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리학의 연구방법
I. 과학적 방법의 일반적 특징
II. 심리학의 연구방법
1. 실험법
2. 체계적 관찰 및 상관연구법
3. 임상법과 사례연구법
4. 심리학에서의 동물실험
III. 심리학에서의 측정
1. 측정의 종류
2. 자료와 통계
* 참고문헌
I. 과학적 방법의 일반적 특징
II. 심리학의 연구방법
1. 실험법
2. 체계적 관찰 및 상관연구법
3. 임상법과 사례연구법
4. 심리학에서의 동물실험
III. 심리학에서의 측정
1. 측정의 종류
2. 자료와 통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절대영점을 가지고 있지만 등간척도에서는 상대영점밖에 없다는 점이다.
2) 자료와 통계
심리학에서 다루어지는 자료는 대부분 측정에서 얻어진 것이지만 그렇지 않은 자료도 있다. 예를 들어, 남자 몇 명, 여자 몇 명하는 식의 자료는 남녀의 유무에 따라 사람을 분류하고 이에 속하는 사람의 수를 세어 얻은 수로 구성된다. 이런 자료는 계수(counting)에서 얻은 것으로 자료자체는 빈도(frequen)의 형태를 취한다.
통계적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기술통계이고 다른 하나는 추리통계이다.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란 수집한 수치들의 분포를 기술하는데 쓰이는 통계들을 말한다. 한 학급에서의 지능점수가 측정치라면 이 수치들을 크기에 따라 배열하고 분류하여 일정한 분포를 얻는다. 대개 그런 분포는 엎어 놓은 종 모양(정상분포곡선)으로 보인다. 즉, 아주 높은 지능점수를 얻은 사람과 아주 낮은 점수를 얻은 사람들은 드물고 중간점수를 얻은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이런 분포가 어느 점수에 몰려있는지를 알기 위해 평균치(mean), 중앙치(median) 등의 통계치를 계산하며 또 분포가 얼마나 넓게 분산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나 변량(variance)과 같은 통계치를 산출하기도 한다.
기술통계에서 또 다른 중요한 통계치는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인데, 이것은 사람마다 두 변인(예 : IQ와 학업성적)의 측정치를 내어 이 두 수치를 X축과 Y축에 점을 찍어 생기는 점들의 분포가 얼마나 일직선을 이루는지, 아니면 퍼져 있는지를 알아보는 수치이다.
추리통계(inferential statistics)에서는 관찰한 소수의 자료, 즉 표집(sampling)에서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하여 그 표집이 속해 있는 전체에 대해 결론을 내리는 통계적 방법을 다룬다. 관찰한 소수 학생의 지능점수가 표집이고 이 표집에서 알고자 하는 전교생의 지능점수의 모임을 전집(population)이라 한다. 한편 추리통계에서는 유의도 검증을 한다. 유의도 검증이란 두 집단의 평균의 차이가 실제적인 차이인지 아니면 우연히 발생한 차이인지를 확률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만일 연구에서 얻은 평균의 차이가 실제 전집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을 때, 그러한 결론이 사실이 아닐 확률이 100번 중 5보다 작다면(즉, P < 0.05),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라고 결론을 내리게 된다.
유의도 검증은 평균의 차이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모든 통계치에 대해 쓸 수 있다. 예컨대, N=20인 표집에서 I.Q와 학업성적간의 상관계수가 r=0.25라고 할 때, 이것이 우연히 생긴 상관계수인지 또는 진정으로 I.Q와 학업성적 간에 있어서 생긴 것인지를 아는데도 유의도 검증이 사용된다. 만일 얻은 상관계수가 우연히 생길 확률이 100번 중 5보다도 크다면(즉, P > 0.05),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관관계가 없다고 결론을 내리게 된다. 추리통계는 이런 결론을 내리는데 합리적인 기준을 제공해 준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2) 자료와 통계
심리학에서 다루어지는 자료는 대부분 측정에서 얻어진 것이지만 그렇지 않은 자료도 있다. 예를 들어, 남자 몇 명, 여자 몇 명하는 식의 자료는 남녀의 유무에 따라 사람을 분류하고 이에 속하는 사람의 수를 세어 얻은 수로 구성된다. 이런 자료는 계수(counting)에서 얻은 것으로 자료자체는 빈도(frequen)의 형태를 취한다.
