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 정신건강 들어가기
Ⅱ. 본 론 – 성격의 개념과 제이론, 측정에 대해 자세히 논하시오.
1. 성격의 개념
2. 성격의 제이론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성격이론
① 정신분석 성격이론의 핵심 개념
② 정신분석 성격이론의 성격의 구조 (원초아-자아-초자아)
③ 정신분석 성격이론의 다섯 단계
2) 매슬로의 인본주의 성격이론
① 인본주의 성격이론의 핵심개념
② 매슬로의 인간의 욕구에 대한 개념
③ 매슬로의 성격이론의 욕구위계론
3) 스키너의 행동주의 성격이론
① 행동주의 성격이론의 핵심개념
② 스키너 이론의 강화와 처벌
③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이론
3. 성격측정검사
1) MMP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2)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3) 로르샤흐검사 (Rorschach test)
Ⅲ. 결 론
참고문헌
Ⅱ. 본 론 – 성격의 개념과 제이론, 측정에 대해 자세히 논하시오.
1. 성격의 개념
2. 성격의 제이론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성격이론
① 정신분석 성격이론의 핵심 개념
② 정신분석 성격이론의 성격의 구조 (원초아-자아-초자아)
③ 정신분석 성격이론의 다섯 단계
2) 매슬로의 인본주의 성격이론
① 인본주의 성격이론의 핵심개념
② 매슬로의 인간의 욕구에 대한 개념
③ 매슬로의 성격이론의 욕구위계론
3) 스키너의 행동주의 성격이론
① 행동주의 성격이론의 핵심개념
② 스키너 이론의 강화와 처벌
③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이론
3. 성격측정검사
1) MMP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2)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3) 로르샤흐검사 (Rorschach test)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자인 해서웨이(Hathaway)와 정신과 의사인 맥킨리(Mckinley)에 의하여 개발된 MMPI는 처음에는 정신건강의학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비정상적인 행동을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MMPI의 본래의 목적은 정신과적 진단을 위한 측정이었다. 그러나 후에 일반적인 성격 측정에도 적용되어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심리 상담, 인사 선발, 법적 자문, 정신건강 관련 선별 검사, 연구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경험적 문항 선정 방법으로 만든 최초의 성격 검사이며, 타당도 척도를 가진 최초의 검사로 평가받는다.
MMPI는 처음 55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가, 시대와 맞지 않는 질문과 같은 부적절한 질문을 삭제하고 시대적으로 필요한 질문 내용을 첨가하면서 704개의 문항으로 수정되었다. 그리고 1989년 재표준화 과정을 거쳐 567개 문항을 가진 MMPI-2가 출시되었고, 1992년에는 청소년을 위한 MMPI-A가 개발되었다.
2)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검사 중 가장 잘 알려진 MBTI(Myers Briggs Type Indicator)는 브릭스(Katharine C. Briggs)와 마이어스(Isabel B. Myers)가 심리학자 융(C. Jung)의 이론을 바탕으로 오랜 세월 연구한 끝에 개발한 성격 유형 검사 도구이다. 모두 9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4가지 분류 기준에 따른 결과에 의해 수검자를 16가지 성격 유형 중에 하나로 분류한다. 여기에서 4가지 분류 척도는 정신적 에너지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외향-내향(E-I) 지표, 정보 수집을 포함한 인식의 기능을 나타내는 감각-직관(S-N) 지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결정 내리는 사고-감정(T-F) 지표, 인식 기능과 판단 기능이 실생활에서 적용되어 나타난 생활양식을 보여 주는 판단-인식(J-P) 지표이다.
3) 로르샤흐검사 (Rorschach test)
로르샤흐 검사는 헤르만 로르샤흐(Hermann Rorschach)가 1921년 창안한 10장의 다의적인 잉크 얼룩을 자극자료로 하여 개개인의 행동, 관념내용 등의 샘플을 추출함으로써 인격 특징의 파악 내지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일종의 심리진단법이다. 본래 이 검사는 정신병이나 병적 성격의 진단기법으로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보통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성격심리학 ·임상심리학 ·문화인류학 등의 분야에서 널리 응용하고 있다.
피험자로 하여금 검정색·회색 또는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10장의 잉크 무늬 속에서 자신이 보는 물체가 무엇인가를 묘사하게 한다. 그래서 그에 대한 피험자의 반응, 예를 들어 잉크 무늬 속에 보이는 물체의 위치, 특히 두드러지게 보이는 형태 또는 색깔, 무늬가 어떤 물체로 보이는지 등을 기록한다. 검사대상자의 반응은 잉크 얼룩에서 지각한 것의 위치, 검사대상자가 강조한 자극의 특징, 지각의 내용, 운동지각, 지각의 수에 따라 점수가 매겨진다. 그리고 이 기록을 가지고 피험자의 성격을 기술하며 때로는 기록을 일정한 기준과 비교하기도 한다.
