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레포트,시험대비) [아동안전관리] 성폭력 안전교육의 내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레포트,시험대비) [아동안전관리] 성폭력 안전교육의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성폭력 피해 아동의 특징
(2) 유아 성폭력 내용
(3) 성폭력 사고의 해결을 위한 법적 절차
(4) 유아 성폭력 삭의 예방방법
(5) 성폭력 사고 해결 절차

본문내용

소나 여성단체, 법률전문가 를 찾아서 자신이 당한 성폭력으로 어떤 방법으로 어떤 절차에 따라 처벌할 수 있는 지, 자신이 준비하고 알아두어야 할 점이 무엇인지 등에 상세히 알아두는 것이 좋다.
③ 증거 보존 및 수집
성폭력 범죄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로는 정액 채취, 체모, 반항할 때 생긴 상처나 멍든 부위, 찢어진 옷가지 등에 대한 사진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이러한 증거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더 많다. 아동의 최초 진술은 반드시 녹화해 둔다. 시간이 흐르면 진술이 번복되고 심리적 반응이 다르므로 최초의 진술이 가장 정확하다. 신경 정신과를 찾아서 당시의 상황을 자세히 상담한 뒤 그로 인한 후유증 등에 관한 담당 의사의 소견서나 진단서, 진료차트 등을 수사기관이나 법원에 제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특히 피해자가 어린아이인 경우에는 피해자 보호와 증거 확보 차원에서라도 소아정신과를 꼭 거치는 것을 권한다.
④ 가해자들의 협박에 대하여
피해자가 성폭력범죄를 형사 고소하게 되면, 대부분의 가해자들이 보복을 고지하거나 고소를 취소할 것을 협박하고 하지만, 실제로 협박처럼 악결과가 발생하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으므로 너무 지나치게 의식할 필요는 없으며, 이러한 해악을 고 지하는 내용을 녹음하여 협박죄 등으로 다시 고소할 수도 있다. 경찰에 피해자 신변 보호요청을 해 둘 필요도 있다.
⑤ 경위서 작성에 대하여
성폭력 범죄를 고소한 경우 경찰, 검찰, 법원 등을 통해 여러 차례에 걸쳐 당시의 상황에 대한 진술이 반복되고 피해자와 가해자의 대질신문 등이 있게 되는데, 피해 장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이 경험한 내용을 잊어버리고 정확히 기억하지 못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가해자의 처벌을 원한다면, 성폭력 당시의 상황에 대하여 아주 구체적이고 세세하게 진술서를 작성해 둔 뒤 이를 토대로 고소장도 작성하고 경찰, 검찰, 법원의 소환 때마다 한 번씩 읽어보고 가면 피해자의 진술이 오락가락하거나 정확히 기억하지 못함으로써 진술의 신빙성이 없다 는 불이익한 처분을 받게 되는 일은 면할 수 있다.
⑥ 수사나 재판 시 주의할 점
최근 아동 성폭력 사건의 수사나 재판의 경우 아동의 정신적 피해와 진술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피해 아동의 최초 진술을 녹화하면 수사부터 재판까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피해자 신문을 받지 않아도 되므로 불필요한 반복 신문에 응할 필요가 없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9.11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3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