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또 하나의 레이저광(參照光이라고 한다)을 렌즈로 확산시켜 사진건판에 비치면, 피사체에서 확산된 레이저광[物體光]과 참조광이 사진건판상에서 겹쳐서 간섭을 일으키고 복잡한 간섭무늬가 생긴다. 이 간섭무늬를 사진건판에 기록한 것을 홀로그램이라 한다.
이렇게 만든 홀로그램에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가는 간섭무늬가 찍혀 있는데, 피사체와는 닮지 않은 무늬이다. 그러나 피사체의 형태, 깊이, 피사체의 위치나 명암까지가 모든 간섭무늬 형태로 기록된다. 다음에 이 홀로그램으로부터 피사체의 입체상을 재현할 때는, 레이저광선을 참조광을 기록할 때와 같은 방향에서 홀로그램에 조사한다. 그렇게 하면 피사체가 원래 있던 같은 위치에 마치 실물 피사체가 있는 것처럼 입체상이 나타난다. 홀로그래피는 보통 사진에서는 전혀 생각할 수 없는 여러 가지 흥미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홀로그램을 만들 때 피사체에서 확산된 빛이 홀로그램의 어느 부분에나 비추었기 때문에 홀로그램의 어느 일부를 사용하여 상을 재생하여도 피사체 전체를 재생할 수 있다. 또 1장의 사진건판에 동시에 다른 상을 기록하여 놓고[多重記錄] 각각의 상을 재생할 수 있다. 홀로그래피는 상의 기록이나 재생뿐만 아니라, 물체 형상의 미소변화를 측정하거나 스피커 등의 진동 해석, 컴퓨터의 메모리 등에 응용되고 있다.
레이저가공
레이저광선의 큰 에너지밀도를 이용하여 딱딱한 보석에 구멍을 뚫거나, 시계 부품의 구멍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뚫는 기술은 비교적 일찍이 실행되었다. 또 양복을 대량으로 만들 때에 옷감의 재단에 레이저가 사용되고 있다. 사람이 한 장 한 장 가위나 커터로 재단하기보다 매우 빠르고 옷감의 낭비도 없으며, 자른 자리에 실밥이 생기지 않게 재단할 수 있으므로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철판의 절단이나 용접 등에도 널리 응용된다.
의학에서의 응용
최근에는 이 분야에서의 응용도 증가하고 있다. 예전에는 실명(失明)을 면할 수 없었던 눈의 망막(網膜)에 생긴 종양이나 당뇨병에 의한 안저출혈(眼底出血)도 눈 외부로부터 레이저광선을 조사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레이저를 사용하는 수술용 메스가 개발되어 위(胃) 속에 생긴 암이나 종양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입으로 광섬유를 삼키게 하고 여기에 레이저광선을 통하여 암이나 종양 부분만을 태우고 잘라내는 방법이다.
레이저 통신
레이저광선은 전화회선 등에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로파에 비하여 주파수가 수만 배에서 수십만 배나 높은 광영역에 있는 전자기파이다. 그 때문에 이것을 반송파(搬送波)로 쓰면 마이크로파의 수만 배, 수십만 배나 되는 음성·화상·데이터 등의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주파수가 약 4.7×1014Hz인 헬륨-네온 레이저광선에 전화 목소리를 실어서 통신을 한다면 한 번에 10억 회선 정도가 가능하며 20억인이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이만큼 많은 정보 전송(電送)은 불가능하지만 전파 대신 레이저광선을 사용하는 통신이 실시되는 것은 비교적 가까운 장래의 일이라고 생각된다.
