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궁수축제
2. 분만유도제
3. 임신중독증, PIH 등( → 혈압강하제)
4. preterm labor pain ( 조기진통→ 조산방지제)
2. 분만유도제
3. 임신중독증, PIH 등( → 혈압강하제)
4. preterm labor pain ( 조기진통→ 조산방지제)
본문내용
.
- 근육 : 근육통, 무력감, 크레아틴인산효소치 상승, 혈중 및 요중 미오글로빈 상승을 수반하는 횡문근융해증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 정신신경계 : 때때로 수지진전, 휘청거림, 어지러움, 발한, 흥분이 나타날 수 있다.
- 소화기계 : 때때로 구역, 심와부 불쾌감이 나타날 수 있다. 고아밀라제혈증을 수반하는 타액선 종창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휴약 후 며칠 내에 소실된 다.
- 과민증 : 때때로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2) Ritodrine HCl (Yutopar)
① 약리 : Beta-2 교감신경 효능제로 자궁근을 이완시켜 자궁의 수축 횟수와 강도를 줄임.
② 적응증 : 절박조산, 부인과영역의 수술 후 조산방지, 태아 절박가사, 자궁의 운동항진
또는 제대압박으로 인한 출산 시 태아의 고통 완화, 조산 예방
③ 용법/용량 : IV; 150mg을 5% 수액(포도당액 5%, NS 0.9%, 링거액, 하트만솔루션) 500ml에 희석하여 증상초기에 주입.
④ 금기 : 임신 20주 이전 사용 금기.
⑤ 부작용
- 심혈관계 : 서맥, 빈맥, 흉통, 심박동수와 심박출량 증가, 악성고혈압, 급성관동맥증후군
- 피부 : 홍진
- 내분비 : 산증, 체온증가, 전해질 불균형, 유즙분비 과다
- 혈액 : 무과립구증, 백혈구증가증, 호중구 감소증
- 간 : 간독성
- 신경계 : 혼수, 두통, 졸음, 진전, 편두통, 신경 과민, 불안.
- 신장 : 신독성
- 호흡기계 : 폐부종
- 기타 : 금단 증상
Yutopar는 전신에 작용 → 전신적으로 부작용 나타남.
Atociban은 자궁에만 작용(신약) → 부작용 적음.
3) Dexamethasone
① 약리 : Corticosteroids→leukocyte의 이동과 모세혈관 투과성을 감소시켜 염증을 감소시 킴.
② 효능 : 피부질환, 알러지성 질환, 혈소판감소증, 중증감염의 위급 시
③ 적응증 : 조산의 합병증 보조제
④ 부작용 : 국소조직의 함몰, 혈관통, 혈전성 정맥염, moonface, 부종, 자반, 소양감, 오심,
구토, 두통, 불면, 월경이상, 발열, 녹내장, 소화성궤양 등
⑤ 임부투여안전성 : 임부나 가임여성에 많은 양의 약을 투여했을 때 태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이 관찰되거나 증명된 바 없음.
⑥ 용법/용량 : 1 cycle; 5ml씩 IM → 총 20ml, 2일.
- 근육 : 근육통, 무력감, 크레아틴인산효소치 상승, 혈중 및 요중 미오글로빈 상승을 수반하는 횡문근융해증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 정신신경계 : 때때로 수지진전, 휘청거림, 어지러움, 발한, 흥분이 나타날 수 있다.
- 소화기계 : 때때로 구역, 심와부 불쾌감이 나타날 수 있다. 고아밀라제혈증을 수반하는 타액선 종창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휴약 후 며칠 내에 소실된 다.
- 과민증 : 때때로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2) Ritodrine HCl (Yutopar)
① 약리 : Beta-2 교감신경 효능제로 자궁근을 이완시켜 자궁의 수축 횟수와 강도를 줄임.
② 적응증 : 절박조산, 부인과영역의 수술 후 조산방지, 태아 절박가사, 자궁의 운동항진
또는 제대압박으로 인한 출산 시 태아의 고통 완화, 조산 예방
③ 용법/용량 : IV; 150mg을 5% 수액(포도당액 5%, NS 0.9%, 링거액, 하트만솔루션) 500ml에 희석하여 증상초기에 주입.
④ 금기 : 임신 20주 이전 사용 금기.
⑤ 부작용
- 심혈관계 : 서맥, 빈맥, 흉통, 심박동수와 심박출량 증가, 악성고혈압, 급성관동맥증후군
- 피부 : 홍진
- 내분비 : 산증, 체온증가, 전해질 불균형, 유즙분비 과다
- 혈액 : 무과립구증, 백혈구증가증, 호중구 감소증
- 간 : 간독성
- 신경계 : 혼수, 두통, 졸음, 진전, 편두통, 신경 과민, 불안.
- 신장 : 신독성
- 호흡기계 : 폐부종
- 기타 : 금단 증상
Yutopar는 전신에 작용 → 전신적으로 부작용 나타남.
Atociban은 자궁에만 작용(신약) → 부작용 적음.
3) Dexamethasone
① 약리 : Corticosteroids→leukocyte의 이동과 모세혈관 투과성을 감소시켜 염증을 감소시 킴.
② 효능 : 피부질환, 알러지성 질환, 혈소판감소증, 중증감염의 위급 시
③ 적응증 : 조산의 합병증 보조제
④ 부작용 : 국소조직의 함몰, 혈관통, 혈전성 정맥염, moonface, 부종, 자반, 소양감, 오심,
구토, 두통, 불면, 월경이상, 발열, 녹내장, 소화성궤양 등
⑤ 임부투여안전성 : 임부나 가임여성에 많은 양의 약을 투여했을 때 태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이 관찰되거나 증명된 바 없음.
⑥ 용법/용량 : 1 cycle; 5ml씩 IM → 총 20ml, 2일.
추천자료
여성 건강과학인으로서의 역할과 전망
임신여성 건강 임부간호
성인기 영양 - 중년여성의 건강문제 - 유방암
성교육 교육지도안 성교육 학습지도안 _ 남성과여성의신체발달 - 남성의 신체발달, 여성의 신...
한부모가정, 장애인가족,재혼가족, 독거노인가족 등을 대상으로 여성가족부에서 건강가정 지...
여성 건강 간호학
[여성근로자복지] 여성 근로자의 형태와 임금, 승진과 퇴직, 정신건강, 성희롱, 여성근로자복...
[A+] 낙태, 생명유린인가 여성의선택권인가 - 낙태 정의, 낙태 현행법, 낙태가 건강에 미치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우리나라의 5대 사회보험이다....
[여성 분만실] 제왕절개분만 c-sec (cesarean section)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사회복지 프로그램) 소득층 가정 아동과 여성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동학대, 가정...
사회복지 프로그램) 출산육아기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임신·출산·육아 건강관리 프로그램
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여성결혼이민자, 이주노동자, 새터민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