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검사
6.치료 및 간호
Ⅲ.참고문헌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검사
6.치료 및 간호
Ⅲ.참고문헌
본문내용
는데 문제가 없다고 말한다.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한국말을 이해하나 표현하는 것이 부족하다. 깊은 대화를 하지는 못 할 정도로 한국말이 서투르다.
객관적 자료
모유수유를 시도했으나 아직 서툴렀다.
간호 진단
#4 모유수유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 모유수유 방법을 잘 수행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교육직후 교육한 모유수유 방법을 이해한다고 말한다.
간호 수행
1. 간호관찰: Rounding시 모유수유시 아이를 잡는 자세에 대해 관찰한다.
모유수유 시 아이의 반응을 관찰한다.
2. 간호처치: 젖이 나오는지 유방통증이 없는지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유방마사지를 수행한다.
3. 간호교육: 모유수유에 대한 장점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함께 교육한다.
모유수유시 올바른 자세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함께 교육한다.
모유수유시 젖 물리는 방법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함께 교육한다.
성공적인 모유수유의 지표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함께 교육한다.
(24시간동안 적어도 8회이상, 젖이 나오면 빠는 리듬이 느려지고 소리내며 삼킴, 매일 18~30g씩 지속적으로 체중 증가, 하루6회이상 소변과 3~8회의 대변을 보는 등)
이론적 근거
1. 초유에는 태변을 빨리 배출시키는 성분과 풍부한 단백질, 신생아의 뇌 발달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 들어 있어 신생아에게 반드시 먹여야 한다.
2. 유방마사지는 유방팽만으로 인한 불편감을 완화시킬 수 있고 모유분비에 자극을 주며 아기의 빨기로 유두균열이 일어나는 것 방지할 수 있다.
3. 모유수유시 올바른 자세는 모아에게 안정감을 준다.
4. 모유수유 중인 어머니는 아기가 먹는 젖의 양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지표로 불안을 감소시킨다.
간호 평가
대상자가 퇴원시 올바른 모유수유 방법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아기가 정상적인 체중과 신장을 유지함을 확인한다.
Ⅲ.참고문헌
이영숙 공저(2014), 여성건강간호학Ⅱ, 제3판, 현문사, 42~51p, 94~105p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320
네이버 지식백과(서울대학교 의학정보- 자간전증)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54&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한국말을 이해하나 표현하는 것이 부족하다. 깊은 대화를 하지는 못 할 정도로 한국말이 서투르다.
객관적 자료
모유수유를 시도했으나 아직 서툴렀다.
간호 진단
#4 모유수유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 모유수유 방법을 잘 수행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교육직후 교육한 모유수유 방법을 이해한다고 말한다.
간호 수행
1. 간호관찰: Rounding시 모유수유시 아이를 잡는 자세에 대해 관찰한다.
모유수유 시 아이의 반응을 관찰한다.
2. 간호처치: 젖이 나오는지 유방통증이 없는지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유방마사지를 수행한다.
3. 간호교육: 모유수유에 대한 장점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함께 교육한다.
모유수유시 올바른 자세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함께 교육한다.
모유수유시 젖 물리는 방법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함께 교육한다.
성공적인 모유수유의 지표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함께 교육한다.
(24시간동안 적어도 8회이상, 젖이 나오면 빠는 리듬이 느려지고 소리내며 삼킴, 매일 18~30g씩 지속적으로 체중 증가, 하루6회이상 소변과 3~8회의 대변을 보는 등)
이론적 근거
1. 초유에는 태변을 빨리 배출시키는 성분과 풍부한 단백질, 신생아의 뇌 발달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 들어 있어 신생아에게 반드시 먹여야 한다.
2. 유방마사지는 유방팽만으로 인한 불편감을 완화시킬 수 있고 모유분비에 자극을 주며 아기의 빨기로 유두균열이 일어나는 것 방지할 수 있다.
3. 모유수유시 올바른 자세는 모아에게 안정감을 준다.
4. 모유수유 중인 어머니는 아기가 먹는 젖의 양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지표로 불안을 감소시킨다.
간호 평가
대상자가 퇴원시 올바른 모유수유 방법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아기가 정상적인 체중과 신장을 유지함을 확인한다.
Ⅲ.참고문헌
이영숙 공저(2014), 여성건강간호학Ⅱ, 제3판, 현문사, 42~51p, 94~105p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320
네이버 지식백과(서울대학교 의학정보- 자간전증)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54&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
키워드
추천자료
폐렴 케이스스터디
소아과 케이스스터디- Hepatitis
췌장염 간호 케이스스터디
진폐증에 관한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골절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CHF 케이스스터디 (울혈성 심부전)
폐암에 대한 케이스스터디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 ...
직장암 환자 케이스스터디 casestudy
간호관리 케이스스터디, 프리셉터, 신규간호사 교육, 인적자원의 개발관리,비효과적 훈련방법
식사요법 케이스스터디 위장관질환
식사요법 케이스스터디 간질환 <지방간>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간호진단 2개(질...
아동 폐렴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