화관, 평활근, 운동촉진
D2 antagonist 작용은 없음: 추체외로계, 고프롤락틴혈증의 부작용 없음
[효능] 기능성 소화불량(만성위염)에 수반하는 소화기능이상: 가슴쓰림, 오심, 구토
[용량]1 tab t.i.d.
[소아] 안전성 미확립
[부작용] 설사, 간기능 장애, 황달, 심계항진, 어지러움, 과민증(부종, 발진, 담마진)
[임부] 안전성 미확립
[저장] 실온 (1~30도)
Medilac-Ds
[약리] 생균정장제
[효능] 장내균총 이상에 의한 증상의 개선: 변비, 묽은 변, 복부 팽만감, 장내이상발효
[용량] 성인 및 12세이상 소아: 0.5~1cap
b.i.d.~t.i.d.
[소아] 3개월 미만의 영아에 투여시 주의
☆임신 중 복용약물의 안전성(참고)
임신중에 복용한 약물의 영향은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그보다도 약물의 복용빈도(복용량),복용시기(태아의 발육시기)에 더 큰 영향이 있다.
-난세포기(착상이전)
:기형 발생인자는 all or none effect로 이 시기는 유산이 되거나 전혀 영향이 없거나 둘 중 하나로 결정됨 (기형유발 불가능)
-배아기(기관형성기:2~8주)
:기관형성이 가장 왕성한 시기로 기형발생인자의 영향을 가장 쉽게 받는 시기임
최기성 약물은 형태학적 기형(신경제, 사지, 눈, 심장 등의 기형) 을 유발하므로 특히 이시기에는 가능한 한 약물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음
-태아기(8주이후)
:조직형성이 되는 시기로 최기성 약물로 인한 형태학적 기형은 중추신경계나 생식선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나 태아의 성장이나 특정기관의 크기에는 영향이 있을 수 있다.
기관 형성기 다음으로 약물에 의해 영향을 받기 쉬운 시기는 임신말기이다. 모체는 약을 복용하더라도 대사, 배설 시킬 수 있으나 태아는 체내 각 기능이 미숙하여 대사처리 할 수 없어 체내에 장기간 어울러 작용을 나타낼 수 있음
8. 간호과정
< 간호진단 >
#1. 유방울혈과 관련된 통증
-주관적 근거: “젖몸살 때문에 아프고 힘들어요 특히 오른쪽이 더 심해요.”
-객관적 근거: Brest engogement (+) RT) (+)
얼굴 찡그리고 계심.
< 목 표 >
- 환자는 유방울혈이 감소되어 편안감을 표현한다.
- 환자는 통증호소를 하지 않는다.
< 계 획 >
- 유즙분비의 시작과 울혈여부를 사정하기 위해 8시간마다 유방을 관찰한다.
- 뜨거운 물수건 찜질과 마사지를 한다.
- 유방을 닦을 때 비누를 사용하지 않는다.
- 수유사이에 브래지어내에 milk cup을 사용하도록 한다.
- 수유 후 남은 젖은 짜낸다.
- 필요시 얼음주머니를 적용한다.
- 아기가 빨 때 산모가 통증을 느끼면 체위와 빠는 방법이 정확 한가 살펴본다.
- 유두손상이 심하면 수유를 중단한다.
- 적당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 불안과 긴장을 완화시킨다.(음악요법, 이완요법)
- 충분한 영양과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 수 행 >
- Brest massage 교육, 격려 하였다.(더운물 찜질은 혈류 및 림프액 순환을 촉진하고 울혈은 감소한다.)
- 더운물(Warm bag) 찜질 제공하였다.
- 모유수유 교육. 격려하였다.
< 평 가 >
Brest massage 교육 후 잘 수행하시고, 개인적으로 마사지하는 사람을 불러서 하고난 후 통증호소가 줄어들었고, 더운물 찜질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간호진단 >
#2. 제왕절개수술과 관련된 불안
-주관적 근거: “한번 해봤지만 그래도 역시 걱정되요.”
“자꾸 가만히 있질 못하겠어요 불안해요.”
-객관적 근거: 부산한 행동을 하시며 몹시 흥분하심.
약간의 신경질적인 모습이 보이심.
< 목 표 >
- 불안의 격심한 증상없이 수술상황에 대처한다.
< 계 획 >
- 수술에 대하여 간결하게 설명한다.
- 충분한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 환자의 말을 잘 경청하고 수용해준다.
< 수 행 >
- 수술에 대해서 잘 알고 계셨으나 잘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 더 잘 설명해 드렸다.
