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피치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과정
2. 스피치커뮤니케이션의 효과적 기법
3. 도널드 트럼프와 버락 오바마의 스피치 스타일 차이
4. 박근혜 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의 차이
-참고문헌
2. 스피치커뮤니케이션의 효과적 기법
3. 도널드 트럼프와 버락 오바마의 스피치 스타일 차이
4. 박근혜 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의 차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스타일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보이스는 중저음 음역대로 무게감이 있는 목소리를 갖고 있다. 이러한 안정적이고 신뢰감 있는 이미지는 바로 이런 목소리와 깊은 연관이 있다. 그와 같은 중저음 목소리의 특징 중 하나가 \'편안함\' \'묵직함\' \'포근함\' 등을 느끼게 해준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좋은 중저음의 목소리의 장점과 그 목소리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는 엄청난 발성과 또박또박한 발음이 뒷받침 되면 메시지의 전달력이 더 높아질 수 있다. 이때 문재인 대통령의 고향이 경상남도 거제시라고 한다. 이러한 선천적인 특징 때문에 문재인 대통령은 경상도 사투리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문재인 대통령은 웅변술이 능한 지도자는 아니다. 그래서 그의 열렬한 지지자들 중에서는 대선 때 tv토론을 보면, 비록 자신들은 그의 지지자들 이지만 그가 지적을 받았을 상황에서의 처세 방법과 대답이 느리고 답답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의 사투리 억양과 느릿느릿 천천히 말하는 화법을 귀 기울여서 듣다보면 근거가 탄탄해서 느껴지는 확실한 설득력 보다 더 크게 느껴지는 친근감, 또는 신뢰감을 주고 듣는 이들을 사로잡는 매력이 있다. tv토론 중에서 많은 후보들이 오직 문재인 대통령에게만 질문하고 문재인 대통령만을 곤란한 질문을 통해서 집중적으로 공략했을 때도 단 한마디의 말로 치명타를 날릴 수 있는 순간에도 인내하고 참으면서 그 순간을 그저 부드럽게 넘어가는 듯한 느낌을 준다. 문재인 대통령은 화법이 미사여구를 지속적으로 덧붙이는 것과 같이 언변이 화려하고 사람들을 상대하는 제스처가 능숙하지는 않다. 그리고 날카로운 말 한마디 한마디로 다른 사람들의 과거를 꼬집고 상처를 헤집어서 상대를 주눅들게 하는 스타일은 아니다. 그는 자신감, 자기PR을 중시하는 현대의 시대에서 바라보면 조금 속도가 느리고 동떨어진 듯한 느낌의 스피커이나, 항상 사람을 진실하게 대하는 말투로 문재인, 그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을 어필 하는 장점이 있다.
#표2. 문재인과 박근혜의 스피치 스타일 비교
장점
단점
박근혜
하고싶은 말의 요점을 오목조목 섬세하게 나열
근거와 디테일이 부족해서 설득력이 떨어져 보일 수 있음
문재인
나직한 말투
강인한 말투
안정적인 중저음의 목소리
신뢰감을 주는 인간적인 매력
항상 사람을 진실하게 대하는 말투
토론 할 때 상대방의 집중 공략에 대한 대처가 부족
상대를 압도해야 할 상황에서 안정적 말투는 독이 될 수 있음
다소 약한 발성
사투리 억양이 다소 어눌한 억양의 원인이 되고 있음
<참고문헌>
1. 김복순, ‘발표와 토의’, 국학자료원, 2007, pp37~40.
2. 서하석,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와 문화의 이해, 한빛문화사, 2008
3. 강길호 · 김현주, 2003,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서울: 한나래.
4.김만경, 2010, “설득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효과적인 설교전달에 대한 연구: 유사언어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상준, 2007, 『스피치커뮤니케이션』, 서울: 역락.
#표2. 문재인과 박근혜의 스피치 스타일 비교
장점
단점
박근혜
하고싶은 말의 요점을 오목조목 섬세하게 나열
근거와 디테일이 부족해서 설득력이 떨어져 보일 수 있음
문재인
나직한 말투
강인한 말투
안정적인 중저음의 목소리
신뢰감을 주는 인간적인 매력
항상 사람을 진실하게 대하는 말투
토론 할 때 상대방의 집중 공략에 대한 대처가 부족
상대를 압도해야 할 상황에서 안정적 말투는 독이 될 수 있음
다소 약한 발성
사투리 억양이 다소 어눌한 억양의 원인이 되고 있음
<참고문헌>
1. 김복순, ‘발표와 토의’, 국학자료원, 2007, pp37~40.
2. 서하석,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와 문화의 이해, 한빛문화사, 2008
3. 강길호 · 김현주, 2003,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서울: 한나래.
4.김만경, 2010, “설득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효과적인 설교전달에 대한 연구: 유사언어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상준, 2007, 『스피치커뮤니케이션』, 서울: 역락.
추천자료
커뮤니케이션과 커뮤니케이션이 사회에 미친 영향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더불어 그 내용을 살펴보고, 사례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 기업별...
커뮤니케이션 이해와 20세기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연구
[조직행위론] 기업 내 조직 커뮤니케이션 연구 -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통하여 성과를 극대...
가정家庭,환경보건 1공통)인터넷, 소셜미디어, 스마트폰 등 인간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다양 해...
가족커뮤니케이션의 형태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인지 사례를 제시...
가정,환경보건 )인터넷interne, 소셜미디어, 스마트폰 등 인간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다양해지...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공통] 1) 갈등사례의 구체적 내용, 원인과 문제점이 무엇인가 2) 커뮤...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은 의미의 공유에 있다. 현대사회는 각종 첨단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방법에 대해 설명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과인간2017//갈등사례(학교왕따 갈등)의 구체적 내용, 원인, 문제점이 무엇인...
커뮤니케이션과인간=1.갈등사례의 구체적 내용, 원인과 문제점이 무엇인가 2.커뮤니케이션의 ...
<커뮤니케이션과인간2017> 갈등사례(다문화사회 갈등)의 구체적 내용, 원인, 문제점이 무엇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