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이상 근무한다고 한다. 간단한 의사 표 현은 가능하지만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고 외국인으로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통증이 있어도 병원 진료가 힘들었었다고 한다.
내원일 일 하던 중 갑자기 발생한 dyspnea 로 동료 직원과 함께 응급실 내원하였 으며 chest tube 삽입 후 pneumothorax 호전 없어 수술 권유하였으나 비용문제로 인해 며칠 더 경과 관찰 후 수술 진행여부 결정하기로 하였다.
환자 가족은 모두 중국에 거주하고 있어 간간히 직장 동료들이 면회하였으며, 그 외 시간은 침상에서 혼자 TV를 보거나 대부분 수면을 취하며 시간을 보내었다.
▶중산층, 빈곤층의 만성질환자 2명을 선정하여 각각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중산층은 권리 와 의무 모두가 본인의 의지대로 선택하고 있었고,
빈곤층은 권리, 의무 대부분이 병원이나, 환경에 의해 선택되어지고 있었다. 권리면 에서도 급성기 동안에는 중산층이든 빈곤층이든 모두 환자역할을 받아들이고 일상적인 사회역할 수행 의무로부터 일시적으로 면제 되었으나, 중산층의 경우 병이 완치될 때 까지 환자역할이 진행돼는 반면, 빈곤층은 위급한 상황만 넘기면 계속적인 치료를 필요로 한다고 해도 퇴원 하고 다시 일상 사회생활을 복귀할 수 밖에 없었다.
의무면에서는 파슨의 경우 아픈 사람은 질병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의료진에게 협조적이어야 한다는 의무를 내포하고 있다. 중산층에 속한는 김○○ 씨의 경우 질병에 대해 관심이 많고 질병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의료진에게 협조적인 모습이였으나 빈곤층인 장○씨의 경우 역시 질병으로부터 벗어나 정상으로 돌아오기를 원하나, 여러 사회지지 체계나 환경지지 체계부족으로 질병 회복에 대한 노력이 적은 모습이였다.
Ⅲ. 결론
최근 환자역할 개념에 대한 비판이 있지만 의료사회학적 측면에서 유용한 개념인 것은 분명하다. 파슨스는 질병이 일탈의 한 형태로서 환자가 정상적인 사회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파슨스는 의료의 일탈을 조정하고 사회 안정을 유지하는 한 기전으로 본다. 파슨스의 환자역할에 대한 비판이 타당한 면도 있지만, 사회문화적 차이와 다양한 개인경험에 상관없이 환자역할을 제공하였다고 보는 것은 파슨스의 사상을 너무 고정적인 것으로 간주한 결과이다. 파슨스는 환자 역할의 이상적인 형태를 제시한 것이다. 이상적인 유형이란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은 추상적이고 행위의 어떤 특별한 면만이 강조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파슨스의 모형은 유용하고 활용가치가 높다. 비록 이 이론이 모든 질병행위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 주지 못하지만 많은 일반적인 유사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르네이 C. 팍스, 조해인 역, 의료의 사회학, 도서출판 나남,1993, 자료3
곤도히소시,강신익 역, 환자와 의사의 인간학, 도서출판 장락,1995
보건연구센타 http://www.richis.org/
구미옥, 이은옥, 건강신념모델과 한국인 만성 질환자의 환자역할 행위 Health Belief Model and Sick Role Behavior of Korean Chronic ill Patients, 대한간호, 1990, 29(3) P.49-63
박정숙,한국문화에 따른 간호정립을 위한 기초조사연구Ⅰ [전통적인 인간관과 혼자역할 기대를 중심으로] A Survey for the Construction of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 Traditional View of Human and Expectation of Sick Role ,간호학회지,1996, 26(4) P.782-798
내원일 일 하던 중 갑자기 발생한 dyspnea 로 동료 직원과 함께 응급실 내원하였 으며 chest tube 삽입 후 pneumothorax 호전 없어 수술 권유하였으나 비용문제로 인해 며칠 더 경과 관찰 후 수술 진행여부 결정하기로 하였다.
환자 가족은 모두 중국에 거주하고 있어 간간히 직장 동료들이 면회하였으며, 그 외 시간은 침상에서 혼자 TV를 보거나 대부분 수면을 취하며 시간을 보내었다.
▶중산층, 빈곤층의 만성질환자 2명을 선정하여 각각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중산층은 권리 와 의무 모두가 본인의 의지대로 선택하고 있었고,
빈곤층은 권리, 의무 대부분이 병원이나, 환경에 의해 선택되어지고 있었다. 권리면 에서도 급성기 동안에는 중산층이든 빈곤층이든 모두 환자역할을 받아들이고 일상적인 사회역할 수행 의무로부터 일시적으로 면제 되었으나, 중산층의 경우 병이 완치될 때 까지 환자역할이 진행돼는 반면, 빈곤층은 위급한 상황만 넘기면 계속적인 치료를 필요로 한다고 해도 퇴원 하고 다시 일상 사회생활을 복귀할 수 밖에 없었다.
의무면에서는 파슨의 경우 아픈 사람은 질병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의료진에게 협조적이어야 한다는 의무를 내포하고 있다. 중산층에 속한는 김○○ 씨의 경우 질병에 대해 관심이 많고 질병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의료진에게 협조적인 모습이였으나 빈곤층인 장○씨의 경우 역시 질병으로부터 벗어나 정상으로 돌아오기를 원하나, 여러 사회지지 체계나 환경지지 체계부족으로 질병 회복에 대한 노력이 적은 모습이였다.
Ⅲ. 결론
최근 환자역할 개념에 대한 비판이 있지만 의료사회학적 측면에서 유용한 개념인 것은 분명하다. 파슨스는 질병이 일탈의 한 형태로서 환자가 정상적인 사회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파슨스는 의료의 일탈을 조정하고 사회 안정을 유지하는 한 기전으로 본다. 파슨스의 환자역할에 대한 비판이 타당한 면도 있지만, 사회문화적 차이와 다양한 개인경험에 상관없이 환자역할을 제공하였다고 보는 것은 파슨스의 사상을 너무 고정적인 것으로 간주한 결과이다. 파슨스는 환자 역할의 이상적인 형태를 제시한 것이다. 이상적인 유형이란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은 추상적이고 행위의 어떤 특별한 면만이 강조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파슨스의 모형은 유용하고 활용가치가 높다. 비록 이 이론이 모든 질병행위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 주지 못하지만 많은 일반적인 유사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르네이 C. 팍스, 조해인 역, 의료의 사회학, 도서출판 나남,1993, 자료3
곤도히소시,강신익 역, 환자와 의사의 인간학, 도서출판 장락,1995
보건연구센타 http://www.richis.org/
구미옥, 이은옥, 건강신념모델과 한국인 만성 질환자의 환자역할 행위 Health Belief Model and Sick Role Behavior of Korean Chronic ill Patients, 대한간호, 1990, 29(3) P.49-63
박정숙,한국문화에 따른 간호정립을 위한 기초조사연구Ⅰ [전통적인 인간관과 혼자역할 기대를 중심으로] A Survey for the Construction of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 Traditional View of Human and Expectation of Sick Role ,간호학회지,1996, 26(4) P.782-7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