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영아기 운동발달
1. 조작기능의 발달
2. 이행운동의 발달
II. 감각과 지각의 발달
1. 시각의 발달
1) 색지각
2) 형태지각
3) 깊이지각(공간지각)
2. 청각의 발달
3. 후각의 발달
4. 미각의 발달
5. 촉각의 발달
* 참고문헌
1. 조작기능의 발달
2. 이행운동의 발달
II. 감각과 지각의 발달
1. 시각의 발달
1) 색지각
2) 형태지각
3) 깊이지각(공간지각)
2. 청각의 발달
3. 후각의 발달
4. 미각의 발달
5. 촉각의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또한 이 시기에는 현존하는 언어에서 사용되는 모든 음소의 변별이 가능해지면서 생후 1년 정도가 되면 모국어의 음소만 구별할 수 있게 되고, 청감각의 성숙과 함께 언어가 발달하기 시작한다(Werker & Tees, 1984).
3) 후각의 발달
Crook(1987)은 여러 가지 냄새를 묻힌 거즈를 영아의 코에 대고 그들의 얼굴표정과 신체의 움직임으로 이들의 후각반응을 연구한 결과, 바나나 딸기와 같은 과일냄새에는 기분 좋은 표정과 함께 몸이 움직이지 않았으나, 생선냄새는 약간 싫어하고 얼굴을 조금 찌푸렸으며, 씩은 계란냄새에는 고개를 돌리거나 얼굴을 찡그리는 반응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아기는 출생 시부터 엄마의 젖 냄새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양한 냄새를 식별할 수 있는 후각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성장하면서 더욱 더 민감하게 된다.
4) 미각의 발달
출생 시에도 가능하며, 신생아기 때부터는 거의 완전하게 구별 가능했던 미각은 2-3개월이 되면서부터는 특정한 맛에 대한 기호현상과 함께 거부현상도 나타나게 된다. 또한 4-5개월이 되면 영아는 이유식 준비를 하기 시작하면서 신생아기 때 싫어했던 찬 맛을 좋아 하게 된다(Harries, Thomas 次 Boo 1990). 미각은 영아기 말기에 가장 예민해지고, 음식에 대한 기호도 급격하게 발달하면서 특정음식이나 새로운 음식을 잘 안 먹으려고 한다(Berger, 1991).
5) 촉각의 발달
영아기의 촉각은 주위의 사물을 탐지할 수 있는 주요한 수단으로 인지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생후 6개월경이 되면 영아는 주변의 사람과 사물에 관심을 나타내기 시작하면서 초기에는 입술을 사용하고, 나중에는 손을 사용해서 사물을 탐색하는 동시에, 환경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Piaget, 1960). 생후 1년이 되면 영아는 손의 촉감만으로도 익숙한 물체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온도감각이 발달하면서 주위온도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체온에 비해 높은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 더 민감해서 온도가 낮은 방안에서 옷을 갈아입히는 경우 매우 불편해 하거나 몸을 많이 움직이게 된다(Humphrey, 1978).
또한 촉각은 영아가 주변사람들과의 관계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아를 안아 주거나 쓰다듬어 주면 좋아 하면서 우는 것을 멈추기도 하고, 또는 부드럽게 두드려 주면 영아가 안정되면서 잠이 들기도 한다. 이러한 촉각의 경험은 초기인간관계의 신뢰감 발달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조복희, 2000).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3) 후각의 발달
Crook(1987)은 여러 가지 냄새를 묻힌 거즈를 영아의 코에 대고 그들의 얼굴표정과 신체의 움직임으로 이들의 후각반응을 연구한 결과, 바나나 딸기와 같은 과일냄새에는 기분 좋은 표정과 함께 몸이 움직이지 않았으나, 생선냄새는 약간 싫어하고 얼굴을 조금 찌푸렸으며, 씩은 계란냄새에는 고개를 돌리거나 얼굴을 찡그리는 반응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아기는 출생 시부터 엄마의 젖 냄새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양한 냄새를 식별할 수 있는 후각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성장하면서 더욱 더 민감하게 된다.
4) 미각의 발달
출생 시에도 가능하며, 신생아기 때부터는 거의 완전하게 구별 가능했던 미각은 2-3개월이 되면서부터는 특정한 맛에 대한 기호현상과 함께 거부현상도 나타나게 된다. 또한 4-5개월이 되면 영아는 이유식 준비를 하기 시작하면서 신생아기 때 싫어했던 찬 맛을 좋아 하게 된다(Harries, Thomas 次 Boo 1990). 미각은 영아기 말기에 가장 예민해지고, 음식에 대한 기호도 급격하게 발달하면서 특정음식이나 새로운 음식을 잘 안 먹으려고 한다(Berger, 1991).
5) 촉각의 발달
영아기의 촉각은 주위의 사물을 탐지할 수 있는 주요한 수단으로 인지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생후 6개월경이 되면 영아는 주변의 사람과 사물에 관심을 나타내기 시작하면서 초기에는 입술을 사용하고, 나중에는 손을 사용해서 사물을 탐색하는 동시에, 환경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Piaget, 1960). 생후 1년이 되면 영아는 손의 촉감만으로도 익숙한 물체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온도감각이 발달하면서 주위온도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체온에 비해 높은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 더 민감해서 온도가 낮은 방안에서 옷을 갈아입히는 경우 매우 불편해 하거나 몸을 많이 움직이게 된다(Humphrey, 1978).
또한 촉각은 영아가 주변사람들과의 관계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아를 안아 주거나 쓰다듬어 주면 좋아 하면서 우는 것을 멈추기도 하고, 또는 부드럽게 두드려 주면 영아가 안정되면서 잠이 들기도 한다. 이러한 촉각의 경험은 초기인간관계의 신뢰감 발달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조복희, 2000).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인간의발달과성격발달
인간발달의 4단계
인간발달에 따른 정신건강
인간발달의 과정 및 삐아제의 인지발달 요점정리
인간행동발달에 관해서 학자들의 상이한 이론과 관점들은 무엇이며, 이러한 이론들은 인간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에릭슨의 인간발달단계
인간발달에 있어서 지능이란 어떤 의미를 갖는가와 지능이 다른 발달적 요소보다 더 중요성을...
성인 중기 : 방통대인간발달, 방송대인간발달, 성인 중기, 부부관계 , 성인자녀관계, 100세...
정신건강, 공통) 인간발달 각 단계(태아기~노년기)의 발달적 특성과 그 시기에 나타날 수 있...
[에릭슨의 발달이론] 인간발달과 목회적 돌봄
인간발달에서 유전의 영향력과 환경의 영향력에 대해 각각 실제 사례들을 제시하고 어느 영역...
아동발달요인(인간발달의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