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용혈성 요독증후군
2)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대장균 O157:H7)
(1) 대장균 O157:H7(Escherichia coli, E. coli)의 특징
(2) 대장균 O157:H7의 발생
(3) 대장균 O157:H7의 저항성
3) 대장균 O157:H7의 인체 감염
(1) 전 파
(2) 임상형
4) 예 방 대 책
2. 이렇게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에서 발생하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CCP를 설정하시오
1) CCP(Critical control point)
2) CCP 설정
(1) 식단 검토
(2)안전을 위해 시간·온도 관리가 필요한 식단의 공정관리
(3)검수
(4)식품취급 및 조리과정
(5)운반 및 배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용혈성 요독증후군
2)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대장균 O157:H7)
(1) 대장균 O157:H7(Escherichia coli, E. coli)의 특징
(2) 대장균 O157:H7의 발생
(3) 대장균 O157:H7의 저항성
3) 대장균 O157:H7의 인체 감염
(1) 전 파
(2) 임상형
4) 예 방 대 책
2. 이렇게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에서 발생하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CCP를 설정하시오
1) CCP(Critical control point)
2) CCP 설정
(1) 식단 검토
(2)안전을 위해 시간·온도 관리가 필요한 식단의 공정관리
(3)검수
(4)식품취급 및 조리과정
(5)운반 및 배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리완료 시점에서 배식완료까지의 소요시간을 2시간 이내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이는 열장온도의 유지를 통해 가열조리 시 사멸시킬 수 없는 식중독 유발포자의 발아와 증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식 시 위생원칙을 지켜 오염을 방지하는 목적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CCP5의 관리방안에 따른다>
운 반①배식용 운반기구(배식차, 승강기) 등에 의한 오염이 되지 않도록 배식차 등은 사용 후 바로 세척 소독하여 건조시켜야 하고, 식품운반용 승강기는 매일 1회 이상 내부를 청소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②승강기 하부에 물이 고이거나 식판 및 음식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시설 및 관리를 해야 한다.③식품운반을 하는 동안 먼지와 다른 오염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④식품운반 도중 적온이 유지되도록 보온·보냉 용기를 이용한다.⑤공동조리교에서 비조리교로 운반하는 용기는 운반 도중에 식품 오염이나 차량 내에 식품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가 밀폐되어야 한다.⑥ 급식품의 운반차량은 매일 1회 이상 내부청소를 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⑦급식품의 운반 담당자는 개인위생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배 식 ①배식대는 배식 전후에 철저히 세척과 소독을 하고, 배식에 사용하는 기구는 세척·소독을 하여 건조된 배식전용 기구를 사용하도록 한다.②식기, 수저, 컵 등은 세척과 소독 후에 별도 보관함에 보관 후 사용하고, 외부에 비치할 경우에는 별도 덮개를 사용하여 배식 전까지 보관한다.③배식 담당자는 위생복, 위생모,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도록 한다.④보온·보냉의 배식대를 준비하여 배식하는 동안 음식이 적정한 온도유지가 되도록 한다.⑤일회용 장갑 또는 청결한 도구(국자, 집게 등)를 사용하고, 절대로 맨손으로 배식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⑥배식하던 용기에 남은 음식을 새로운 배식용 음식 위에 혼합하여 배식하지 않는다. ⑦식당배식을 하는 경우 미리 상차림을 하여 식판을 쌓아두는 행위를 금한다.⑧2식·3식 급식단체에서는 남은 음식을 다음 급식에 사용하지 않는다.
