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과 관련된 오류 예시를 5개 이상 들고, 이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과 관련된 오류 예시를 5개 이상 들고, 이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의 발음교육
<2>본론1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발음과 오류
본론2. 일본어권 학습자의 모음발음 교육의 예
<3>결론 모어 일본어 학습자의 억양교육

본문내용

있기 때문에 조심성이 우려된다. 예를 들어 외국인 학습자가 문미의 억양을 지나치게 높여 채근하거나 화를 내는 말투로 오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공통적인 억양의 교육 방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허용·김선정
은 첫 번째로 말하기보다는 듣기를 먼저 가르친다. 두 번째로 강세와 리듬을 가르친다. 세 번째로 말토막 억양을 인지시킨다. 다섯 번째로 문장 억양을 가르친다. 또한 분절음과 초분절음을 조화롭게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어의 악센트는 낱말의 뜻을 구별하는 변별기능과 문장 내에서의 낱말/낱말, 문절/문절의 경계를 구분하는 통사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다 같은 책150p
. 고저 악센트에 익숙한 일본어 모어 화자의 경우 한국어를 발음할 때 일본어의 고저 악센트가 그대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억양을 높이지 않아도 될) 한국어 표준어의 첫음절을 높게 발음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이때 한국인들은 발화가 과장된 느낌과 낯선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한국도 방언(사투리)의 경우 억양이 심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경상도 방언 ‘와 그라는데’, ‘와 이카는데’ 등) 억양은 실제 발화 차원에서 문장/단어의 의미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동방의 이웃나라 일본어와 한국어는 유사하면서도 차이점이 많다. 두 언어권 사이의 특징을 이해하고 배려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한다면 언어를 넘어 정신적인 유대를 만들어나갈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한다.
참고문헌
한국어교육총서1 《한국어발음교육》 한재영 외7인, 한림출판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허용,김선정, 박이정출판사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8.18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3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