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서론: 시대마다 달랐던 우리의 ‘비너스’
본론
1, 사회학적 관점에서의 ‘몸’ 2, ‘몸’이 주목받기 시작한 시점
3, 한국 사회에서 ‘몸’의 의미
4, 다이어트 권하는 사회
5, 타인의 몸에 대한 이해
결론: 사회란 무엇인가?
참고문헌
서론: 시대마다 달랐던 우리의 ‘비너스’
본론
1, 사회학적 관점에서의 ‘몸’ 2, ‘몸’이 주목받기 시작한 시점
3, 한국 사회에서 ‘몸’의 의미
4, 다이어트 권하는 사회
5, 타인의 몸에 대한 이해
결론: 사회란 무엇인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임론’과 ‘외모 낙인’으로 인해 사회의 다양한 차별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다른 몸’의 영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결론: 사회란 무엇인가?
“우리는 우리의 정신을 망치고, 우리에게 인스턴트식품을 먹으라고 말하며, 우리를 고지방이나 고염분에 화학적, 문화적으로 중독 시키려고 냄새와 정서로 끊임없이 유혹하는 이 문화에 짜증이 난다. 이 문화는 수십억 달러짜리 광고로 계속 좋은 소비자가 되라고 말하며 우리를 괴롭힌다." (비만과 집착의 문화인류학) FAT(팻) 340p 중에서
사회란 무엇일까? 사람들은 흔히 ‘사회’라고 하면 둘 이상이 모여 사는 것을 이르며, 사전적인 의미의 ‘society’는 구성원 개개인의 주체적인 경제활동이라는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다. 마을공동체든, 학교든, 동호인 모임이든, 혈연관계와는 무관한 사람들이 일정한 목적이나 규칙 하에 모여서 하나의 단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통 society라고 불린다.
과제를 준비하면서 내가 가지게 된 ‘사회’란 ‘서로 얽혀 있는 곳’이란 생각이 든다.
사회란 한편에서는 햄버거를 팔면서 또 한 편으로는 다이어트 약을 파는 곳이며, 3층 정신과 의사는 거식증(拒食症, anorexia)환자를 돌보고, 2층 가정의학과 의사는 비만 환자에게 체중 조절약을 처방한다. 이것은 가능한 것은 자본주의 사회가 가진 자유로움이자 다양성이자, 모순이기도 한 것 같다. 비만 환자가 대기하는 병원 로비에서 영양실조로 죽어가는 아이들을 돕기 위한 국제구호기구의 공익광고가 방송되고, 정신과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오늘도 야식으로 치킨과 피자를 주문한다.
우리가, 내가 사는 사회는 서론 돈으로 얽혀 있는 곳이다. 모든 것이 돈으로 통하고 물질로 소통한다. 이것이 비극이라는 것을 생각할 겨를도 없이 우리는 돈을 위해 살고 죽는다.
후기 산업사회의 이데올로기는 다국적기업사회 후기자본주의 컴퓨터(정보)사회 대량소비사회 등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러한 현실세계는 총체적으로 문명과 인간의 위기로 나타난다. 푸코의 논리처럼 권력은 보다 은밀하게 인간을 지배하고 생태계는 파괴되며 폭력과 광기, 대참사, 지역분쟁 등이 난무하는 소위 ‘세기말적 세계’로 포스트모던 사회는 읽혀진다.
현대사회에서 ‘비만’은 재앙으로 인식되고, 세뇌되어 우리의 인식을 지배한다. 비만은 결과이지 원인은 아니다. 비만은 기초 대사량 보다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여 생기는 몸의 현상이다. 그러나 이는 부지불식간에 타인을 차별하고 편견으로 바라보는 원인이 되어 왔다. 비만인에 대한 멸시는 사실 부당한 것이다. 소비가 미덕인 사회에서 소비를 부추기던 사회가 비만한 사람을 부당하게 취급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것을 감안하더라도, ‘비만’을 비난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다.
<참고문헌>
- Fat 팻, 비만과 집착의 문화인류학. 돈 쿨릭/앤 메넬리 엮음, 김명희 옮김. 소동. 2011
- 쓰레기, 문명의 그림자. 카트린 드 실기 지음, 이은진/조은미 옮김. 따비. 2014
- 닭고기가 식탁에 오르기까지. 김재민 지음. 시대의 창. 2014
결론: 사회란 무엇인가?
