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85회 86회 87회 한문 및 한글번역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85회 86회 87회 한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第八十五回 兩疏見機辭官歸里 三書迭奏罷兵屯田
제팔십오회 양소견기사관귀리 삼서질주파병둔전
第八十六回 逞淫謀番婦構釁 識子禍嚴母知幾
제팔십육회 령음모번부구흔 식자화엄모지기
第八十七回 傑閣圖形名標麟史 錦車出使功讓蛾眉
제팔십칠회 걸각도형명표린사 금거출사공양아미

본문내용

위소곤미 오취도득여소망 당즉락종
向隅 [xiangyu] ① 고립되다 ② 기회를 잃다 ③ 동떨어지다
오취도는 고립되길 원치 않아 소곤미가 되며 오취도는 소망대로 얻어 응당 즐겁게 따랐다.
常惠又與他分別轄地, 大昆彌得民戶六萬餘, 小昆彌得民戶四萬餘, 割界限, 免致相爭。
상혜우여타분별할지 대곤미득민호육만여 소곤미득민호사만여 할청계한 면치상쟁
民戶:일반 사람들이 사는 살림집  
상혜는 또 그와 분할지역을 나눠 대곤미는 민호 6만여를, 소곤미는 민호 4만여로 나눠 경계를 깨끗이하여 다툼을 면하게 했다.
越兩年餘, 元貴靡便卽病逝。
월양년여 원귀미변즉병서
2년여 지나 원귀미가 곧 병사했다.
子星靡嗣立, 楚公主解憂, 年將七十, 因上書乞歸, 得蒙宣帝慨允, 派使往迎。
자성미사립 초공주해우 년장칠십 인상서걸귀 득몽선제개윤 파사왕영
慨允 [kiyn] 쾌히 승낙하다 慨
아들 성미가 대이어 즉위하며 초공주 해우는 나이가 장차 70세로 서신을 올려 돌아가길 구하니 한선제가 쾌히 승낙해 사신을 파견해 맞아들였다.
解憂領孫男女三人, 回至京師, 入朝宣帝。
해우설령손남녀삼인 회지경사 입조선제
해우는 손자와 손녀 3사람을 이끌고 수도에 돌아와 한선제를 입조했다.
宣帝見他白髮, 倍加憐惜, 特賜他田宅奴婢, 得養老。
선제견타백발파파 배가련석 특사타전택노비 비득양로
(머리 센 모양 파; -총17획; bo,po,pan):머리털이 허옇게 센 모양
한선제는 그녀가 허옇게 머리털이 세서 더욱 가련하게 여겨 특별히 전택과 노비를 하사하여 노년을 봉양하게 했다.
過了兩年, 解憂病歿, 三孫留守墳墓, 毋庸細表。
과료양년 해우병몰 삼손유수분묘 무용세표
2년 지나 해우가 병사하니 3손자는 분묘를 머물러 지킴을 자세히 표시하지 않겠다.  
惟馮夫人曾隨解憂回國, 至解憂歿後, 聞得烏孫嗣主星靡, 懦弱無能, 恐爲小昆彌所害, 乃復上書請效, 願仍出使烏孫, 鎭撫星靡。
유풍부인증수해우회국 지해후몰후 문득오손사주성미 나약무능 공위소곤미소해 내부상서청효 원잉출사오손 진무성미
請效: 바랄 청, 본받을 효. 옳은 뜻을 본받으라
풍부인이 해우를 따라 고국에 돌아와서 해우가 사후에 오손 대잇는 군주인 성미가 나약하고 무능하다고 들어 소곤미에게 피해당할까 두려워 다시 서신을 올려 옳음을 본받길 청해 원컨대 사신을 오손에 내어 성미를 다스리게 했다.
宣帝准奏, 遣百騎護送出塞, 後來星靡終得保全, 馮夫人已嫁烏孫右大將, 想總是功成以後, 告老西了。
선제준주 견백기호송출채 후래성미종득보전 풍부인이가오손우대장 상총시공성이후 고로서수료
告老 [gao//lo] 노령으로 퇴직하다
한선제가 상주를 비준하고 백명 기병을 보내 호송해 변경을 나가게 하여 뒤에 성미가 종내 보전되니 풍부인이 이미 오손우대장에게 시집가서 모두 공로가 이루어진 뒤에 서쪽 변경에서 노령으로 퇴직했다.
馮夫人之歿, 史傳中未曾詳敍, 故特從活筆。
풍부인지몰 사전중미증상서 고특종활필
풍부인이 사망한뒤에 역사에서는 아직 일찍이 상세히 서술하지 않으므로 특별히 산 붓으로 썼다.
