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좌우될 수 있다. 복합적이고 개별화된 서비스에 대해서만 활용한다. 중재가 길어질 경우 요약기록방법이 유용하므로 사례노트를 활용하여 시간에 따라 기록하는 것도 필요하다.
(5) 문제중심기록
현재 문제를 규정하여 목록화한 후 각 문제에 대해 무엇을 할 것인지를 계획하고 그 진행사항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문서화와 정보교환에 유용하기 때문에 타 전문직과의 의사소통을 촉진 하며, 여러 분야 간의 업무협조에 효과적이다.
목록화 된 각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서비스하기 때문에 책임성이 향상된다. "대상자의 문제를 강조함으로써 전문가의 관심의 폭을 한정할 수도 있다. "초점을 극대화하여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간결한 정보의 서술이기에 때로는 기계적 기록이 될 수도 있다.
기록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 S(Subject information: 주관적 정보) 대상자가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문제에 대한 정보로서 대상자가 자신의 문제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느끼는지를 나타낸다.
- 0(Object information : 객관적 정보) 전문가의 직접적 관찰 임싱적 실험 체계적인 자료수집 등에서 얻는 사실적 자료에 근거한 정보이다.
- A(Assessment : 사정) 주관적 정보 및 객관적 정보에 근거한 사정과 분석을 말한다. 주관적 정보 객관적 정보 사정을 기반으로 전문가가 특정한
- P(Plan : 계획) 문제를 제기하거나 해결하는 빙법, 개입계획을 기술한다
4) 일지작성 시 고려사항
(1) 책무성
기록을 통해 서비스 종사자의 활동과 효과를 입증할 수 있도록 서비스 중 심의 기록을 해야 한다. 기록 안에 대상자의 상태, 서비스의 과정, 진행정보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2) 효율성
서비스의 초점을 분명하고 간결하게 기록하여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구조화 문서화되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작성하도록 한다.
(3) 사생활 보호
기록에 있어서 서비스 대상자의 비밀보장은 매우 중요하므로 기록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한다. 기록 시 대상자의 동의를 구하도록 하며, 이를 보여달라고 요청하면 보여주어야 한다.
(4) 시간성
서비스 중심적인 기록은 서비스의 진행과정에 따라 즉시 문서화하여 기록 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확보하도록 한다.
(5) 객관적 사실
기록은 객관적 사실을 토대로 하여야 하며, 주관적 생각과 추측 등은 기록 하지 않도록 한다. 상황의 묘사에 있어서도 서비스 종사자의 생각은 분리되어야 한다.
(5) 문제중심기록
현재 문제를 규정하여 목록화한 후 각 문제에 대해 무엇을 할 것인지를 계획하고 그 진행사항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문서화와 정보교환에 유용하기 때문에 타 전문직과의 의사소통을 촉진 하며, 여러 분야 간의 업무협조에 효과적이다.
목록화 된 각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서비스하기 때문에 책임성이 향상된다. "대상자의 문제를 강조함으로써 전문가의 관심의 폭을 한정할 수도 있다. "초점을 극대화하여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간결한 정보의 서술이기에 때로는 기계적 기록이 될 수도 있다.
기록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 S(Subject information: 주관적 정보) 대상자가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문제에 대한 정보로서 대상자가 자신의 문제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느끼는지를 나타낸다.
- 0(Object information : 객관적 정보) 전문가의 직접적 관찰 임싱적 실험 체계적인 자료수집 등에서 얻는 사실적 자료에 근거한 정보이다.
- A(Assessment : 사정) 주관적 정보 및 객관적 정보에 근거한 사정과 분석을 말한다. 주관적 정보 객관적 정보 사정을 기반으로 전문가가 특정한
- P(Plan : 계획) 문제를 제기하거나 해결하는 빙법, 개입계획을 기술한다
4) 일지작성 시 고려사항
(1) 책무성
기록을 통해 서비스 종사자의 활동과 효과를 입증할 수 있도록 서비스 중 심의 기록을 해야 한다. 기록 안에 대상자의 상태, 서비스의 과정, 진행정보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2) 효율성
서비스의 초점을 분명하고 간결하게 기록하여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구조화 문서화되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작성하도록 한다.
(3) 사생활 보호
기록에 있어서 서비스 대상자의 비밀보장은 매우 중요하므로 기록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한다. 기록 시 대상자의 동의를 구하도록 하며, 이를 보여달라고 요청하면 보여주어야 한다.
(4) 시간성
서비스 중심적인 기록은 서비스의 진행과정에 따라 즉시 문서화하여 기록 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확보하도록 한다.
(5) 객관적 사실
기록은 객관적 사실을 토대로 하여야 하며, 주관적 생각과 추측 등은 기록 하지 않도록 한다. 상황의 묘사에 있어서도 서비스 종사자의 생각은 분리되어야 한다.
추천자료
케어복지 개론
케어복지사 1급예상문제
케어복지의 개념과 구조
식사,배설, 목욕케어 및 장애인 케어방법등
사별케어 - 충격과 무감각, 그리워하고 찾는 상태, 혼란한 상태. 새출발
[호스피스케어] 호스피스 케어의 개념정의, 유래, 철학, 목적, 호스피스 대상자 및 팀의 구성...
[케어복지] 케어복지의 실천과정
[케어복지] 케어복지의 대상
[케어매니지먼트] 케어매니지먼트의 개념, 목적, 구성, 기능, 과정
[케어서비스실천] 케어서비스의 실천관계와 실천과정, 방법, 장소
케어복지정책의 동향과 전망
케어 매니저란
케어매니지먼트(사례관리)의 개념
케어매니지먼트(사례관리)의 목적과 구성요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