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서치만의 질병과정
2) 대상자의 인구 사회적, 생활습관특성
3) 대상자별 질병경험 다섯 단계 비교
3. 결론
참고문헌
2. 본론
1) 서치만의 질병과정
2) 대상자의 인구 사회적, 생활습관특성
3) 대상자별 질병경험 다섯 단계 비교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물에 대해 찾아 본 뒤 어쩐지 꺼림칙하여 지속적으로 먹을지 고민이 되었다.
의존적 환자역할
대상자는 자신의 평소 생활습관이 위염을 가지고 왔음을 알게 되었고 의사의 말을 전적으로 수용한다.
이후 1주일간 연식을 먹으면서 위염을 완화시키는 약을 먹었더니 그 전보다 증상이 완화됨을 느꼈다.
대상자는 자신의 주치의에게 우려되는 사항에 대해 말하였고 의사는 대상자에게 약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을 일으킬 용량이 아님을 알려 안심시켰다.
이후 투약을 통해 이전보다 두통이나 시야 흐림의 증상이 완화되었음을 느꼈다.
회복과 재활
대상자는 이후 방문한 병원으로부터 위염이 나았다는 판정을 받았고 자극적이고 매운 음식을 자제할 것을 교육 받았다.
대상자는 투약을 통해 고혈압과 관련된 증상이 완화되었음을 느꼈으나 약을 임의로 중단할 경우 다시 악화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복약지시를 준수하고 있다.
대상자 2인의 질병과정을 도입해본 결과 서치만의 질병모형은 미시적, 개인적인 동기에 초점을 맞추고, 질병 단계별로 나누어 그 행동을 설정하고, 예측하였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단계 별로 각기 다른 의사결정과 행동양식을 보였으며 중간 단계에서 중단이 되거나 그 이전 단계로 내려 올 가능성이 있었다.
3. 결론
Suchman모형을 직접 적용해 본 결과 위염과 같은 급성 질환은 모형을 적용하여 설명하게 용이하였으나 고혈압과 같이 만성적이며 지속적으로 관리를 요하는 질환에 대해서는 설명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만성적인 질환의 경우에는 병의 중증도가 높은 경우에 따라 회복 및 재활 단계가 더디게 올 수도 있고, 회복 및 재활의 단계와 의존적 환자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서치만의 모형은 각 요인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서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지 않다는 아쉬움 역시 있다. 이는 각 질병 단계가 건강과 불건강이라는 연속선 상에 있기 때문일 것이며 그리하더라도 각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결정요인이 있으면 이 이론이 환자의 질병과정을 설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이론을 통해서 환자들이 자신의 질병을 인지하고 병원에 오기까지의 단계에 대해 잘 알 수 있었으며 이후에 환자를 대함에 있어서도 이러한 과정을 잘 숙지하고 대한다면 치료를 적용하는 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간호학특론 (2014).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의존적 환자역할
대상자는 자신의 평소 생활습관이 위염을 가지고 왔음을 알게 되었고 의사의 말을 전적으로 수용한다.
이후 1주일간 연식을 먹으면서 위염을 완화시키는 약을 먹었더니 그 전보다 증상이 완화됨을 느꼈다.
대상자는 자신의 주치의에게 우려되는 사항에 대해 말하였고 의사는 대상자에게 약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을 일으킬 용량이 아님을 알려 안심시켰다.
이후 투약을 통해 이전보다 두통이나 시야 흐림의 증상이 완화되었음을 느꼈다.
회복과 재활
대상자는 이후 방문한 병원으로부터 위염이 나았다는 판정을 받았고 자극적이고 매운 음식을 자제할 것을 교육 받았다.
대상자는 투약을 통해 고혈압과 관련된 증상이 완화되었음을 느꼈으나 약을 임의로 중단할 경우 다시 악화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복약지시를 준수하고 있다.
대상자 2인의 질병과정을 도입해본 결과 서치만의 질병모형은 미시적, 개인적인 동기에 초점을 맞추고, 질병 단계별로 나누어 그 행동을 설정하고, 예측하였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단계 별로 각기 다른 의사결정과 행동양식을 보였으며 중간 단계에서 중단이 되거나 그 이전 단계로 내려 올 가능성이 있었다.
3. 결론
Suchman모형을 직접 적용해 본 결과 위염과 같은 급성 질환은 모형을 적용하여 설명하게 용이하였으나 고혈압과 같이 만성적이며 지속적으로 관리를 요하는 질환에 대해서는 설명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만성적인 질환의 경우에는 병의 중증도가 높은 경우에 따라 회복 및 재활 단계가 더디게 올 수도 있고, 회복 및 재활의 단계와 의존적 환자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서치만의 모형은 각 요인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서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지 않다는 아쉬움 역시 있다. 이는 각 질병 단계가 건강과 불건강이라는 연속선 상에 있기 때문일 것이며 그리하더라도 각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결정요인이 있으면 이 이론이 환자의 질병과정을 설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이론을 통해서 환자들이 자신의 질병을 인지하고 병원에 오기까지의 단계에 대해 잘 알 수 있었으며 이후에 환자를 대함에 있어서도 이러한 과정을 잘 숙지하고 대한다면 치료를 적용하는 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간호학특론 (2014).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분열병 간호과정과 질병연구
<노인간호학> 노인전문간호사 교육과정및 역할,기여도,문제점
<지역사회간호학> 우리가족 지역사회간호과정
정신간호학 간호과정
[모성간호학-환자사례 간호과정] 자궁경부 이형성증 (moderate cervical dysplasia) 케이스
[간호학] 건강, 안녕, 질병.ppt
모성간호학 실습 자궁근종 간호과정/ Leiomyoma 간호과정/ 자궁근종 case study
간호학 특론- 파슨즈(파슨스)의 환자역할
[흡수장애] 소화기관 및 소화과정과 흡수과정을 설명하고, 흡수장애의 발생기전과 소화기계 ...
[성인간호학] Chapter 11. 위장관계 간호 파트 정리 {위장관의 건강과 질병, 위장관장, 위장...
-가와사키-아동간호학 간호과정 A+자료입니다. --문헌고찰 제외 간호과정만 있습니다.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과 가족간호1. 가족이 질병에 적응하도록 돕기 2. 질병에 대한 가족교육...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과 가족간호 (1. 가족이 질병에 적응하도록 돕기 2. 질병에 대한 가족교...
[성인질병이해와 문화간호]장기이식 대상자 인터뷰 &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