이 검사법은 널리 쓰이지만, 그 해석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이를 가장 널리 이용하는 진단과 예후 분야에서조차 신뢰할 수 없다고 공격받아왔다. 로르샤흐가 처음 이 검사법을 발표한 이후 유사한 검사법들이 고안되었는데, 미국의 심리학자 W. H. 홀츠먼이 고안한 45장짜리 카드 2벌로 된 검사법이 잘 알려져 있다.
7. 결 론
지금까지 대표적인 성격이론으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 매슬로의 인본주의 성격이론, 그리고 스키너의 행동주의 성격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이와 함께 성격측성 검사로서 MMP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그리고 로르샤흐검사 (Rorschach test)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성격이론을 통해서 우리가 알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프로이드와 스키너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에 대해서 크게 의미를 두지 않은 것과는 다르게 인본주의 입장의 매슬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였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스키너와 프로이드가 인간의 잠재력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점 외에 강화와 처벌에 의해서 인간의 행동을 수정해 나갈 수 있다는 가능성과 인간의 무의식을 통한 행동 발달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두 학자가 가지는 의미 또한 매우 크다. 누구의 어떠한 이론이 옳고 그르다는 평가는 옳지 않은 것 같다. 한 사람의 정신세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론과 다양한 시각을 가지고 인간존중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 참 고 문 헌
이수연, 권해수 외 3명 저 성격의 이해와 상담 학지사 2013
임혁, 채인숙 정신건강의 이해 공동체 2011
홍순정, 이규미 정신건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9
Sigmund Freud(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 입문/꿈의 해석 김양순 역 동서문화사 2007
권기성 <내면의 세계의 형성 배경, 행동, 치유: 공맹자, 프로이드, 융> 한국행정사학회 한국행정사학지 Volume 31 Issue 0 2012 pp: 1-31
김영수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가 기업욕구단계설의 비교 연구 : 단계별 적합전략의 규명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경영문제연구소 경영논총 2008 pp: 1-23
문정민 <프로이드와 마슬로의 성격이론 분석>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임선영 <스키너의 행동주의> 한국논단 1월호 1994 pp:208-212
임은숙 <유아를 위한 인본주의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 국내석사
윤주영 <프로이드와 로저스의 성격이론 분석>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최은희 <인본주의 학습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한국교육에서의 시사점에 대하여 논하라> 고시계 Vol.40 Isuue 2 1995 pp:352-355
홍은숙 <행동주의 교육관의 재음미> 성결대학교 논문집 27 1998 pp:257-271
MMPI는 처음 55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가, 시대와 맞지 않는 질문과 같은 부적절한 질문을 삭제하고 시대적으로 필요한 질문 내용을 첨가하면서 704개의 문항으로 수정되었다. 그리고 1989년 재표준화 과정을 거쳐 567개 문항을 가진 MMPI-2가 출시되었고, 1992년에는 청소년을 위한 MMPI-A가 개발되었다.
2)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검사 중 가장 잘 알려진 MBTI(Myers Briggs Type Indicator)는 브릭스(Katharine C. Briggs)와 마이어스(Isabel B. Myers)가 심리학자 융(C. Jung)의 이론을 바탕으로 오랜 세월 연구한 끝에 개발한 성격 유형 검사 도구이다. 모두 9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4가지 분류 기준에 따른 결과에 의해 수검자를 16가지 성격 유형 중에 하나로 분류한다. 여기에서 4가지 분류 척도는 정신적 에너지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외향-내향(E-I) 지표, 정보 수집을 포함한 인식의 기능을 나타내는 감각-직관(S-N) 지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결정 내리는 사고-감정(T-F) 지표, 인식 기능과 판단 기능이 실생활에서 적용되어 나타난 생활양식을 보여 주는 판단-인식(J-P) 지표이다.
3) 로르샤흐검사 (Rorschach test)
로르샤흐 검사는 헤르만 로르샤흐(Hermann Rorschach)가 1921년 창안한 10장의 다의적인 잉크 얼룩을 자극자료로 하여 개개인의 행동, 관념내용 등의 샘플을 추출함으로써 인격 특징의 파악 내지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일종의 심리진단법이다. 본래 이 검사는 정신병이나 병적 성격의 진단기법으로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보통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성격심리학 ·임상심리학 ·문화인류학 등의 분야에서 널리 응용하고 있다.