이렇게 만든 홀로그램에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가는 간섭무늬가 찍혀 있는데, 피사체와는 닮지 않은 무늬이다. 그러나 피사체의 형태, 깊이, 피사체의 위치나 명암까지가 모든 간섭무늬 형태로 기록된다. 다음에 이 홀로그램으로부터 피사체의 입체상을 재현할 때는, 레이저광선을 참조광을 기록할 때와 같은 방향에서 홀로그램에 조사한다. 그렇게 하면 피사체가 원래 있던 같은 위치에 마치 실물 피사체가 있는 것처럼 입체상이 나타난다. 홀로그래피는 보통 사진에서는 전혀 생각할 수 없는 여러 가지 흥미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홀로그램을 만들 때 피사체에서 확산된 빛이 홀로그램의 어느 부분에나 비추었기 때문에 홀로그램의 어느 일부를 사용하여 상을 재생하여도 피사체 전체를 재생할 수 있다. 또 1장의 사진건판에 동시에 다른 상을 기록하여 놓고[多重記錄] 각각의 상을 재생할 수 있다. 홀로그래피는 상의 기록이나 재생뿐만 아니라, 물체 형상의 미소변화를 측정하거나 스피커 등의 진동 해석, 컴퓨터의 메모리 등에 응용되고 있다.
레이저가공
레이저광선의 큰 에너지밀도를 이용하여 딱딱한 보석에 구멍을 뚫거나, 시계 부품의 구멍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뚫는 기술은 비교적 일찍이 실행되었다. 또 양복을 대량으로 만들 때에 옷감의 재단에 레이저가 사용되고 있다. 사람이 한 장 한 장 가위나 커터로 재단하기보다 매우 빠르고 옷감의 낭비도 없으며, 자른 자리에 실밥이 생기지 않게 재단할 수 있으므로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철판의 절단이나 용접 등에도 널리 응용된다.
의학에서의 응용
최근에는 이 분야에서의 응용도 증가하고 있다. 예전에는 실명(失明)을 면할 수 없었던 눈의 망막(網膜)에 생긴 종양이나 당뇨병에 의한 안저출혈(眼底出血)도 눈 외부로부터 레이저광선을 조사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레이저를 사용하는 수술용 메스가 개발되어 위(胃) 속에 생긴 암이나 종양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입으로 광섬유를 삼키게 하고 여기에 레이저광선을 통하여 암이나 종양 부분만을 태우고 잘라내는 방법이다.
레이저 통신
레이저광선은 전화회선 등에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로파에 비하여 주파수가 수만 배에서 수십만 배나 높은 광영역에 있는 전자기파이다. 그 때문에 이것을 반송파(搬送波)로 쓰면 마이크로파의 수만 배, 수십만 배나 되는 음성·화상·데이터 등의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주파수가 약 4.7×1014Hz인 헬륨-네온 레이저광선에 전화 목소리를 실어서 통신을 한다면 한 번에 10억 회선 정도가 가능하며 20억인이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이만큼 많은 정보 전송(電送)은 불가능하지만 전파 대신 레이저광선을 사용하는 통신이 실시되는 것은 비교적 가까운 장래의 일이라고 생각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과학기술][과학기술정책][현대사회][과학기술의 위상][과학기술의 발전방향][과학기술 강대...
[과학기술][과학기술정책][과학기술발전][과학][기술][영국][일본][독일][중국]영국의 과학기...
[첨단과학기술]첨단과학기술의 분류, 첨단과학기술과 목재의 접목, 첨단과학기술을 이용한 섬...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목표와 대상자선발,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기...
과학영재(과학기술영재)의 정의, 특징, 판별,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실...
[과학기술기본계획][과학기술기본계획 관련 시사점]과학기술기본계획의 필요성, 과학기술기본...
[남북과학기술협력][북한 특구]남북과학기술협력의 의의, 남북과학기술협력의 기본 방향, 남...
[과학기술문화][과학기술문화 개념][과학기술문화 필요성][과학기술문화 발전단계][과학기술...
북한 과학기술의 목적, 북한 과학기술의 행정체계, 북한 과학기술의 교육체계, 북한 과학기술...
[과학기술시대][실천철학][정치사회][윤리학][과학기술시대의 과제]과학기술시대의 실천철학,...
[남북과학기술협력]남북과학기술협력의 필요성, 남북과학기술협력의 배경, 남북과학기술협력...
[과학기술자][과학기술자 사회적 책임][과학기술위원회][과학기술자 과제]과학기술자의 정의,...
[과학기술정책][디지털경제]과학기술정책의 기본 방향, 과학기술정책의 지배구조, 과학기술정...
[과학기술]과학기술의 발전과정, 과학기술의 실태, 과학기술과 정치 및 사회, KAIST(카이스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