“우리는 우리의 정신을 망치고, 우리에게 인스턴트식품을 먹으라고 말하며, 우리를 고지방이나 고염분에 화학적, 문화적으로 중독 시키려고 냄새와 정서로 끊임없이 유혹하는 이 문화에 짜증이 난다. 이 문화는 수십억 달러짜리 광고로 계속 좋은 소비자가 되라고 말하며 우리를 괴롭힌다." (비만과 집착의 문화인류학) FAT(팻) 340p 중에서
사회란 무엇일까? 사람들은 흔히 ‘사회’라고 하면 둘 이상이 모여 사는 것을 이르며, 사전적인 의미의 ‘society’는 구성원 개개인의 주체적인 경제활동이라는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다. 마을공동체든, 학교든, 동호인 모임이든, 혈연관계와는 무관한 사람들이 일정한 목적이나 규칙 하에 모여서 하나의 단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통 society라고 불린다.
과제를 준비하면서 내가 가지게 된 ‘사회’란 ‘서로 얽혀 있는 곳’이란 생각이 든다.
사회란 한편에서는 햄버거를 팔면서 또 한 편으로는 다이어트 약을 파는 곳이며, 3층 정신과 의사는 거식증(拒食症, anorexia)환자를 돌보고, 2층 가정의학과 의사는 비만 환자에게 체중 조절약을 처방한다. 이것은 가능한 것은 자본주의 사회가 가진 자유로움이자 다양성이자, 모순이기도 한 것 같다. 비만 환자가 대기하는 병원 로비에서 영양실조로 죽어가는 아이들을 돕기 위한 국제구호기구의 공익광고가 방송되고, 정신과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오늘도 야식으로 치킨과 피자를 주문한다.
우리가, 내가 사는 사회는 서론 돈으로 얽혀 있는 곳이다. 모든 것이 돈으로 통하고 물질로 소통한다. 이것이 비극이라는 것을 생각할 겨를도 없이 우리는 돈을 위해 살고 죽는다.
후기 산업사회의 이데올로기는 다국적기업사회 후기자본주의 컴퓨터(정보)사회 대량소비사회 등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러한 현실세계는 총체적으로 문명과 인간의 위기로 나타난다. 푸코의 논리처럼 권력은 보다 은밀하게 인간을 지배하고 생태계는 파괴되며 폭력과 광기, 대참사, 지역분쟁 등이 난무하는 소위 ‘세기말적 세계’로 포스트모던 사회는 읽혀진다.
현대사회에서 ‘비만’은 재앙으로 인식되고, 세뇌되어 우리의 인식을 지배한다. 비만은 결과이지 원인은 아니다. 비만은 기초 대사량 보다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여 생기는 몸의 현상이다. 그러나 이는 부지불식간에 타인을 차별하고 편견으로 바라보는 원인이 되어 왔다. 비만인에 대한 멸시는 사실 부당한 것이다. 소비가 미덕인 사회에서 소비를 부추기던 사회가 비만한 사람을 부당하게 취급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것을 감안하더라도, ‘비만’을 비난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다.
<참고문헌>
- Fat 팻, 비만과 집착의 문화인류학. 돈 쿨릭/앤 메넬리 엮음, 김명희 옮김. 소동. 2011
- 쓰레기, 문명의 그림자. 카트린 드 실기 지음, 이은진/조은미 옮김. 따비. 2014
- 닭고기가 식탁에 오르기까지. 김재민 지음. 시대의 창. 2014
추천자료
[인간과심리 1공통] 이제껏 배운 심리학 이론과 관련된 최근의 사례(뉴스기사)를 찾아, 그 심...
[의사소통론] 인간과 커뮤니케이션 _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 대인간 의사소통, 인간의 계층...
[인간과사회C형] 사회학이란 무엇이고 사회학하기란 어떤 것인지를 생각하면서 2000년대에 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이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연관성을 제시하시오 : 연관성
인간과사회A형-현대한국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과 사회의모습은 어떠하며 어떤문제점이 있는...
2015년 2학기 인간과사회 중간시험과제물 A형(한국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과 사회의 모습)
인간과사회B형)각 사회마다 그구성원들 사이의 불평등을설명하고 합리화하는 방식은 어떻게다...
교재에 있는 ‘반두라 이론의 주요 개념’들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사회복지개론_인간(클라이언트)을 대상으로 인간(사회복지사)에 의한 돕는 전문직이라고 할 ...
인간과사회=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
[인간행동과사회환경]사회복지사가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하는 ...
인간과사회)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행동-인간발달-성격이론-사회체계와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사회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