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란
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종류
1) 반언어(para-language)
2) 신체언어(body language)
3) 상황언어(situation language)
3.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구체적 기법
1) 반언어(para-language)
(1) 음조(tone)
(2) 강세(stress)
(3) 말의 빠르기
(4) 목소리 크기
(5) 억양
(6) 침묵
2) 신체언어(body language)
(1) 눈빛(시선)
(2) 얼굴 표정
(3) 제스처
(4) 자세
(5) 신체 접촉
3) 상황언어(situation language)
(1) 공간과 거리
(2) 시간
(3) 색상, 의복, 소지품 등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란
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종류
1) 반언어(para-language)
2) 신체언어(body language)
3) 상황언어(situation language)
3.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구체적 기법
1) 반언어(para-language)
(1) 음조(tone)
(2) 강세(stress)
(3) 말의 빠르기
(4) 목소리 크기
(5) 억양
(6) 침묵
2) 신체언어(body language)
(1) 눈빛(시선)
(2) 얼굴 표정
(3) 제스처
(4) 자세
(5) 신체 접촉
3) 상황언어(situation language)
(1) 공간과 거리
(2) 시간
(3) 색상, 의복, 소지품 등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키는 사람은 다른 중요한 일도 잘 지킬 것이다’라는 내포적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3) 색상, 의복, 소지품 등
색상은 사람의 정서, 감정 및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사용하는 말과 용모 및 의복에 색상이 주는 연상의 의미는 대단히 중요하다. ‘서슬이 시퍼렇다.’, ‘새파랗게 질려 있다.’, ‘마음이 시커멓다.’는 말처럼 파란색이나 검정색은 권력이나 공포심을 상징한다. 사람들의 용모에 영향을 미치는 의복의 색상은 흔히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데, 노란색, 오렌지색, 빨간색과 같은 따뜻한 색은 커뮤니케이션을 자극하는 반면 청색, 녹색, 회색과 같은 차가운 색은 커뮤니케이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4. 시사점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상황적 해석에 근거하여 그 의미가 결정된다. 같은 행위일지라도 상황에 따른 의미 해석은 전적으로 다르다. 거짓으로 누군가를 속이기 위해 한쪽 눈을 깜박이는 행위와 예쁜 아가씨를 보고 짓궂은 남자들이 보이는 행위의 의미는 서로 다르다. 또한 병행되는 언어적 단서가 무엇인가에 따라서도 의미는 변화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큰 의미의 변화는 역시 문화적 상황이 다른 경우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똑같은 제스처와 표정을 지어도 직면한 상황이 공적인 공간이나 시간과 사적인 공간과 사적인 시간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가령 수업시간에 토론을 하는 공적인 자리에서 말할 때 논리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하기위해 음조는 차분하며, 표정은 확신과 자신감이 넘치며 눈은 동그랗게 뜨고 청자를 바라보며 적절히 손동작을 할 것이다. 하지만 사랑하는 사람과 단둘이 있을 때에는 논리적일 필요가 없으므로 음조는 부드러울 것이며 둘 사이의 거리는 거의 없을 정도로 밀착될 것이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신뢰도가 높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여겨진다. 긍정적 단서들이 언어적 채널을 통해 표현되지만 비언어적 채널을 통해서 부정적 단서들이 표현되는 경우 의미해석은 비언어적 행위에 근거하여 전달된 메시지의 진실성을 파악하게 된다. 이는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언어적 의사소통이 상충되었을 때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보다 신뢰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이 자신이 정말 혐오하던 선생님과 복도에서 마주쳤을 때 인사는 다분히 형식적일 것이다. 음성언어는 “안녕하세요.”이지만 비언어적 표현에서는 고개를 숙이는 것인지 고개를 들고 하는 것인지 알 수 없을 정도이며 표정에는 반가운 기색이 없이 무미건조한 목소리일 것이다. 따라서 인사를 받은 교사는 인사를 한 학생이 자신에게 인사를 하고 싶어서 한 것이 아니라 형식적으로 인사를 했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종류와 구체적 기법을 설명해 보았다. 더욱이 21세기 세계화ㆍ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의 중요성은 더 크다. 한 민족, 같은 언어를 쓰고 있는 경우에도 비언어적 요소에 따른 오해의 소지는 다분하다. 하물며 다른 언어, 다른 문화를 지닌 사람들끼리의 의사소통은 훨씬 더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한 해당 각국의 언어를 숙지한다고 하더라도 비언어적 표현을 무시해서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없다. 이렇듯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오늘날 학습자들에게 꼭 필요한 학습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김우룡 외, 비언어적 의사소통론, 나남출판, 2005.
김우룡 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나남출판, 2004.
김기영,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도 조사, 영여교육연구, 2005.
안희숙, 비언어적 표현 활동이 말하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2006.
