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적 환자행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사회학적 환자행위

< 파슨스의 환자역할 >
1. 환자 역할의 기본개념
2. 환자역할의 주요기능
3. 환자역할에 대한 비판

< 낙인론 >
1. 낙인론의 개요
2. 낙인론과 질병행위
3. 낙인론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면제받게 된다.
< 표 > 정당성과 심각성에 따른 프라이드슨의 일탈유형
심각성의 정도
비정당성
조건적 정당성
무조건적 정당성
경미한 일탈
A (예:말더듬증)
부분적으로 일상의 의무면제되고, 새로이 부여되는 특권은 거의 없다. 새로운 의무에 대한 적응 요함.
B (예:감기)
일상의무가 부분면제되고 일시적 특권이 강화됨. 회복할 의무 있음.
C (예:곰보)
의무나 특권의 변화가 없음.
심각한 일탈
D (예:간질)
일상의 의무 면제되고 새로운 의무 부여됨. 새로운 특권은 거의 없음.
E (예:폐렴)
일상의 의무로부터 일시적으로 면제되고, 일시적 특권 부여됨. 회복의무 부과됨.
F (예:암)
대부분의 일상업무로부터 영원히 면제됨. 무제한적 특권 부여됨.
3. 낙인론에 대한 비판
프라이드슨은 파슨스의 환자역할을 사회집단의 기대에 따라 재분류함으로써 파슨스의 모형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프라이드슨의 모형에도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① 질병행위에 관한 설명으로서 질병의 본질에 대해 제한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다. 복잡한 상호작용양상의 한 요소를 선택하고 관련된 다른 요소의 중요성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② 질병과 관련된 특정한 사회적 기대들이 사회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③ 개개인이 질병에 대하여 부정적인 평가를 하게 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프라이드슨에 있어서 개인은 사회적 낙인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을 뿐 사회적 낙인에 대하여 반응하는 존재로 기술하고 있지는 않다.
참고문헌
홍여신, 김영임(1997). 간호학 특론.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추천자료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1.29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3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