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적 인지이론]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이론(비고츠키의 생애, 고등정신의 발달, 언어와 사고의 발달단계,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이론(비고츠키의 생애, 고등정신의 발달, 언어와 사고의 발달단계,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비고츠키의 생애

II. 고등정신의 발달

III. 언어와 사고의 발달단계
1. 1단계 : 원시적 언어단계
2. 2단계 : 순수심리적 언어단계
3. 3단계 : 자아중심적 언어단계
4. 4단계 : 내적 성장 언어단계

IV. 인지발달에 대한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견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인이든 좀 더 유능한 사회적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에서 전달받은 사회적 경험이 개인 안에 내면화됨으로써 인지적 성장이 촉진된다고 보았다.
둘째, 자아중심적 언어에 대한 시각이 다르다. 때아제는 아동의 자아중심적 언어가 전조작기의 자아중심적 사고로 인해 나타난다고 보았다. 따라서 독백형태의 자아중심적 언어는 구체적 조작기에 의해 자아중심적 사고가 극복되기 시작되는 7, 8세경이면 사라진다고 보았다. 구체적 조작기가 되어야 아동은 자아중심적 언어와는 달리, 듣는 사람의 관점을 고려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회적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와 달리 비고츠키는 미숙한 인지발달로 인해 자아중심적 언어가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문제의 해결을 추구하고 계획을 주도하기 위한 자기-지시 및 자기-조절의 사고수단으로 자아중심적 언어가 사용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자아중심적 언어는 사고의 질적인 발달에 의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내적 언어로 내면화되어 지면서 감소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피아제는 논리적 사고의 발달을 통해 자아중심적 언어가 사라지고 사회적 언어가 나타난다고 보는 반면, 비고츠키는 외적 언어인 자아중심적 언어가 내적 언어로 진행되면서 논리적 사고가 발달한다고 보았다.
셋째, 인지발달과 언어를 보는 시각이 다르다. 배아제는 인지발달을 통해 언어가 발달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언어의 발달은 아동의 사고나 인지발달에 있어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보았다. 이에 반해 비고츠키는 언어는 사고나 인지발달에 공헌하며 사고란 사고의 도구인 언어를 습득하면서 발달한다고 보았다.
넷째, 교육과 인지발달 간의 관계를 보는 시각이 다르다. 피아제는 인지발달과 교육은 독립적인 것으로, 인지발달이 선행된 후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반해 비고츠키는 교육과 인지발달은 복잡한 역동적 관계(力動的 關係)로 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교육은 인지발달에 선행될 때만이 훌륭한 것이고, 훌륭한 교육은 인지의 발달적 진보를 가져온다고 보았다.
특히 근접발달지대(近接發達地帶,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내에서 이루어지는 아동과 유능한 사회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은, 교육을 통한 가장 효율적인 인지적 성장의 기회라고 보았다. 근접발달지대란 독자적인 문제해결시, 아동이 보이는 실제적 발달수준과 유능한 사회구성원과의 협력으로 아동이 성취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수준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아동은 유능한 사회구성원의 지도나 교육을 통해, 자신의 현재 인지발달 수준보다 약간 앞서 있는 인지발달 수준
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사고의 확산, 문제해결력의 향상이라는 인지적 발달을 경험하게 된다. 비고츠키는 배아제와 달리 교육이 발달을 주도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배아제와 비고츠키는 인지발달에 관한 몇 가지의 시각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아동을 생물학적 유기체라고 가정하였다는 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인지발달에 있어 자연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社會的 側面) 모두를 인정하였다는 점(Glassman, 1994), 발달이나 학습에서 아동의 능동적 참여를 강조했다는 점에서는 일치된 견해(見解)를 보이고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7.11.10
  • 저작시기201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89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