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으로 알아보는 70년대 여성노동 운동 - 그녀들의 자화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건으로 알아보는 70년대 여성노동 운동 - 그녀들의 자화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건으로 알아보는 70년대 여성노동 운동
2. 70년대 노동운동의 특징
3. 전국여성노동조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업과 사회전반적인 차별은 여성노동조합을 출범하게 한 대표적인 이유이다. 현재까지도 제기되고 있는 여성들의 경제, 정치활동을 통 털어 사회 활동에서의 불이익과 차별은 우리가 고쳐나가야 할 악습이다. 여성의 육아 문제와 성희롱 문제들은 사회적 이슈로 떠올라 많은 개선과 개선의 노력이 엿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단순한 사회적인 관심만이 아닌 좀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법적 조치를 위해서는 여성노동조합의 활발한 활동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현재 전국여성노동조합은 상급단체에 가입하고 있지 않으며, 활동 속에서 연대하고 있다. 노동법 적용에서 제외되어 있는 여성노동자에게 법적용을 확대하기 위한 법적 투쟁은 여성연대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조합원들의 일상적인 권익 투쟁은 지역차원에서 민주노총과의 연대를 통해 함께 진행하고 있다. 여성노동조합의 결성은 여성 노동자 현실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전국여성노동조합은 ‘나도 조합원이다’라는 생각만 해도 가슴이 벅차오른다는 50대 아주머니의 삶의 무게, 1년에 평균 23일의 휴가(법적 휴가는 34일이 가능하다)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여성노동자의 소박한 꿈, 차별 없는 근무 환경에서 능력껏 일하고 싶다는 당연한 희망을 모아나갈 것이다. 여성 노동조합을 통한 여성노동자의 조직화, 세력화는 나아가 양성평등적 사회발전을 만들어 갈 것이며, 현재의 조합운동이 여성노동자에게 참여의 기회를 확대하고 성평등적 활동방식을 채택하도록 하는 진보적인 역할을 맡아나갈 것이다.
Ⅲ. 결론
70년대 여성노동운동은 위에서 말한바와 마찬가지로 현대의 여성운동의 뿌리라고 볼 수 있다. 억압과 착취 속에서 인간의 최소한의 권리를 주장한 70년대 여성근로자들의 노동 투쟁은 우리 역사 속에서 현재보다 더욱 부각되어 마땅한 위업이라고 생각한다. 본론의 끝 무렵에 제기한 전국여성노동조합은 70년대 여성근로자들의 노동투쟁과 그 목적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다행인 것은 현재는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양성 평등적인 차원을 논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성노동자들의 권익 보호는 아직도 미비하다. 직장 내 성희롱 사건이나 여성 근로자에 대한 차별은 아직까지도 사회 곳곳에 퍼져 있고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단순한 사회적인 관심 대상이 아닌 실질적인 개선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인이 이 레포트에서 밝히고자한 점을 요약해 보자면 70년대 노동운동은 노동시장에서 가장 열악한 조건에 처해 있었던 노동자들의 집단적인 불만 표출이었고, 전형적으로 여성노동자들이 이러한 조동시장에서의 주죽을 이루었으며 여성 조동운동은 가부장제적 공장전제주의에 대한 저항이었다는 것이다. 물론 70년대 여성 노동운동에도 비판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그것은 70년대 여성 노동운동은 종교 단체의 활동을 통해 그 불만이 표출 되었다는 점인데 이는 80년대 노동 운동의 쇠퇴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80년대 여성 노동운동의 침체는 노동시장에서의 핵심적인 노동력인 남성 노동자들의 노동운동이 활성화 되면서 나타났다. 이는 여성노동시장의 특성인 결혼이나 출산 등으로 인한 단절적인 고용과 고용의 불안정과 같은 외부노동시장의 속성과 여성 노동운동이 종교단체들에 f의해서 성장되었기 때문에 조직으로서의 자생력이 약했기 때문이었다. 더욱 결정적인 취약점은 민주화 운동과 연결되지 못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나는 이번 발표를 위해 70년대 여성 노동 운동에 대해 정리하면서 평소 간과하고 넘어 갔던 사실들은 깨닫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70년대 노동운동이 단순히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의 분신자살로서 대변되는 시대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나는 이번 자료 수집과 정리를 통해 여성의 노동운동이 현재의 우리 노동 현실에 얼마나 많은 공헌을 하였는지 알게 되었다. 70년대, 갓 스물이 넘은 여공들이 기업과 정부라는 거대한 조직에 맞서 투쟁해야만 했던 그 암울한 시기를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신광영, 김현희 “여성과 노동운동: 70년대 여성노동운동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1996
- 이태호, “불꽃이여 어둠을 밝혀라”
- 조영래, “전태일 평전” 돌베개, 2001
- 이상우, “저널리스트 이상우가 쓰는 비화: 70년대 여성 노동운동의 기수들”
- 이주희 외 13명, “21세기 한국노동운동의 현실과 전망: 한국노동연구원 21세기 노동운동포럼” 한울아카데미, 2002
- 전태일 기념사업회 http://www.juntaeil.org/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11.04
  • 저작시기201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8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