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계 (급성 대장염) case study 간호과정 간호진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화기계 (급성 대장염) case study 간호과정 간호진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문헌고찰
1) 원인
2) 증상
3) 진단검사
4) 치료
5) 경과 및 합병증
6) 질병 예방법

2. 간호정보조사지

3.진단검사
1) CBC
2) LFT
3) G stain& stool 배양검사
4) 혈액배양 검사
5) Blood gas Analysis
6) Routine Urinalysis
7) 처방 약물
8) 간호과정 , 간호진단

본문내용

해 금식이 필요 함을 설명하였다.
5)대상자에게 질환과 관련해 금식 후 자극이 강한 음식은 피하고 칼로리와 단백질, 무기질이 풍부한 균형있는 식사와
적절한 비타민 보충이 필요함을 교육하였다
6)대상자에게 금주해야 하는 근본적 이유를
교육하였다.
-음주는 대장 세포막에 손상을 주어 세포 안의 수분을 빼앗고 대장의 점막 세포를 손상시키므로 금주해야 함을 설명하였다.
1)대상자는 교육 후의 질문에서 급성 대장염의 원인으로 세균성 혹은 바이러스성 감염을 말하였다.
2)대상자는 교육 후 치료적 금식과 금주를 시행하였고, 매 배변시마다 그 양상과 양을 check 하였다
<진단적 계획>
1)질환과 관련된 대상자의 현재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교육적 계획>
2)질환에 대한 지식부족을 인지하고 정보자원을 획득하도록 격려한다
3)대상자의 질환인 급성대장염에 대해 교육한다.
4)대상자에게 치료적 금식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5)대상자에게 질환과 관련해 가급적 피해야 할 음식과 식이에 대해 교육한다.
6)대상자에게 금주해야 하는 근본적 이유를 교육한다.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2016. 5. 2
#4.건강상태 변화와 관련된 불안
S:
“배가 계속 이래 아픈데 뭐 문제 있는거 아닙니까?”
“이거 약 먹는다고 낫겠나?”
O:
-대상자는 자주 간호사 스테이션에 와서 계속해서 질문하는 모습 보임.
-대상자는 병동 라운딩마다
주기적으로 담당의와 면담 원하며 재촉하는 모습을 보임.
-Beck 의 불안척도 사정결과
36점을 기록함
-대상자는 처방된 약마다
부작용은 없는지 계속해서 물어보는 모습을 보였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질병으로 인한 불안을 호소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1)대상자는 3일이내 Beck 의 불안척도 사정결과 22점 이하를 기록한다.
2)대상자는 2일이내에 불안을 감소시키는 자가간호를 두가지 이상 수행할 수 있다.
1)대상자에게 Beck의 불안척도를 이용
하여 불안정도를 사정한결과 36점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2)대상자의 병실을 환기시키고 청결한 환경을 제공해 주었다.
3) 대상자가 불안을 호소 할때마다 대상자의 불안요소가 무엇인지 말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4)대상자에게 질병의 치료과정인 금식과
항생제 사용에 대해 설명하고 해당약물의
부작용유무등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5)대상자에게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가간호로 이완요법과 심호흡법을
교육하였다.
1)대상자는 5/1일 Beck의 불안 척도검사 결과
20점을 기록하였고 이제는
불안하지 않다고 말하였다.
2)대상자는 불안감소를 위한
자가간호에 대한 교육이후
지속적으로 이완요법과
심호흡법을 스스로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진단적 계획>
1)대상자가 가진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계획>
2)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3)대상자의 불안요소가 무엇인지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교육적 계획>
4)대상자에게 질병의 치료과정과 예후에 대해 교육한다.
5)대상자에게 불안을 감소시키는
자가간호에 대해 교육한다.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2016. 5. 2
#5.전신쇠약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S:
“밥을 못먹으니까 힘이 없노.”
“오늘 아침에 씻고 나오다가 미끄러질뻔 했다.”
“맨날 누워만 있으니깐 일어 날때마다 왜이래 어지럽노”
O:
- 과거 낙상 경험 있음(12년 2월 입원시)
- 정맥수액요법을 하고 있음
- general weakness 있음 3/3
(Motor Rt arm 4+, Lt arm 4-
Rt leg 4-, Lt leg 4-
,양측 팔 110° 양측 발 30°상승함.)
-Morse 낙상위험 사정도구에서 점수 45점 (과거낙상경험 25 + 정맥수액요법 20)으로 낙상 저위험군에 속한다.
낙상주의표식 팔찌 착용중.
-환자 어릴적 우측 눈 자상 경험으로 시력이 저하 되어있음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6일이내 어지러워 하지 않고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낙상 위험요인에 대해 두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1) 대상자에게 사이드레일이 유지되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 대상자가 정서적으로 흥분하거나 무리하게 침대에서 나오려는 시도를 하는지, 사이드 레일이 내려져 있는지 등을 2시간 간격으로 관찰)
2) general weakness 정도를 사정했다.
(Rt arm 4, Lt arm 4-
Rt leg 4- Lt leg 4-
,양측 팔 110°양측 발 30°상승함.)
3) 처방된 수액을 투여하였다.
- smofkabiven peri inj 1048ml IV,
artman sol Tecch 1Bag/IV
4) 대상자에게 낙상예방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 취침시나 침대에 있을때 침상난간을 항상 확인하고 침대위에서 일어나지 않음을 교육함. ABR stop시 이동할 때 바닥과 욕실에 물기가 있는 곳은 확인하고 이동하라고 교육함.
5)대상자에게 낙상시 대처요령에 대해 교육하였다.
-낙상시 함부러 움직이지 않고 먼저 간호사를 호출할 것을 교육하였다.
1) 대상자가 어지러워 하지 않고 일상생활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2) 대상자는 낙상예방에 대한 교육 후 낙상위험요인에 대한 질문에 침상 사이드레일이 내려진 경우와 화장실의 물기를 예를 들며 대답하였다.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에게 사이드레일이 유지되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2) general weakness 정도를 사정한다. (grade, 팔과 다리를 올리는 범위)
<치료적 계획>
3) 처방된 수액을 투여한다.
<교육적 계획>
4) 대상자에게 낙상예방에 대한 교육을 한다.
5)대상자에게 병동내에서 낙상을
경험할 경우 대처법에 대해 교육한다.
<출처>
- 참고문헌
Kathleen Deska Pagana, [Mosby’s 진단검사간호 핸드북]. 정담미디어(2010)
이영휘 외 공역, [성인간호학1], 정담미디어(2011)
이노우에 도모코 외 1명,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1], ㈜한언(2014)
네이버 지식백과
“대장염 환자의 기능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 35권 제1호], 2011년 5월,
  • 가격4,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7.07.07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92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