小子有詩贊道:錦車出塞送迎忙, 專對長才屬女, 讀史漫誇蘇武節, 鬚眉巾竝流芳。
소자유시찬도 금거출채송영망 전대장재속여랑 독사만과소무절 수미건괵병유방  
才:chan cai,意思是的才能
鬚眉: 수염과 짙은 눈썹, 결국 남자를 지칭함
내가 시로 다음과 같이 찬탄한다. 비단 수레를 타고 변방을 나가 전송과 맞이함이 바쁘니 오로지 여성이 특이한 재주를 가지고 역사를 읽는 사람은 소무 절개를 수염난 남자와 건괵의 부인이 같이 꽃다운 이름을 남기다.
越年有黃龍出現廣漢, 因改元黃龍。
월년유황룡출현광한 인개원황룡
黃龍:前漢(전한) 宣帝
다음해에 황색 용이 광한에서 출현하여 황룡으로 개원했다.
那知不到年終, 宣帝忽然生起病來, 欲知病狀如何, 待至下回再敍。
나지부도년종 선제홀연생기병래 욕지병상여하 대지하회재서
年 [nianzhng] ① 연말 ② 세모  
어찌 연말에 이르지 않아 한선제는 갑자기 질병이 생겨 질병이 어떤 모습인지 알려면 아래 88회에서 다시 서술하길 기다려보자.
麟閣圖形, 計十一人, 若黃 于定國 張敞 夏侯勝等, 皆不得竝列, 似乎嚴格以求, 寧少毋濫, 然如杜延年 劉德 梁邱賀 蕭望之四人, 不過粗具儀, 無甚奇績, 亦胡爲參預其間, 且蘇子卿大節凜然, 獨置後列, 雖爲震外人起見, 但王者無私, 豈徒恃虛之威, 所能及遠乎?
린각도형 계십일인 약황패 우정국 장창 하후승등 개부득병열 사호엄격이구 녕소무람 연여두연년 유덕 양구하 소망지사인 불과조구풍의 무심기적 역호위참예기간 차소자경대절늠연 독치후례 수위진섭외인기견 단왕자무사 기도시허교지위 소능급원호
虛(교만할 교; -총15획; jiao):헛되이 방자하고 교만함
기린각 그림과 형상은 11명으로 황패, 우정국, 장창, 하후승등은 모두 나란히 나열되지 못해 엄격하게 구한 듯하나 차라리 조금 넘치지 못하게 하나 두연년, 유덕, 양구하, 소망지 4명은 대략 풍성한 의식만 갖추고 기이한 공적이 없고 또 어찌 그 사이 참여하였는가? 소자경은 큰 절개로 늠름해 유독 뒤에 나열하니 비록 외부 사람을 두렵게 하기 위해서이지만 단지 왕은 사심이 없는데 어찌 헛되게 교만한 위엄만 믿고 멀리 이르려고 했는가?
蘇武後, 復有馮夫人之錦車持節, 慰定烏孫, 女界中出此奇英, 足傳千古, 惜乎重男輕女之風, 已成慣習。
소무후 부유풍부인지금거지절 위정오손 여계중출차기영 족전천고 석호중남경녀지풍 이성관습
慣習:한 사회에서 역사적으로 굳어진 전통적 행동 양식이나 습관
소무 뒤에 다시 풍부인의 비단 수레로 부절을 지녀 오손을 위로하고 안정해 여성중에서 이러한 기이한 영재가 있어 족히 천년 전해야 하나 애석하게 남자를 중시하고 여자를 경시한 풍모로 이미 습관을 이루었다.
宣帝能破格任使, 獨不令繪其像於麟閣之末, 吾猶爲馮夫人嘆息曰:“天生若材, 何不使易釵而弁也!”
선제능파격임사 독불령회기상어린각지말 오유위풍부인탄식왈 천생약재 하불사역차이변야
易釵而弁:代指女子,弁代指男子(古候只有男子可以戴帽子)。的意思是女子打扮,女扮男
한선제는 파격적으로 사신으로 임명해 유독 기린각 말에 형상 그림을 그리게 하지 않고 내가 풍부인을 위해 탄식하여 말하길 “하늘이 이런 인재를 내었는데 어찌 여성을 남성으로 바꾸지 않았는가?”
전한통속연의, 중국 채동번, 중국 세계서국인행, 553-573페이지

키워드

기린각,   황패,   양하,   유요,   관상가,   태위,   시중,   사고,   한선제,   전한통속연의
  • 가격10,000
  • 페이지수67페이지
  • 등록일2017.09.10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3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