통계적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기술통계이고 다른 하나는 추리통계이다.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란 수집한 수치들의 분포를 기술하는데 쓰이는 통계들을 말한다. 한 학급에서의 지능점수가 측정치라면 이 수치들을 크기에 따라 배열하고 분류하여 일정한 분포를 얻는다. 대개 그런 분포는 엎어 놓은 종 모양(정상분포곡선)으로 보인다. 즉, 아주 높은 지능점수를 얻은 사람과 아주 낮은 점수를 얻은 사람들은 드물고 중간점수를 얻은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이런 분포가 어느 점수에 몰려있는지를 알기 위해 평균치(mean), 중앙치(median) 등의 통계치를 계산하며 또 분포가 얼마나 넓게 분산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나 변량(variance)과 같은 통계치를 산출하기도 한다.
기술통계에서 또 다른 중요한 통계치는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인데, 이것은 사람마다 두 변인(예 : IQ와 학업성적)의 측정치를 내어 이 두 수치를 X축과 Y축에 점을 찍어 생기는 점들의 분포가 얼마나 일직선을 이루는지, 아니면 퍼져 있는지를 알아보는 수치이다.
추리통계(inferential statistics)에서는 관찰한 소수의 자료, 즉 표집(sampling)에서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하여 그 표집이 속해 있는 전체에 대해 결론을 내리는 통계적 방법을 다룬다. 관찰한 소수 학생의 지능점수가 표집이고 이 표집에서 알고자 하는 전교생의 지능점수의 모임을 전집(population)이라 한다. 한편 추리통계에서는 유의도 검증을 한다. 유의도 검증이란 두 집단의 평균의 차이가 실제적인 차이인지 아니면 우연히 발생한 차이인지를 확률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만일 연구에서 얻은 평균의 차이가 실제 전집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을 때, 그러한 결론이 사실이 아닐 확률이 100번 중 5보다 작다면(즉, P < 0.05),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라고 결론을 내리게 된다.
유의도 검증은 평균의 차이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모든 통계치에 대해 쓸 수 있다. 예컨대, N=20인 표집에서 I.Q와 학업성적간의 상관계수가 r=0.25라고 할 때, 이것이 우연히 생긴 상관계수인지 또는 진정으로 I.Q와 학업성적 간에 있어서 생긴 것인지를 아는데도 유의도 검증이 사용된다. 만일 얻은 상관계수가 우연히 생길 확률이 100번 중 5보다도 크다면(즉, P > 0.05),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관관계가 없다고 결론을 내리게 된다. 추리통계는 이런 결론을 내리는데 합리적인 기준을 제공해 준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국문학과 연구방법에 대한 사색☆
발달심리의 연구방법
심리학과 삶, 연구방법(1,2장) 요약자료 (심리학과 삶-시그마프레스)
연역적 연구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라 - 연역적 연구방법, 귀납적 연구방법 상호관계
[노화, 노화 의미, 노화 원인, 노화 현상, 노화 연구방법, 노화 측정방법, 사실인지척도]노화...
교장 공모 과정에 관한 미시정치적 분석,분석의틀,미시정치적 관점,이익집단들,권력,전략,연...
질적연구방법의 의의와 필요성
아동발달의 연구방법(아동발달연구의 목적, 과학적 연구의 과정과 요소, 아동발달연구의 접근법)
아동발달 연구방법(아동발달 연구의 관찰법, 자기보고식 연구, 사례연구, 문화기술적 연구, ...
아동발달 연구방법(아동발달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아동발달 연구설계방법, 자료수집방법, 아...
아동발달의 연구방법(횡단적 연구와 종단적 연구, 격리법과 쌍생아 통제법, 실태조사연구법, ...
과제명 기존의 연구논문들 중에 본인이 관심있는 분야의 논문한편을 선택하여 그 논문의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