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객만족경영 전략
2. 프랜차이즈 관리전략
3. 경영 효율성 전략
4. 품질경영전략
5. 마케팅 프로모션 전략
2. 프랜차이즈 관리전략
3. 경영 효율성 전략
4. 품질경영전략
5. 마케팅 프로모션 전략
본문내용
폐기하지 못하고 서로의 얼굴만 쳐다보고 있었다. 회사의 원칙은 당일판매를 원칙으로 하므로 폐기해도 된다고 말했지만 용감히 나서는 직원이 없었다.
이유인즉 이보다 못한 제품도 몇 일씩 판매를 하고 있는 현지 경쟁회사와 비교할 때 도저히 납득이 가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주재원이 직접 폐기 봉지를 가져오라 해서 폐기하는 시범을 보였다. 그 일이 있은 후로는 직원들 스스로 당일 판매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으며, 말로만 고객을 위하는 회사가 아닌 실천하는 회사로 인식하고 있다. 이후 고객들의 인식도 파리바게뜨는 당일 판매를 원칙으로 한다는 것을 잘 알게 되었고, 일부 고객들은 저녁 10시경 점포를 방문하여 ‘어차피 버릴 제품인데 할인해서 판매하면 안되냐’는 협상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물론 할인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므로 고객의 협상이 통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일들로 직원들의 자부심도 크게 높아진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2) ‘철저한 식품위생안전시스템’- 파리바게뜨가 최근 중국에서 발생한 멜라민 사태로 인한 소비자들의 오해 속에서도 신뢰를 받는 제품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은 까다로운 위생안전 점검 시스템 때문이다.
파리바게뜨에서 쓰이는 원료는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고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료는 원천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타사 대비 고가의 원료와 주요핵심 원료부분은 한국본사에서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주요 원료의 변경 및 배합비 공정 등은 본사 연구소의 인증 이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파리바게뜨의 위생안전 점검은 중국과 한국본사 두 곳 모두 철저한 심사를 거치고 있다.
5. 마케팅 프로모션 전략
(1) 스타 마케팅 전략
파리바게트는 초창기 베이커리 시장에서의 새로운 이미지 제고를 위해, 즉 브랜드 네임을 대중화할 필요성으로 김희선, 정우성, 채시라 등 당시에 가장 영향력 있던 톱 스타들을 모델로 기용해 공격적으로 파리바게트 광고 전략을 펼쳤다
(2) 다양한 기념일 프로모션
어린이날, 화이트데이, 발렌타인데이, 크리스마스 등 다양한 기념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객과 함께하는 파리바게트라는 이미지 제고에 노력, 그 결과 또 다른 광고효과와 매출 증대라는 부가적인 실효를 거두고 있다. 그리고 문화행사 지원과 다양한 업체와의 Tie-In Promotion, 그리고 매년 독특한 제품 이벤트를 펼치고 이를 광고, PR기사 등과 연계하거나 고품격 프랑스풍 최고급 베이커리임을 알리는 기술력, 제품력 중심의 PR 기사화를 통해 파리바게트라는 브랜드를 알리고 있다.
(3) 다양한 판매 프로모션 시도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및 요구변화 추세에 맞추어 "멀티숍"운영 및 점포 컨셉 변화를 통해 빵을 사가는 기존 테이크아웃(Take-out)형 대신 아늑한 카페 느낌을 주는 카페형 점포로 변화를 주고 있다.
(4)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
소비자 만족을 최대화하기 위한 차별화된 이벤트 실시, 사외보 운영, 온라인 쇼핑몰 운영, 해피포인트 카드운영 등 고객에 대한 서비스 강화를 통한 고객 만족도를 증대하는 등의 마케팅을 실시한다.
이유인즉 이보다 못한 제품도 몇 일씩 판매를 하고 있는 현지 경쟁회사와 비교할 때 도저히 납득이 가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주재원이 직접 폐기 봉지를 가져오라 해서 폐기하는 시범을 보였다. 그 일이 있은 후로는 직원들 스스로 당일 판매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으며, 말로만 고객을 위하는 회사가 아닌 실천하는 회사로 인식하고 있다. 이후 고객들의 인식도 파리바게뜨는 당일 판매를 원칙으로 한다는 것을 잘 알게 되었고, 일부 고객들은 저녁 10시경 점포를 방문하여 ‘어차피 버릴 제품인데 할인해서 판매하면 안되냐’는 협상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물론 할인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므로 고객의 협상이 통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일들로 직원들의 자부심도 크게 높아진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2) ‘철저한 식품위생안전시스템’- 파리바게뜨가 최근 중국에서 발생한 멜라민 사태로 인한 소비자들의 오해 속에서도 신뢰를 받는 제품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은 까다로운 위생안전 점검 시스템 때문이다.
파리바게뜨에서 쓰이는 원료는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고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료는 원천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타사 대비 고가의 원료와 주요핵심 원료부분은 한국본사에서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주요 원료의 변경 및 배합비 공정 등은 본사 연구소의 인증 이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파리바게뜨의 위생안전 점검은 중국과 한국본사 두 곳 모두 철저한 심사를 거치고 있다.
5. 마케팅 프로모션 전략
(1) 스타 마케팅 전략
파리바게트는 초창기 베이커리 시장에서의 새로운 이미지 제고를 위해, 즉 브랜드 네임을 대중화할 필요성으로 김희선, 정우성, 채시라 등 당시에 가장 영향력 있던 톱 스타들을 모델로 기용해 공격적으로 파리바게트 광고 전략을 펼쳤다
(2) 다양한 기념일 프로모션
어린이날, 화이트데이, 발렌타인데이, 크리스마스 등 다양한 기념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객과 함께하는 파리바게트라는 이미지 제고에 노력, 그 결과 또 다른 광고효과와 매출 증대라는 부가적인 실효를 거두고 있다. 그리고 문화행사 지원과 다양한 업체와의 Tie-In Promotion, 그리고 매년 독특한 제품 이벤트를 펼치고 이를 광고, PR기사 등과 연계하거나 고품격 프랑스풍 최고급 베이커리임을 알리는 기술력, 제품력 중심의 PR 기사화를 통해 파리바게트라는 브랜드를 알리고 있다.
(3) 다양한 판매 프로모션 시도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및 요구변화 추세에 맞추어 "멀티숍"운영 및 점포 컨셉 변화를 통해 빵을 사가는 기존 테이크아웃(Take-out)형 대신 아늑한 카페 느낌을 주는 카페형 점포로 변화를 주고 있다.
(4)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
소비자 만족을 최대화하기 위한 차별화된 이벤트 실시, 사외보 운영, 온라인 쇼핑몰 운영, 해피포인트 카드운영 등 고객에 대한 서비스 강화를 통한 고객 만족도를 증대하는 등의 마케팅을 실시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