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신생아 케이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상 신생아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신생아 간호
(1) 일반사항
(2) 신생아의 특성 및 사정
(3) 신생아의 활력증상 및 신체측정
(4) 신생아의 생리적 특성 및 간호

Ⅱ 본론
간호과정 사례연구 보고서(신생아기)
1)기초자료
1.출생력
2. 건강력
3. 가족력
4. 사회력
5. 일상적 관리
6. 신체사정

Ⅲ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정상.
비강(대칭, 막힘, 분비물, 점막의 색) : 대칭적이며 막힘도 없고 맑은색의 분비물이 조금 보 인다. 점막은 붉은 빛을 띤다.
중격(출형, 천공, 종창) : 확인하지 못함.
중비갑개(크기, 색, 종창) : 확인하지 못함.
9) 구강
입술(규형, 색, 상처) : 입술은 대칭을 이루고 분홍빛을 띠며 상처 없다.
치아 : 아직 나지 않았다.
잇몸(부종, 색, 상처, 궤양, 출혈 등) : 부종, 상처, 궤양, 출혈 증상 없고 붉은 빛을 띤다.
후두(모양, 소리 등) : 크게 잘 우는 것을 볼 때 후두의 기능은 정상적이라고 볼 수 있다.
10) 목
균형, 운동(좌우, 전후, 강직, 덩어리, 갑상선(부종, 압통), 혈관(외형, 음향, 잡음, 맥박)
: 확인 할 수 없었다.
11) 유방
외형(균형, 모양, 덩어리) : 정상
유두(형태, 분비물, 수, 유륜의 융기) : 분비물은 볼 수 없었고 2개의 유두를 갖고 있다.
유두는 아직 융기되지 않았다.
12)호흡기
호흡(양상) : 호흡은 40~60회로 정상 범주에 들었다.
부속근의 사용(승모근, 흉쇄유돌근) : 흉곽의 움직임 이외에 어깨의 움직임이나 늑골이 움직 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가슴(휴위, 균형, 상처, 확장 형태, 견촉 등) : 가슴은 대칭적으로 확장하고 흉곽 중심이 살 짝 들어가 있는 형태
폐(호흡음, 횡경막의 위치와 움직임, 진탕음, 늑골마찰음, 청진음, 기침, 객담) :
청진 시 약간의 가르릉 거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고 휙휙거리는 호흡음을 들을 수 있었다.
13) 순환기
복부 : 확인하지 못함.
형태(주상, 편평, 팽만, 비만 등) : 확인하지 못함.
상태(반흔, 정맥확장, 압통, 강직, 탄력성, 덩어리) : 확인하지 못함.
제대 상태 : 매일 제대간호를 하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성은 적고 건조한 상태이다.
장음 : 확인하지 못함.
복수 : 확인하지 못함.
탈장 : 확인하지 못함.
14) 항문/직장
개방성 : 정상
괄약근 : 정상
대변특성 : 태변이며 녹색에 끈끈한 점액성 이었다.
* 첫 대변: 1:30pm
15) 생식기
남자(음낭크기, 고환위치, 덩어리, 부종, 분비물, 서혜부 탈장, 요도구의 위치, 포경) :
고환이 내려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16) 하지
운동기능 : 사지가 활발하게 움직인다.
부종 : 하지 부종이 있는 것이 무엇이고 없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청색증 : 없다.
기형 : 없다.
상처 : 없다.
17) 관절
손가락, 손목, 팔꿈치 및 어깨(기형, 부종, 운동기능) : 손가락, 손목, 팔꿈치 어깨의 기형은 없고 관절운동이 활발하다.
고관절, 무릎, 발목(기형, 부종, 운동기능) : 고관절, 무릎, 발목 기형은 없으며 운동기능 좋 다.
척추(만곡, 기형, 덩어리 등) : 척추를 만져보지 못했다.
18) 임파절(부종, 압통, 크기, 모양, 온도)
경부 :
쇄골상 :
액와 : - 부종이나 압통, 크기, 모양, 온도 등을 확인하지 못했다.