(3) 색상, 의복, 소지품 등
색상은 사람의 정서, 감정 및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사용하는 말과 용모 및 의복에 색상이 주는 연상의 의미는 대단히 중요하다. ‘서슬이 시퍼렇다.’, ‘새파랗게 질려 있다.’, ‘마음이 시커멓다.’는 말처럼 파란색이나 검정색은 권력이나 공포심을 상징한다. 사람들의 용모에 영향을 미치는 의복의 색상은 흔히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데, 노란색, 오렌지색, 빨간색과 같은 따뜻한 색은 커뮤니케이션을 자극하는 반면 청색, 녹색, 회색과 같은 차가운 색은 커뮤니케이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4. 시사점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상황적 해석에 근거하여 그 의미가 결정된다. 같은 행위일지라도 상황에 따른 의미 해석은 전적으로 다르다. 거짓으로 누군가를 속이기 위해 한쪽 눈을 깜박이는 행위와 예쁜 아가씨를 보고 짓궂은 남자들이 보이는 행위의 의미는 서로 다르다. 또한 병행되는 언어적 단서가 무엇인가에 따라서도 의미는 변화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큰 의미의 변화는 역시 문화적 상황이 다른 경우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똑같은 제스처와 표정을 지어도 직면한 상황이 공적인 공간이나 시간과 사적인 공간과 사적인 시간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가령 수업시간에 토론을 하는 공적인 자리에서 말할 때 논리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하기위해 음조는 차분하며, 표정은 확신과 자신감이 넘치며 눈은 동그랗게 뜨고 청자를 바라보며 적절히 손동작을 할 것이다. 하지만 사랑하는 사람과 단둘이 있을 때에는 논리적일 필요가 없으므로 음조는 부드러울 것이며 둘 사이의 거리는 거의 없을 정도로 밀착될 것이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신뢰도가 높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여겨진다. 긍정적 단서들이 언어적 채널을 통해 표현되지만 비언어적 채널을 통해서 부정적 단서들이 표현되는 경우 의미해석은 비언어적 행위에 근거하여 전달된 메시지의 진실성을 파악하게 된다. 이는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언어적 의사소통이 상충되었을 때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보다 신뢰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이 자신이 정말 혐오하던 선생님과 복도에서 마주쳤을 때 인사는 다분히 형식적일 것이다. 음성언어는 “안녕하세요.”이지만 비언어적 표현에서는 고개를 숙이는 것인지 고개를 들고 하는 것인지 알 수 없을 정도이며 표정에는 반가운 기색이 없이 무미건조한 목소리일 것이다. 따라서 인사를 받은 교사는 인사를 한 학생이 자신에게 인사를 하고 싶어서 한 것이 아니라 형식적으로 인사를 했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종류와 구체적 기법을 설명해 보았다. 더욱이 21세기 세계화ㆍ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의 중요성은 더 크다. 한 민족, 같은 언어를 쓰고 있는 경우에도 비언어적 요소에 따른 오해의 소지는 다분하다. 하물며 다른 언어, 다른 문화를 지닌 사람들끼리의 의사소통은 훨씬 더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한 해당 각국의 언어를 숙지한다고 하더라도 비언어적 표현을 무시해서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없다. 이렇듯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오늘날 학습자들에게 꼭 필요한 학습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김우룡 외, 비언어적 의사소통론, 나남출판, 2005.
김우룡 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나남출판, 2004.
김기영,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도 조사, 영여교육연구, 2005.
안희숙, 비언어적 표현 활동이 말하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2006.
추천자료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인 사진교환의사 소통체계를 이용하여 의사소통기...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의 특징,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의 언어지도, 청각장애아(청각장...
중도장애아의 실태와 문제점, 중도장애아(중도장애아동)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의 필요성, 중...
효과적인 의사소통방법과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고 자신의 의사소통유...
효과적인 의사소통방법과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고 자신의 의사소통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중요성 및 활성화 (의사소통의 개념, 유형,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가족관계론] 의사소통에 대한 기본적 이해, 가족의사소통의 형태 및 과정, 가족의사소통의 ...
의사소통기술의 유형 등을 제시하며 자신의 소통방식에 대한 예시를 들고. 추후 개선하고자하...
직장 내 의사소통의 특징과 상하 간 의사소통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직장 내 의사소통]
가족내 의사소통유형에 대하여 정리하여 기술하고 여러분의 가족구성원과 개별적으로 상호작...
조직 내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원칙을 설명하고 본인이 조직 및 인간관계...
내가 생각하는 우리가족의 정의는 무엇인지와 가족원의 의사소통을 참고하여 본론으로 기능적...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 중 gorden의 이론에서 부모가 자녀에게 전달하는 전형적인 방법 ...
화가 난 노인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시 유의점과 적용사례 대상자별 의사소통 시 주의점과 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