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내려오게끔 하는 게 아니라 ‘죽든말든 저쪽으로‘ 식으로 보이는 모습은 웃기면서도 살짝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었다. 이전에 서로 무조건 ’이 사건은 내꺼!‘만을 외치던 그들 모두에게 닥친 변화를 반대의 대사를 통해 유쾌하게 표현하고 싶은 의도가 있었던 거겠지만, 마지막 장면에 그들이 보여준 태도는 과연 이전의 그들과 얼마나 다른 것인지 생각하게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레오노웬스 애나 앤 킹(Anna and King) 왕과 나
반지의 제왕3 -왕의 귀환을 보고...
빔 벤더스의 초기작 길의 왕 감상문
맬러리의 아더왕의 죽음(Morte D`arthur)
애착이론으로 바라본 '왕의남자' 속 연산군의 애착이론
영화 속의 그리스 신화-신화 속의 페드라, 영화 속의 페드라
영화 묵공을 보고 - 영화 감상문
여가와_삶_영화동참기_신기전(영화감상)
영국이 낳은 대문호 셰익스피어의 리어왕
[희극의 이해] '오이디푸스 왕'을 감상하고 나서
노트르담의 꼽추(노틀담의 꼽추 / Notre Dame de Paris) 영화의 시대적 상황, 영화의 공간적 ...
셰익스피어의 4대비극 감상문 - 햄릿, 리어왕, 맥베드, 오셀로
비평적 에세이 - [왕의 남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