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진동계측실험 TMD,TLD 결과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앙대 진동계측실험 TMD,TLD 결과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TMD 실험
2. TLD실험

본문내용

조물에 발생한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기본 거동은 비선형 이지만 일반적으로 선형 TMD 근사이론을 사용하여 해석한다. 특히, 응답의 크기에 의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실험과정
시스템의 고유진동수 측정
TLD를 설치 하기 전 물체의 고유진동수를 알기 위하여 15초동안 몇 번 진동하는지 측정하였다. 이때 기준 높이 15cm , 3cm를 잡아 당겨 실험을 진행하였다.
차수
횟수
1차
18번
2차
18번
3차
18번
즉 ,
따라서
그리고 TLD의 감쇠를 측정하기 위하여 우선 물 호수를 추가 하지 않았을 때 정지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완전히 정지하는 것을 구별하기 힘드므로 기준오차를 2mm로 하여 측정하였다.
차수
시간
1차
1분19초
2차
1분20초
3차
1분20초
평균 : 79.66(s)=
TLD에 채워넣을 물의 길이 구하기
노끈을 이용하여 34.5 cm 측정
위에서 구한 구한 을 통하여 물의 길이 L을 구하기
,
구한 L만큼 물을 채워 넣고 감쇠 측정하기
차수
시간
1차
38.8
2차
43.5
3차
41.5
평균시간 : 41.26
이므로
즉 48.2% 만큼의 감쇠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오차발생원인
이렇게 TMD, TLD를 추가함으로써 71%, 48.2%의 감쇠비를 보았지만 실험과정에서 오차가 생길 여러 가지 요인들이 존재하였다.
감쇠
각 실험에서 일정시간동안의 주기(T)보다 멈출 때까지의 주기(T_end)가 더 짧았다. 이로 인해 기구 자체의 Damping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험에 오차가 발생하였다.
마찰
TMD 실험을 할 때 수레의 바퀴가 잘 굴러가지 않음을 느꼈다. 또한 수레가 움직이면서 벽에 부딪히면서 움직임에 제한을 받았다. 따라서 바퀴에서의 마찰, 벽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하여 실험에 오차가 발생하였다.
주관성
실험을 할 때 2mm 오차 범위 내에서 멈출때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2mm 이내에 들었음을 정확히 측정이 불가능하고 사람 개인마다의 주관성이 들어가기 때문에 실험에 오차가 발생 할 수 있다.
기구의 부실
위에서도 말했듯이 수레의 바퀴는 잘 굴러가지 않았으며, 자는 곧게 뻗어있지 않고 휘어있었다. 또한 TLD에서 호스를 완벽하게 고정하기 힘들었음 등이 실험에 오차를 발생하였다.
분해능
TMD 실험을 할 때 저울의 분해능이 10g이여서 수레의 무게, 추의 무게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실험에 오차가 발생하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9.18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43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