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DOF 비감쇠 자유진동계의 해석
2. DOF 감쇠 자유진동계의 해석
3. 대수 감소율
2. DOF 감쇠 자유진동계의 해석
3. 대수 감소율
본문내용
DOF 감쇠 자유진동계의 해석
감쇠기에서 발생하는 힘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운동방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앞의 운동방정식을 풀기위해 비감쇠자유진동계의 의 해석과정을 반복해보면
이때 라플라스변환에 의하여
그러므로 x의 해는 다음과 같다.
[2] 감쇠비
감쇠비(damping ratio)
스프링 상수 k, 질량 m, 감쇠값 c일 때, 1자유도 시스템의 자유 진동의 응답은 등비급수로 감소한다. 이때 질량 m 및 스프링 상수 k에 의해 정해지는 임계 감쇠값 에대한실제감쇠값c의 비율을 감쇠비라 하며, %로 표시된다.
(damping ratio)
다음과 같은 풀이과정을 거쳐 1자유도 감쇠 자유진동계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해 보았다. 감쇠진동의 경우에는 값에 따라 거동이 다르게 나타난다.
( under damped system ) :
( critically damped system ) : →
( over damped system ) :
3. 대수 감소율
대수 감소율( logarithmic decrement )은 감쇠 자유진동의 진폭이 감소하는 빠르기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연속하는 두 진폭의 비에 자연대수를 취한 값으로 정의한다.
→
감쇠기에서 발생하는 힘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운동방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앞의 운동방정식을 풀기위해 비감쇠자유진동계의 의 해석과정을 반복해보면
이때 라플라스변환에 의하여
그러므로 x의 해는 다음과 같다.
[2] 감쇠비
감쇠비(damping ratio)
스프링 상수 k, 질량 m, 감쇠값 c일 때, 1자유도 시스템의 자유 진동의 응답은 등비급수로 감소한다. 이때 질량 m 및 스프링 상수 k에 의해 정해지는 임계 감쇠값 에대한실제감쇠값c의 비율을 감쇠비라 하며, %로 표시된다.
(damping ratio)
다음과 같은 풀이과정을 거쳐 1자유도 감쇠 자유진동계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해 보았다. 감쇠진동의 경우에는 값에 따라 거동이 다르게 나타난다.
( under damped system ) :
( critically damped system ) : →
( over damped system ) :
3. 대수 감소율
대수 감소율( logarithmic decrement )은 감쇠 자유진동의 진폭이 감소하는 빠르기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연속하는 두 진폭의 비에 자연대수를 취한 값으로 정의한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