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중국 동북지역 조선인 이주의 역사와 활동
1. 1860 - 1905年 : 강을 건너 미개척지로 (을사늑약 이전)
2. 간도문제
3. 1905 - 1931年 : 자유이민시기
4. 1931 - 1945年 : 강제집단이민시기
Ⅱ. 해방 이후 중국 내 조선족의 발자취
1. 중국 동북지역의 항일운동
2. 중화인민공화국의 건설과 조선족
3. 개혁개방과 한중수교 이후의 조선족
-참고문헌
1. 1860 - 1905年 : 강을 건너 미개척지로 (을사늑약 이전)
2. 간도문제
3. 1905 - 1931年 : 자유이민시기
4. 1931 - 1945年 : 강제집단이민시기
Ⅱ. 해방 이후 중국 내 조선족의 발자취
1. 중국 동북지역의 항일운동
2. 중화인민공화국의 건설과 조선족
3. 개혁개방과 한중수교 이후의 조선족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이 정책들은 또 다른 많은 문제들을 만들어냈다. 이후 이명박 정부는 전 정부의 포용정책을 대폭 손질(2008년10월15일부터 실행), 강경한 정책을 발표하여 조선족의 한국 취업을 어렵게 만들었다. 하지만 현 정부의 재중동포 정책은, 17년이 넘게 한국에서 살아왔거나 이미 한국에 자리 잡아 중국으로 돌아간다 해도 아무런 생활기반이 없는 조선족을 명확한 대안책 없이 강제로 추방한다는 정책이나 마찬가지이다. 이런 정책은 조선족의 한국에 대한 불신을 낳게 되고 결국,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은 아무것도 없다. 정책을 발표하기 이전에 정부는 적어도 조선족자치주 내에 조선족이 자립할 수 있도록 한국의 기업을 진출하게 하거나 하여 일자리를 보장해 주었어야 했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못했기에 이에 대해 한국 내 많은 조선족은 이명박 정부의 정책에 반발하고 있다.
왜 불법체류인가?
서울조선족 교회 조사 결과 불법체류자들의 70%정도가 합법적인 신고 자체가 어렵다고 응답했고 그 이유는 대부분 산재보험 등 부담 때문에 고용주가 협조해 주지 않거나 일용직은 신고 대상에 포함시켜주지 않는 등 제도적 문제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처럼 많은 제도적인 문제 때문에 조선족은 한국에서 취업하기 위해서 법을 어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 조선족의 불법행위를 그들만의 잘못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제도적인 부분을 보완하여 그들이 합법적으로 한국에서 체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서울조선족교회 서경석 담임목사는 중국 동포들의 영주권을 주장하는데, 영주권을 부여하게 되면 많은 조선족이 한국으로 빠져 나올 것이고, 그 결과 조선족 자치주는 또다시 위기를 맞게 될 것이므로 영주권을 부여하는 것 보다 조선족 자치주 내에 지원을 하여 그들이 한국에 오지 않아도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조선족 정책 방향
그렇다면 조선족 정책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 답은 민족주의 관점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조선족은 한국에 오기 이전에 한국을 ‘한민족’, ‘동포’로 생각했지만 한국에 와 생활하며 한국인들에게 무시와 억압을 받으면서 이러한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느꼈다고 한다. 지금 조선족사회에는 그들의 정체성을 북한도 한국(남한)도 아닌 조선족 자체로서 인식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그들에게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다가간다면 오히려 한국을 ‘필요할때만 민족주의를 내새우며 조선족을 찾는’ 나라로 인식할 것이다. 황유복 중국 국제중앙민족대학 교수는 “중국 조선족 사회는 이미 민족교육체계의 붕괴, 문화영토의 상실, 출산인구의 기하급수적 감소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어 현 정부의 조선족 정책으로는 조선족들에게 한민족이라는 마음을 심어주기엔 어려워 조선족들을 우리 동포로 지켜낼 수 없다”며 “한국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소외된 조선족들의 지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며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해결하려는 경향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조선족이나 중국 모두에게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한다.
또한 조선족은 엄연히 중국국적을 가진 자들이다. 따라서 중국의 정책 상황도 잘 알아야 한다. 중국은 50여개의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소수민족의 분열 가능성을 배제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정책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민족주의 적인 관점에서 다가간다면 소수민족들의 분열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하는 국가로서 인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조선족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중국의 정책을 이해한 상태에서 한국의 조선족 정책방향을 결정해야할 것이다.
