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음운론-훈몽자회 범례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음운론-훈몽자회 범례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훈몽자회> 범례
2. 본론
2.1. <훈몽자회> 범례의 자모체계
2.2.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
2.3. 자모체계의 비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현대로 오면서 ‘ㅔ’와 ‘ㅐ’는 단모음화 되었다.
5) 모음의 배열순서: <훈몽자회> 범례의 모음 배열순서는 현대 한글 맞춤법과 비슷하다. 그러나 한글 맞춤법 제2장 4항의 해설에서는 사전에 올릴 적 모음 배열을 명시했다.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의 순서로 단모음과 이중모음을 모두 나열한 것이 특징이다.
3. 결론
한글은 애민성과 과학성을 겸비한 문자이며, 세계적으로도 그 훌륭함을 인정받는 문자이다. 훈민정음이 창제되었으나 사대부에 의해 그 존재를 비판당하고 ‘언문’이라는 이름으로 여자들과 평민들에게만 사용되고 있었으나, 문자가 현대에까지 이어져 우리나라의 국어로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많은 학자들의 연구에서 비롯된 한글의 발전이 있었기 때문이다. <훈몽자회>는 한글을 위한 교본이 아니라 본디 한문 교재라는 점과 범례에서 명시한 음가의 표기가 명확하지 않아 주는 혼동 때문에 몇몇 학자들의 비판도 있었으나 한글의 음가를 제시하고 효율성과 편의성을 고려한 자모의 재배열은 한글의 발전에 기여한 점이 크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김문기. (2009). 어휘 학습서로서의 [훈몽자회 (訓蒙字會)]. 한글, (284), 165-189.
2) 이기문. (1971). 훈몽자회 연구.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3) 채완. (1999). 『훈몽자회』와 한글 맞춤법. 새국어생활, 9, 19-30.
4) 한국방송통신대학 평생교육원. (200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8.18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