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실습 일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과 실습 일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닐까 싶다. 또한 실습동안 많은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어서 좋았으며 지침서를 채우며, 문헌고찰을 하며 찾아본 많은 정보들이 나중에 정신간호를 배울 때 도움이 되길 바란다.
학습내용
가창요법
가창에는 개인과 집단 음악요법이 있는데, 개인 음악요법보다 집단 음악요법이 정신과 병동에서 자주 실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장소 및 선곡
물리적 공간은 20~30명 정도 모일 수 있는 장소가 적절하고, 치료 빈도 및 시간은 주 1~2회, 매회 60분 정도가 좋으며, 사용도구는 피아노, 하모니카, 기타, 노래가사를 적은 괘도가 있으면 좋다.
집단 가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선곡이며, 이것이 목표하는 치료효과에 많은 영향을 준다. 실제로 선곡은 치료 장면의 상황에 따라 수정,보완이 필요하며 꼭 어떤 고정된 선곡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되며, 참가자들의 취향과 치료자의 의도를 적절히 고려한다.
가창의 특성과 간호사의 역할
환자들을 둥글게 앉게하여 반주에 맞춰 합창이나 독창을 시킨다. 빔 프로젝터나 노래가사를 적은 커다란 크기의 괘도가 있어 함께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감정의 발산은 물론, 환자 상호간의 친근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된다. 비판을 삼가고 환자의 스타일을 존중하고 격려해 줘야하며 치료상황에서 일어나는 조그마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한참 손발의 박자소리가 터져 나올 정도로 분위기가 절정에 올라가기 시작하면 지나친 언어개입은 하지 않는다. 노래소리가 적고 분위기가 가라앉은 느낌이 있을때는 치료자가 큰 소리나 분위기로 이끌거나 노래를 중단시키고 게임이나 동작을 넣는다. 노래하고 난 후 감상을 묻는다든지 곡의 연상을 얘기로 나눈다. 참가자들의 노래 소리를 잘 듣고, 그들의 표정이나 움직임을 민감하게 관찰하여 적절히 대처한다.
참고문헌
이광자 외 32명(2006) /「정신간호총론」/수문사
5일차
2017년 (금요일)
주 제 : 웃음치료
관찰내용
이XX님과 대화를 나누었다. 이XX님은 차트에 제대로 된 친구가 한명도 없다고 써져 있었다. 또한 친구를 만들 이유를 못 느끼는 사회적으로 고립된 환자라고 되어있었다. 실제로 대화를 나누어보니 낯을 조금 가리시는 편이신 것 같았으나, 먼저 말을 건네니 대화는 쉽게 이루어졌다. 만화책 ‘원피스’가 XX님 사물함 위에 올려져있어서 “만화책 좋아하시나 봐요?” 라며 대화를 건넸다. 이XX님은 미대입시학원을 다니며 미대진학을 꿈꿨다고 한다. 이 병원에 오게 된 건 중.고등학교 때 왕따를 심하게 당하고 맞고 다녀서라고 하시며 이젠 많이 좋아졌다고 다음 주에 퇴원이라며 웃음을 보이셨다. 정신치료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
XX님과 대화가 끝나고 다른 환자분들과도 일상적 대화를 나누었다. 이제 왠만한 환자분들이 익숙해져 대답도 잘 할 수 있게 되었고, 그만큼 적응도 많이 된 것 같다. 웃음치료에 참여하러 갔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에는 폐쇄병동 환자분들뿐만 아니라 개방병동에서도 환자분들이 오셔서 다 같이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그래서 환자분들이 개방병동의 환자분들과 만나 얘기를 나눌 수도 있고,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에 친목을 다질 수도 있다. 웃음치료는 옆 환자분들과 함께 발을 구르고 손뼉을 치며 소리를 내어 웃는 치료방법이었다. 정말 신기한 것이 억지로라도 웃으니까 정말 왠지 모르게 즐거운 마음이 절로 생겨났고, 환자분들도 나와 같은 마음이신지, 웃음치료를 마치고 돌아왔을 땐 다들 표정이 싱글 벙글 이셨다. 여러 치료요법 중 효과가 좋은 치료요법이라는 생각을 했다. 다음 주 까지 정신과 실습을 다니며 더 많은 프로그램과 치료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많은 것을 얻어 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학습내용
웃음치료의 방법 및 효과
정의
웃음을 활용하여 신체적 혹은 정서적 고통과 스트레스를 경감하는 치료법이다.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극복하는 데 보완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류
웃음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수동적 유머는 재미있는 영화나 코미디, 책 등 준비된 자료를 보면서 웃게 되는 것이다. 자발적 혹은 비계획적 유머(spontaneous or unplanned humor)는 일상생활에서 웃음을 찾는 것이다. 생활에서 웃음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은 암을 치료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
웃음 치료는 다음의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다.
- 환자의 통증 경감
- 일반인들의 스트레스관리 및 정서조절
- 분노, 우울 등 정서조절 향상을 위한 치료의 일환
- 의사-환자 관계의 증진
- 상호의사소통 증진
이외에도 웃음 치료는 점점 그 활용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시술방법
웃음 치료 단독으로 시행될 수도 있으며, 정신 치료나 스트레스 완화 요법 등의 치료 프로그램의 일부로 활용될 수도 있다. 상황에 따라 집단으로 혹은 개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영화나 오디오 자료, 책, 게임 등 웃음을 유발할 수 있는 자료를 사용하여 웃음을 유발하기도 하고, 일종의 운동으로써 반복적으로 크게 웃거나 미소를 짓는 기법을 활용하는 등 치료의 목적과 대상에 따라 여러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소요시간
치료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된다. 계요병원에선 50분동안 시행.
웃음치료의 효과
1) 면역계
웃음은 면역계 관련 물질의 변화를 일으킨다.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δ), 백혈구와 면역 글로블린이 많아지고 면역을 억제하는 코티졸(cortisol)과 에피네프린이 줄어든다. 암세포를 죽이는 NK세포가 웃음에 의해서 강력하게 활성화된다는 보고도 있다.
2) 신경호르몬계
웃음은 뇌에서 엔도르핀(endorphin)이나 엔케팔린(enkephalin)같은 통증을 줄이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이는 웃음이 통증에 대한 내인성을 높이는 효과에 대한 생리적 근거이기도 하다. 또한 대표적인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알려진 코티졸의 혈액 내 농도를 감소시킨다.
3) 심혈관계
웃음은 혈관을 이완시켜서 혈압을 떨어뜨리고 순환을 촉진시킨다. 호흡과 산소이용도를 증가시킨다.
그 밖에도 알레르기 개선 효과나 당뇨병 개선 효과, 운동 효과를 보고한 연구들도 있다.
참고문헌
정해성 외 5명/「웃음임상치료의 실제」/ 맑은생각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7.09.01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22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