또한 조선족자치주는 동북아 중계 무역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위치로써 경제적으로도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 조선족 자치주가 위기상황에 있으며 UNDP(국제 연합 개발 계획) 주관하의 두만강개발계획에서 볼 수 있듯, 중국 정부는 사실상 주 대상인 조선족과는 별개로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한때 선진적이었던 조선족자치주가 지금의 중국의 변방 지역 뒤쳐져 있는 상태가 되어 조선족자치주는 자주적 정책을 제대로 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조선족자치주에 민족주의 차원에서가 아닌 함께 발전해 나가자는 의미로 지원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조선족 자치주가 다시 일어설 수 있게 되고 조선족의 중국 내 위치가 높아지게 되어 조선족 자치주를 한국과 중국의 연결 통로로 만들 수 있어 조선족은 물론 한국과 중국에도 모두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이처럼 단기적으로 중국 동포를 강제로 쫓아내는 정책이 아닌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차원에서 중국 동포(조선족)에 대한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임계순, 「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현암사, 2003
강석화,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경세원, 2002
채영국 외 5인, 「연변 조선족 사회의 과거와 현재」, 고구려연구재단, 2006
이윤기, 「잊혀진 땅, 간도와 연해주」, 화산문화, 2005
「중국 조선족 역사-문화 산책」, 연변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2002
「조선족 역사의 새 탐구 - 下」, 천수산, 2005
주성화, 「중국 조선인 이주사」, 한국학술정보, 2007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 조선로동당출판사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을유문화사, 2000
강만길, 「조선민족혁명당의 통일전선」
염인호, 「김원봉 연구」, 창작과비평사, 1993
김중생, 「조선의용군의 밀입국과 6·25전쟁」
< 미디어자료>
동아일보 - 1927년 4월 27일자
http://cafe.daum.net/falsechina/QYez/10?docid=1FH3j|QYez|10|20080906122141&q=%C1%B6%BC%B1%C1%B7%C1%A4%C3%A5&srchid=CCB1FH3j|QYez|10|20080906122141
YTN(2003년 10월 12일) - 합법체류 길 열어달라
동북아신문 - 시험대에 오른 이명박 정부의 조선족 정책
한국 미디어(2008년 7월 4일) - 2008, 재외동포정책 세미나/조선족 포용정책 필요
연합뉴스(2008년 10월 12일) - 정부, 해외동포 방문취업제 대폭 손질
뉴시스(2008년 10월 20일) - 조선족 中 동포, 취업 목적 모국 방문 ‘좁은 문’
왜 불법체류인가?
서울조선족 교회 조사 결과 불법체류자들의 70%정도가 합법적인 신고 자체가 어렵다고 응답했고 그 이유는 대부분 산재보험 등 부담 때문에 고용주가 협조해 주지 않거나 일용직은 신고 대상에 포함시켜주지 않는 등 제도적 문제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처럼 많은 제도적인 문제 때문에 조선족은 한국에서 취업하기 위해서 법을 어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 조선족의 불법행위를 그들만의 잘못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제도적인 부분을 보완하여 그들이 합법적으로 한국에서 체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서울조선족교회 서경석 담임목사는 중국 동포들의 영주권을 주장하는데, 영주권을 부여하게 되면 많은 조선족이 한국으로 빠져 나올 것이고, 그 결과 조선족 자치주는 또다시 위기를 맞게 될 것이므로 영주권을 부여하는 것 보다 조선족 자치주 내에 지원을 하여 그들이 한국에 오지 않아도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조선족 정책 방향
그렇다면 조선족 정책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 답은 민족주의 관점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조선족은 한국에 오기 이전에 한국을 ‘한민족’, ‘동포’로 생각했지만 한국에 와 생활하며 한국인들에게 무시와 억압을 받으면서 이러한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느꼈다고 한다. 지금 조선족사회에는 그들의 정체성을 북한도 한국(남한)도 아닌 조선족 자체로서 인식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그들에게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다가간다면 오히려 한국을 ‘필요할때만 민족주의를 내새우며 조선족을 찾는’ 나라로 인식할 것이다. 황유복 중국 국제중앙민족대학 교수는 “중국 조선족 사회는 이미 민족교육체계의 붕괴, 문화영토의 상실, 출산인구의 기하급수적 감소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어 현 정부의 조선족 정책으로는 조선족들에게 한민족이라는 마음을 심어주기엔 어려워 조선족들을 우리 동포로 지켜낼 수 없다”며 “한국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소외된 조선족들의 지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며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해결하려는 경향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조선족이나 중국 모두에게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한다.