피험자로 하여금 검정색·회색 또는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10장의 잉크 무늬 속에서 자신이 보는 물체가 무엇인가를 묘사하게 한다. 그래서 그에 대한 피험자의 반응, 예를 들어 잉크 무늬 속에 보이는 물체의 위치, 특히 두드러지게 보이는 형태 또는 색깔, 무늬가 어떤 물체로 보이는지 등을 기록한다. 검사대상자의 반응은 잉크 얼룩에서 지각한 것의 위치, 검사대상자가 강조한 자극의 특징, 지각의 내용, 운동지각, 지각의 수에 따라 점수가 매겨진다. 그리고 이 기록을 가지고 피험자의 성격을 기술하며 때로는 기록을 일정한 기준과 비교하기도 한다.
이 검사법은 널리 쓰이지만, 그 해석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이를 가장 널리 이용하는 진단과 예후 분야에서조차 신뢰할 수 없다고 공격받아왔다. 로르샤흐가 처음 이 검사법을 발표한 이후 유사한 검사법들이 고안되었는데, 미국의 심리학자 W. H. 홀츠먼이 고안한 45장짜리 카드 2벌로 된 검사법이 잘 알려져 있다.
7. 결 론
지금까지 대표적인 성격이론으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 매슬로의 인본주의 성격이론, 그리고 스키너의 행동주의 성격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이와 함께 성격측성 검사로서 MMP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그리고 로르샤흐검사 (Rorschach test)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성격이론을 통해서 우리가 알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프로이드와 스키너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에 대해서 크게 의미를 두지 않은 것과는 다르게 인본주의 입장의 매슬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였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스키너와 프로이드가 인간의 잠재력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점 외에 강화와 처벌에 의해서 인간의 행동을 수정해 나갈 수 있다는 가능성과 인간의 무의식을 통한 행동 발달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두 학자가 가지는 의미 또한 매우 크다. 누구의 어떠한 이론이 옳고 그르다는 평가는 옳지 않은 것 같다. 한 사람의 정신세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론과 다양한 시각을 가지고 인간존중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 참 고 문 헌
이수연, 권해수 외 3명 저 성격의 이해와 상담 학지사 2013
임혁, 채인숙 정신건강의 이해 공동체 2011
홍순정, 이규미 정신건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9
Sigmund Freud(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 입문/꿈의 해석 김양순 역 동서문화사 2007
권기성 <내면의 세계의 형성 배경, 행동, 치유: 공맹자, 프로이드, 융> 한국행정사학회 한국행정사학지 Volume 31 Issue 0 2012 pp: 1-31
김영수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가 기업욕구단계설의 비교 연구 : 단계별 적합전략의 규명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경영문제연구소 경영논총 2008 pp: 1-23
문정민 <프로이드와 마슬로의 성격이론 분석>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임선영 <스키너의 행동주의> 한국논단 1월호 1994 pp:208-212
임은숙 <유아를 위한 인본주의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 국내석사
윤주영 <프로이드와 로저스의 성격이론 분석>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최은희 <인본주의 학습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한국교육에서의 시사점에 대하여 논하라> 고시계 Vol.40 Isuue 2 1995 pp:352-355
홍은숙 <행동주의 교육관의 재음미> 성결대학교 논문집 27 1998 pp:257-271
키워드
추천자료
[적응과 정신건강] 미래의 정신건강
WHO에서 말하는 정신건강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시고, 정신건강론에서 말하는 정상과 비정상에...
[정신건강론]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심리적 요인에서 성격이론을 설명
현대인의 정신건강 문제 중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되는 문제가 무엇이며 그 문제의 원인과 해...
[정신건강론] 유아기의 발달 특성과 발달 과제 및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동특성 그리고...
[정신건강론] 학령전기의 발달과 아동기 발달 및 아동기 특성과 정신건강
[정신건강론] 영아기의 발달 특성과 발달 과제 및 영아기애착과 정신건강
[정신건강론] 성인기(청년기·중년기) 발달특성과 발달과제 및 성인기 정신건강
[정신건강론] 태아기의 정신건강 - 태아기의 개념과 발달 및 태아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건강론] DSM-IV에 따른 소아기의 정신건강 - 지적장애,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 주의력...
[정신건강론] 노년기 발달특성과 발달과제 및 정신건강
[정신건강론] 청소년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건강 문제 및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문제(학교폭...
[정신건강론]자신이 생각하는 ‘가족과 정신건강’ 간 관련성에 대해 서술하시오.
[아동정신건강] 아동정신건강을 위협하는 문제에 대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