- 환자의 말을 잘 들어주었으며 격려해 드렸다.
-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하였다.
< 평 가 >
- 적절한 교육으로 정보를 얻으셔서 불안을 경감하셨으며 수술에 대해서 잘 대처하셨으며 수술후에도 적절한게 대처하셨다
< 간호진단>
#3. 수술과 관련된 통증
-주관적 근거:“수술한 부위가 아파요.”
“소변을 하도록 한 줄이 아파서 죽겠어요.”
“아파서 힘이 하나도 없어요.”
-객관적 근거:신음소리와 함께 산만한 행동을 보이심
통증을 느낄 때 얼굴을 찌푸리심
< 목 표 >
- 통증이 완화됨을 스스로 말하고 움직임에 불편함이 없이 움직인다.
< 계 획 >
-수술부위를 복대로 지지해준다.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자궁퇴축에 따른 산후통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유치 카테터는 2일정도만 착용후 빼것임을 설명해 드린다.
< 수 행 >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생리적 산후통에 대해 설명해 드린다.
-유치 카테터는 수술도중에 방광을 비워주는 역할을 해서 삽입한 것을 설명해 드린다.
< 평 가 >
-다리 밑에 베개를 대주어 편안한 체위를 취함으로써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었으며 생리적 산후통에 대한 설명을 한후 이해로 인해 산모가 인내성을 가질수 있었으며 유치 카테터제거 후에는 자가 배뇨를 하시면서 통증에 대한 호소가 없으셨다.
[효능] 만성관절류마티스, 변형성 관절증, 요통, 견관절주위염, 경견완증후군, 수술후.외상 후 및 발치후의 소염.진통, 급성상기도염에서의 해열.진통
[용량] 1 tab t.i.d.(max.dose:6tab/day). 1회 요법시에는 1회 1~2 tab
[소아] 안전성 미확립
[부작용] 간효소치 상승, 복통, 위장관궤양, 가슴앓이, 발진, 급성신부전, 골수억제, 쇽
[금기] 소화성궤양, 중증의 혈액이상, 중증의 간.신장애, 아스피린 천식 및 기왕력자
[임부]안전성 미확립
분만지연 및 유즙이행이 보고되었으므로, 임신말기 및 수유부 투여금지
[저장]실온보관
Gasmtion(Mosapride citrate)
[약리] 5HT4 agonist : 신경말단에서 ACH유리, 소화관, 평활근, 운동촉진
D2 antagonist 작용은 없음: 추체외로계, 고프롤락틴혈증의 부작용 없음
[효능] 기능성 소화불량(만성위염)에 수반하는 소화기능이상: 가슴쓰림, 오심, 구토
[용량]1 tab t.i.d.
[소아] 안전성 미확립
[부작용] 설사, 간기능 장애, 황달, 심계항진, 어지러움, 과민증(부종, 발진, 담마진)
[임부] 안전성 미확립
[저장] 실온 (1~30도)
Medilac-Ds
[약리] 생균정장제
[효능] 장내균총 이상에 의한 증상의 개선: 변비, 묽은 변, 복부 팽만감, 장내이상발효
[용량] 성인 및 12세이상 소아: 0.5~1cap
b.i.d.~t.i.d.
[소아] 3개월 미만의 영아에 투여시 주의
☆임신 중 복용약물의 안전성(참고)
임신중에 복용한 약물의 영향은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그보다도 약물의 복용빈도(복용량),복용시기(태아의 발육시기)에 더 큰 영향이 있다.
-난세포기(착상이전)
:기형 발생인자는 all or none effect로 이 시기는 유산이 되거나 전혀 영향이 없거나 둘 중 하나로 결정됨 (기형유발 불가능)
-배아기(기관형성기:2~8주)
:기관형성이 가장 왕성한 시기로 기형발생인자의 영향을 가장 쉽게 받는 시기임
최기성 약물은 형태학적 기형(신경제, 사지, 눈, 심장 등의 기형) 을 유발하므로 특히 이시기에는 가능한 한 약물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음
-태아기(8주이후)
:조직형성이 되는 시기로 최기성 약물로 인한 형태학적 기형은 중추신경계나 생식선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나 태아의 성장이나 특정기관의 크기에는 영향이 있을 수 있다.
기관 형성기 다음으로 약물에 의해 영향을 받기 쉬운 시기는 임신말기이다. 모체는 약을 복용하더라도 대사, 배설 시킬 수 있으나 태아는 체내 각 기능이 미숙하여 대사처리 할 수 없어 체내에 장기간 어울러 작용을 나타낼 수 있음
8. 간호과정
< 간호진단 >
#1. 유방울혈과 관련된 통증
-주관적 근거: “젖몸살 때문에 아프고 힘들어요 특히 오른쪽이 더 심해요.”