또한 조선족은 엄연히 중국국적을 가진 자들이다. 따라서 중국의 정책 상황도 잘 알아야 한다. 중국은 50여개의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소수민족의 분열 가능성을 배제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정책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민족주의 적인 관점에서 다가간다면 소수민족들의 분열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하는 국가로서 인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조선족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중국의 정책을 이해한 상태에서 한국의 조선족 정책방향을 결정해야할 것이다.
또한 조선족자치주는 동북아 중계 무역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위치로써 경제적으로도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 조선족 자치주가 위기상황에 있으며 UNDP(국제 연합 개발 계획) 주관하의 두만강개발계획에서 볼 수 있듯, 중국 정부는 사실상 주 대상인 조선족과는 별개로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한때 선진적이었던 조선족자치주가 지금의 중국의 변방 지역 뒤쳐져 있는 상태가 되어 조선족자치주는 자주적 정책을 제대로 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조선족자치주에 민족주의 차원에서가 아닌 함께 발전해 나가자는 의미로 지원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조선족 자치주가 다시 일어설 수 있게 되고 조선족의 중국 내 위치가 높아지게 되어 조선족 자치주를 한국과 중국의 연결 통로로 만들 수 있어 조선족은 물론 한국과 중국에도 모두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이처럼 단기적으로 중국 동포를 강제로 쫓아내는 정책이 아닌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차원에서 중국 동포(조선족)에 대한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임계순, 「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현암사, 2003
강석화,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경세원, 2002
채영국 외 5인, 「연변 조선족 사회의 과거와 현재」, 고구려연구재단, 2006
이윤기, 「잊혀진 땅, 간도와 연해주」, 화산문화, 2005
「중국 조선족 역사-문화 산책」, 연변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2002
「조선족 역사의 새 탐구 - 下」, 천수산, 2005
주성화, 「중국 조선인 이주사」, 한국학술정보, 2007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 조선로동당출판사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을유문화사, 2000
강만길, 「조선민족혁명당의 통일전선」
염인호, 「김원봉 연구」, 창작과비평사, 1993
김중생, 「조선의용군의 밀입국과 6·25전쟁」
< 미디어자료>
동아일보 - 1927년 4월 27일자
http://cafe.daum.net/falsechina/QYez/10?docid=1FH3j|QYez|10|20080906122141&q=%C1%B6%BC%B1%C1%B7%C1%A4%C3%A5&srchid=CCB1FH3j|QYez|10|20080906122141
YTN(2003년 10월 12일) - 합법체류 길 열어달라
동북아신문 - 시험대에 오른 이명박 정부의 조선족 정책
한국 미디어(2008년 7월 4일) - 2008, 재외동포정책 세미나/조선족 포용정책 필요
연합뉴스(2008년 10월 12일) - 정부, 해외동포 방문취업제 대폭 손질
뉴시스(2008년 10월 20일) - 조선족 中 동포, 취업 목적 모국 방문 ‘좁은 문’
추천자료
사관이란 무엇인가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 - 조선족을 중심으로>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중국의 복지) 중국의 단위체제 변화의 배경과 결과 및 중국사회의 복지전망
일본인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일본인이란무엇인가를 읽고
중국 영화 인생과 중국의 현대사
[중국문화][중국][중국전통문화][사대부문화][세속문화][청동기문화][주거문화][성문화]중국...
[중국진출]한국기업의 중국진출 현황과 애로사항,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성공과 실패요인, 한...
중국의 소수민족(중국소수민족) 현황과 중국의 소수민족(중국소수민족) 정책 및 중국의 소수...
[중국관][템플 중국관][이익 중국관][신숙주 중국관][워튼 중국관][템플][이익][신숙주][워튼...
[중국불교, 중국불교와 불교전래, 중국불교와 선재동자, 중국불교와 선종, 중국불교와 당왕조...
한중문화교류(한국과 중국 문화교류)와 교류현황, 한중문화교류(한국과 중국 문화교류)와 시...
우리에게 민족이란 무엇인가 (식민지시기 민족해방운동의 전개와 성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