상박 :
서혜 :
슬와 :
19) 신경계
Sucking reflex : 아기가 태어나고 관찰 2일째 배고파서 울음과 동시에 간헐적으로 입 주변 을 빠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빨기반사)
Rooting reflex : 출생 후 3시간 뒤에 아기의 볼을 톡톡 두드려주니까 얼굴을 두드린 쪽으 로 돌렸다. (포유반사)
Grasp reflex : 아기의 발바닥을 살살 긁어주니까 꼼지락꼼지락 움직였다.(파악반사)
Pupil reflex : 눈 뜬 것을 본적이 없어서 밝은 빛이 비출 때 동공의 수축을 보지 못했다.
Corneal reflex : 각막으로 사물이 다가올 때 눈을 깜박이는 것을 관찰하지 못하였다.
Babinski reflex : 발뒤꿈치에서 발 외측을 따리 엄지발가락 쪽으로 긁기는 하였으나 약간의 반사만 보이고 뚜렷한 반응은 보이지 않았다.
Moro reflex : 평형의 변화로 인해 갑작스런 신장과 엄지와 검지를 c모양을 만들고 손가락을 펼치고 다리를 굴곡 시키는 모로 반사를 보지 못하였다.
Startle reflex :아기를 놀라게 할 상황이나 분위기가 아니기 때문에 놀람반사는 못 보았다.
Tonic neck reflex : 영아가 한쪽으로 머리를 돌릴 때 그 쪽 팔과 다리는 신전되고 반대쪽 은 굴곡 되는 비대칭적 긴장성경 반사는 솔직히 유심히 보지 못하여서 반사가 일어났는지 안 일어났는지 확인이 안된다.
Ⅲ 결론
NR에서 실습하면서 신생아가 없어 처음 일주일 동안은 매뉴얼과 아동&모성 책을 보며 일주일을 무료하게 보냈다 신생아실 칠판에 26일에 C/Sec이 있다고 해서 그날만 손꼽아 기다렸는데 드디어 기다리던 26일! 그날은 Day출근이라 일찍 기숙사에서 나와 병원으로 향했다 간호사 선생님과함께 제대클램프, 석션기 등등을 챙기고 인큐베이터를 갖고 9시에 2층 수술실로 향했다 수술실에서 31분경 아기가 태어났고 아기의 아프가 점수를 매긴 후 융포로 양수를 잘 닦아 신생아의 체온소실을 막고 체온유지가 되는 인큐베이터에 넣어 신생아실에 대리고 왔다. 신생아실에서 아가를 눕히고 두위, 흉위, 두정-발뒤굼치까지의 길이 등을 챠팅하고 몸무계를 재는 등 아주 바쁘게 하루를 보냈다. 그리고 퇴근할 때 쯤 5시에 아가를 씻긴 다는 말을 듣고는 왜 벌써 씻기냐고 물어보았더니 서울의료원 신생아실에서는 오히려 태지로 인해서 아기에게 감염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매일 목욕을 시킨다고 말씀해 주셨다. 책에서 신생아 같은 경우 첫 1주 동안 2~3회 이상 목욕을 시키지 않는다 하였는데 임상과 책은 역시 똑같지 않구나.. 하고 또 한번 느꼈다. 이번 컴퍼런스를 하면서 당황했던게 아이가 없었을뿐더러 아이가 태어난 날짜와 컴퍼런스 날짜가 텀이 짧아서 조사할 수 있는 게 너무 적어 아쉬웠다. 급하게 컴퍼런스를 위해 공부했지만 아가가 퇴원할 때 까지 지켜볼 예정이다. 이번 실습을 통해서 신생아 바이탈도 해보고 난생처음 태변도 보았고 태어난지 하루도 안된 아가를 안아보기도 했다 제왕절개를 통해 태어난 아이라 Molding이나 산류가 없어 두상이 참 예뻤고 아직 눈은 뜨지 못했지만 매우 귀여울 꺼라 생각된다. 아가가 있는 곳을 지나갈 때 마다 포유반사를 확인해 보는데 모이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2.22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