-객관적 근거: Brest engogement (+) RT) (+)
얼굴 찡그리고 계심.
< 목 표 >
- 환자는 유방울혈이 감소되어 편안감을 표현한다.
- 환자는 통증호소를 하지 않는다.
< 계 획 >
- 유즙분비의 시작과 울혈여부를 사정하기 위해 8시간마다 유방을 관찰한다.
- 뜨거운 물수건 찜질과 마사지를 한다.
- 유방을 닦을 때 비누를 사용하지 않는다.
- 수유사이에 브래지어내에 milk cup을 사용하도록 한다.
- 수유 후 남은 젖은 짜낸다.
- 필요시 얼음주머니를 적용한다.
- 아기가 빨 때 산모가 통증을 느끼면 체위와 빠는 방법이 정확 한가 살펴본다.
- 유두손상이 심하면 수유를 중단한다.
- 적당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 불안과 긴장을 완화시킨다.(음악요법, 이완요법)
- 충분한 영양과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 수 행 >
- Brest massage 교육, 격려 하였다.(더운물 찜질은 혈류 및 림프액 순환을 촉진하고 울혈은 감소한다.)
- 더운물(Warm bag) 찜질 제공하였다.
- 모유수유 교육. 격려하였다.
< 평 가 >
Brest massage 교육 후 잘 수행하시고, 개인적으로 마사지하는 사람을 불러서 하고난 후 통증호소가 줄어들었고, 더운물 찜질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간호진단 >
#2. 제왕절개수술과 관련된 불안
-주관적 근거: “한번 해봤지만 그래도 역시 걱정되요.”
“자꾸 가만히 있질 못하겠어요 불안해요.”
-객관적 근거: 부산한 행동을 하시며 몹시 흥분하심.
약간의 신경질적인 모습이 보이심.
< 목 표 >
- 불안의 격심한 증상없이 수술상황에 대처한다.
< 계 획 >
- 수술에 대하여 간결하게 설명한다.
- 충분한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 환자의 말을 잘 경청하고 수용해준다.
< 수 행 >
- 수술에 대해서 잘 알고 계셨으나 잘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 더 잘 설명해 드렸다.
- 환자의 말을 잘 들어주었으며 격려해 드렸다.
-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하였다.
< 평 가 >
- 적절한 교육으로 정보를 얻으셔서 불안을 경감하셨으며 수술에 대해서 잘 대처하셨으며 수술후에도 적절한게 대처하셨다
< 간호진단>
#3. 수술과 관련된 통증
-주관적 근거:“수술한 부위가 아파요.”
“소변을 하도록 한 줄이 아파서 죽겠어요.”
“아파서 힘이 하나도 없어요.”
-객관적 근거:신음소리와 함께 산만한 행동을 보이심
통증을 느낄 때 얼굴을 찌푸리심
< 목 표 >
- 통증이 완화됨을 스스로 말하고 움직임에 불편함이 없이 움직인다.
< 계 획 >
-수술부위를 복대로 지지해준다.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자궁퇴축에 따른 산후통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유치 카테터는 2일정도만 착용후 빼것임을 설명해 드린다.
< 수 행 >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생리적 산후통에 대해 설명해 드린다.
-유치 카테터는 수술도중에 방광을 비워주는 역할을 해서 삽입한 것을 설명해 드린다.
< 평 가 >
-다리 밑에 베개를 대주어 편안한 체위를 취함으로써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었으며 생리적 산후통에 대한 설명을 한후 이해로 인해 산모가 인내성을 가질수 있었으며 유치 카테터제거 후에는 자가 배뇨를 하시면서 통증에 대한 호소가 없으셨다.
키워드
추천자료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자궁내에서 태반의 정상
자연분만과 모유수유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조산
[적응이론][로이 적응이론 정의][로이 적응이론 요약][로이 적응이론 내용][로이 적응이론 적...
[로이 적응이론]로이 적응이론의 개관, 로이 적응이론의 유형, 로이 적응이론의 설명, 로이 ...
[모성간호]유도분만(NSVD) case study
[모성보호][여성농민모성보호]모성보호의 개념, 모성보호의 범위, 모성보호의 실태, 모성보호...
로이 이론
NSVD 케이스 A+
정상 신생아 케이스
[여성간호학] 분만실에서 사용하는 약물 정리
모성 전치태반 케이스 및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 case study
산과적 수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