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 않는 관상동맥 경련을 억제
- 갑작스럽게 복용을 중단하지 않는다.
- 저혈압 관찰, 불규칙적인 심박동수, 어지러움, 부종, 잠재성 치은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치과검진 필요
Nifedipine
(Procardia; Adalat)
- 세포막을 통한 칼슘 유입 억제
- 관상동맥과 말초 세동맥 확장
- 심장부담과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심근으로의 산소운반을 증가시킴
- 빠른 작용, 구강 또는 설하 투여가 효과적
- 동방결절의 활동을 느리게 하거나 방실결절의 전도를 지연시키지 않음
- 공복시 투여
- 당뇨병 환자 사용 주의
- 오심 발생 시 소량씩 자주 식사,
용량을 줄이면 근육경련, 관절강직,
성적 장애가 사라짐
- 불규칙한 심박동, 변비, 짧은 호흡, 부종, 어지럼증
Verapamil
(Calan, Isoptin)
- 칼슘이온의 유입을 억제
- 심장 자극의 전도속도를 느리게 함
- 효과적인 항부정맥제제로 정맥으로 빠르게 주입
- 동방결절과 방실결절 채널을 차단
- 동방 또는 방실결절 질환: 심한 심부전, 심한 저혈압
- 공복이나 식전에 투여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지 않는다.
- 약물 중단 시 우울증 사라짐
- 두통: 소음을 줄이고 전해질 변화 사정
- 간부전, 신부전, 노인 : 용량을 줄인다.
4. 약물치료 시의 교육내용
1) 항고혈압제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직립성 저혈압을 일으킬 수 있는 어떠한 활동이나 움직임을 피하도록 한다.
- 자세를 변경할 때에는 누웠다가 앉은 자세로,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는 자세로 서서히 변경하여 혈관계의 생리적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약물 복용 후 2시간 이내에는 오랫동안 서서 일하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 현기증이나 피로감이 있으면 다리근육 운동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발가락을 움직이거나 장딴지 근육을 구부리는 것과 같은 운동 을 하여 혈관을 수축시키고 하지의 혈액정체를 방지한다.
2) 약물치료가 시작되면 다음의 사항을 지키도록 한다.
- 증상이 없어도 처방대로 정한 시간에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한다.
- 진정제는 치료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지지적인 역할을 하므로 처방된 경우 복용해도 된다.
- 약 복용 후에는 시야가 흐려질 수 있으므로 적어도 2시간 동안은 운전을 삼가도록 한다. 특히 시야가 흐려질 때는 정확한 조작이 힘들며
중장비를 취급할 때는 더욱 조심해야 한다.
- 더운물 목욕, 사우나, 일광욕 등은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저혈압을 일으키므로 피하도록 한다.
- 불감증의 발생 시에는 의료인과 상의하여 투여량을 줄이면 완화된다.
- 흉통이 있을 경우, 특히 협심증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는 약 복용을 중단하고 의사와 간호사에게 상담한다.
- 약이름, 용량, 복용시간 등이 기록된 카드를 소지하도록 한다.
- 밤이나 아침에 일어났을 때 두통이 있으면 머리를 상승시키고 앉아서 수면하도록 한다.
- 소듐의 함량이 높은 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 갑작스런 약물의 중단은 오히려 고혈압성 반응을 일으키므로 주의한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제 3판 (현문사)
성인간호학 제 6판 (현문사)
- 갑작스럽게 복용을 중단하지 않는다.
- 저혈압 관찰, 불규칙적인 심박동수, 어지러움, 부종, 잠재성 치은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치과검진 필요
Nifedipine
(Procardia; Adalat)
- 세포막을 통한 칼슘 유입 억제
- 관상동맥과 말초 세동맥 확장
- 심장부담과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심근으로의 산소운반을 증가시킴
- 빠른 작용, 구강 또는 설하 투여가 효과적
- 동방결절의 활동을 느리게 하거나 방실결절의 전도를 지연시키지 않음
- 공복시 투여
- 당뇨병 환자 사용 주의
- 오심 발생 시 소량씩 자주 식사,
용량을 줄이면 근육경련, 관절강직,
성적 장애가 사라짐
- 불규칙한 심박동, 변비, 짧은 호흡, 부종, 어지럼증
Verapamil
(Calan, Isoptin)
- 칼슘이온의 유입을 억제
- 심장 자극의 전도속도를 느리게 함
- 효과적인 항부정맥제제로 정맥으로 빠르게 주입
- 동방결절과 방실결절 채널을 차단
- 동방 또는 방실결절 질환: 심한 심부전, 심한 저혈압
- 공복이나 식전에 투여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지 않는다.
- 약물 중단 시 우울증 사라짐
- 두통: 소음을 줄이고 전해질 변화 사정
- 간부전, 신부전, 노인 : 용량을 줄인다.
4. 약물치료 시의 교육내용
1) 항고혈압제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직립성 저혈압을 일으킬 수 있는 어떠한 활동이나 움직임을 피하도록 한다.
- 자세를 변경할 때에는 누웠다가 앉은 자세로,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는 자세로 서서히 변경하여 혈관계의 생리적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약물 복용 후 2시간 이내에는 오랫동안 서서 일하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 현기증이나 피로감이 있으면 다리근육 운동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발가락을 움직이거나 장딴지 근육을 구부리는 것과 같은 운동 을 하여 혈관을 수축시키고 하지의 혈액정체를 방지한다.
2) 약물치료가 시작되면 다음의 사항을 지키도록 한다.
- 증상이 없어도 처방대로 정한 시간에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한다.
- 진정제는 치료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지지적인 역할을 하므로 처방된 경우 복용해도 된다.
- 약 복용 후에는 시야가 흐려질 수 있으므로 적어도 2시간 동안은 운전을 삼가도록 한다. 특히 시야가 흐려질 때는 정확한 조작이 힘들며
중장비를 취급할 때는 더욱 조심해야 한다.
- 더운물 목욕, 사우나, 일광욕 등은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저혈압을 일으키므로 피하도록 한다.
- 불감증의 발생 시에는 의료인과 상의하여 투여량을 줄이면 완화된다.
- 흉통이 있을 경우, 특히 협심증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는 약 복용을 중단하고 의사와 간호사에게 상담한다.
- 약이름, 용량, 복용시간 등이 기록된 카드를 소지하도록 한다.
- 밤이나 아침에 일어났을 때 두통이 있으면 머리를 상승시키고 앉아서 수면하도록 한다.
- 소듐의 함량이 높은 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 갑작스런 약물의 중단은 오히려 고혈압성 반응을 일으키므로 주의한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제 3판 (현문사)
성인간호학 제 6판 (현문사)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 1. 1) 당뇨병의 분류와 2) 당뇨병 환자의 일반적인 치료 중재 및 3) 당뇨병 환...
성인간호학case study-류마티스 관절염
성인간호학case study-뇌경색
성인간호학case study-DM 당뇨
성인간호학case study-뇌경색
성인간호학 case study) 골절
성인간호학 case study 입니다.진단명 Pneumonia(약물-간호계획까지)
성인간호학실습 방광암 bladder cancer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뇌교경색 minor pntine infarction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탈골 골절 dislocation & fracture case study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소화기내과 CBD stone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ER case study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직장암 case study
성인간호학 케이스 수술실케이스 복강경을 이용한 충수절제술 A+++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