Ⅲ. 결론
본론에서는 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에 대해 설명한 후에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에서 발생하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CCP를 설정하였다.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 O157:H7는 1982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 되면서 주요한 식중독 원인균으로 인식되었다. 혈성 요독증후군은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의 가장 심한 증상으로 신장이 불순물을 제대로 걸러주지 못해 독이 쌓여 발생한다.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에서 발생하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CCP를 설정하여 보았다. CCP는 HACCP 시스템을 적용하여 식품의 위해요소를 제거하거나 허용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지점, 공정 또는 절차로서 파악한 위해요소를 식품조리과정 중에 제거방지 또는 안전한 수준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는 단계ㆍ처리ㆍ공정을 말한다. 과제를 작성하면서 느낀 점은 위생관리를 지키지 못해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보면서 위반해서 벌칙을 받는다는 문제를 떠나서 모든 이용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 같이 노력해야 한다는 인식이 먼저이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오세욱 외, 재미있는 식품위생학, 수학사 (2016)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 예방 홍보 사이트(http://www.mfds.go.kr/fm/index.do)
최해연, 김학연, 윤혜려 외 2명 저, 식품위생학 및 법규, 파워북, 2017
서울 아산병원 홈페이지문창규, 박민경, 박영서 외 7명 저, 식품위생학, 보문각, 2017
운 반①배식용 운반기구(배식차, 승강기) 등에 의한 오염이 되지 않도록 배식차 등은 사용 후 바로 세척 소독하여 건조시켜야 하고, 식품운반용 승강기는 매일 1회 이상 내부를 청소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②승강기 하부에 물이 고이거나 식판 및 음식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시설 및 관리를 해야 한다.③식품운반을 하는 동안 먼지와 다른 오염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④식품운반 도중 적온이 유지되도록 보온·보냉 용기를 이용한다.⑤공동조리교에서 비조리교로 운반하는 용기는 운반 도중에 식품 오염이나 차량 내에 식품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가 밀폐되어야 한다.⑥ 급식품의 운반차량은 매일 1회 이상 내부청소를 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⑦급식품의 운반 담당자는 개인위생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배 식 ①배식대는 배식 전후에 철저히 세척과 소독을 하고, 배식에 사용하는 기구는 세척·소독을 하여 건조된 배식전용 기구를 사용하도록 한다.②식기, 수저, 컵 등은 세척과 소독 후에 별도 보관함에 보관 후 사용하고, 외부에 비치할 경우에는 별도 덮개를 사용하여 배식 전까지 보관한다.③배식 담당자는 위생복, 위생모,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도록 한다.④보온·보냉의 배식대를 준비하여 배식하는 동안 음식이 적정한 온도유지가 되도록 한다.⑤일회용 장갑 또는 청결한 도구(국자, 집게 등)를 사용하고, 절대로 맨손으로 배식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⑥배식하던 용기에 남은 음식을 새로운 배식용 음식 위에 혼합하여 배식하지 않는다. ⑦식당배식을 하는 경우 미리 상차림을 하여 식판을 쌓아두는 행위를 금한다.⑧2식·3식 급식단체에서는 남은 음식을 다음 급식에 사용하지 않는다.
Ⅲ. 결론
본론에서는 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에 대해 설명한 후에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에서 발생하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CCP를 설정하였다.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 O157:H7는 1982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 되면서 주요한 식중독 원인균으로 인식되었다. 혈성 요독증후군은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의 가장 심한 증상으로 신장이 불순물을 제대로 걸러주지 못해 독이 쌓여 발생한다.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에서 발생하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CCP를 설정하여 보았다. CCP는 HACCP 시스템을 적용하여 식품의 위해요소를 제거하거나 허용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지점, 공정 또는 절차로서 파악한 위해요소를 식품조리과정 중에 제거방지 또는 안전한 수준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는 단계ㆍ처리ㆍ공정을 말한다. 과제를 작성하면서 느낀 점은 위생관리를 지키지 못해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보면서 위반해서 벌칙을 받는다는 문제를 떠나서 모든 이용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 같이 노력해야 한다는 인식이 먼저이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오세욱 외, 재미있는 식품위생학, 수학사 (2016)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 예방 홍보 사이트(http://www.mfds.go.kr/fm/index.do)
최해연, 김학연, 윤혜려 외 2명 저, 식품위생학 및 법규, 파워북, 2017
서울 아산병원 홈페이지문창규, 박민경, 박영서 외 7명 저, 식품위생학, 보문각, 2017
추천자료
미생물의종류
광촉매 Tio2의 원리와 기능
병원성 대장균과 O157:H7 대장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식품위생학>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에 대...
2017년 2학기 식품위생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용혈성 요독증후군, 식중독 CCP 설정)
식품위생학 2017+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
식품위생학=1. 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에...
(식품위생학 공통) 1. 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
식품위생학4공통)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