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초음파검사란?
1) 초음파 검사 종류
2) 검사 전 간호
3) 초음파 검사 후 간호
2. 심장 초음파
3. 뇌 초음파
4. 갑상선/부갑상선 초음파
5. 흉부 초음파
6. 복부 초음파
7. 신장 초음파
8. 방광 초음파
9. 유방 초음파
10. 산과 초음파
1) 초음파 검사 종류
2) 검사 전 간호
3) 초음파 검사 후 간호
2. 심장 초음파
3. 뇌 초음파
4. 갑상선/부갑상선 초음파
5. 흉부 초음파
6. 복부 초음파
7. 신장 초음파
8. 방광 초음파
9. 유방 초음파
10. 산과 초음파
본문내용
지방간의 정기적인 추적 검사
2) 검사 목적
-간/담도/췌장의 병변을 진단
-이상소견이 있을 경우 질환을 확인
-초음파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간종양, 간실질, 췌장종양 등 조직검사를 시행
3) 과정
① 상복부 장기들이 잘 보이게 하기 위해 대상자는 숨을 들여마시거나 배를 불리도록 한다.
②충수돌기 검사는 우측 아랫배에서 가장 아픈 곳을 직선형태의 탐촉자를 이용해 누르면서 시행한다.
4) 종류
▣ 복부/대동맥 초음파
대동맥 진단의 보조, 복부혈관이 좁아지거나 넓어져 있는지 알아보고 그 크기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안전하여 대혈관의 크기가 변화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6개월마다 할 수 있다.
▣ 비장 초음파
비장과 복부 장기주위의 외상이나 병리를 진단하는데 보조적인 검사로서 사용되고 있다.
-비장의 외상으로 인한 급성 통증 때문에 대상자는 비장 부위에서 심한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 췌장 초음파
진단을 보조하는 역할이며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췌장의 방사선 동위원소 검사를 병행하거나 확진을 위해 생검과 컴퓨터 단층 촬영을 할 수 있다.
▣ 간/담도계 초음파
간 초음파 검사는 간기능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방사성 동위원소 검사를 함께 할 수 있으며, CT와 간생검을 병행하여 확진할 수 있다. 진단적 초음파 검사는 신체의 모든 조직 검사에 유용하며 임신 중에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담석을 수반하는 담낭염] [괴저성 담낭염]
*주의사항
-대상자가 이전에 바륨 조영제를 사용한 경우 하제를 사용하여 미리 바륨을 모두 배설하도록 한다. 초음파는 바륨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바륨이 있으면 검사가 잘 시행되지 않는다.
7. 신장 초음파
1) 적응증
-신장의 종괴
-신장이나 요관의 결석
-만성 사구체 신염과 말기 신부전
-신장종양이나 신장이식
2) 목적
-신장의 종괴가 낭종인지 고형 종양인지 구별하기 위함
-신장결석이나 요관, 신우 결석을 확인하기 위함
-기능부전 상태인 신장의 크기, 모양, 위치를 확인하기 위함
-신장종양에 대한 방사선 요법이나 화학 요법 등의 치료를 계획하거나 평가하기 위함
-신장이식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함
3) 결과 해석
①신장의 크기, 형태, 위치가 정상 또는 정상이 아니다.
②종괴, 결석, 염증이나 수신증이 없으면 정상소견이다.
8. 방광 초음파
1) 적응증
-비뇨기계 폐쇄
-방광벽이나 골반의 종양
2) 검사 목적
-배뇨 후 잔뇨를 사정
-방광의 위치나 윤곽의 변화로 알수 있는 방광벽이나 골반의 종양을 발견하기 위함
9. 유방 초음파
이 검사는 X-선 유방 조영술을 수행할 수 없는 대상자에게 정기적으로 시행된다. 만약 임신한 여성처럼 X-선에 노출되면 안되는 경우 유방 조영술 대신에 혹은 보조적으로 시행된다.
1) 적응증
-섬유낭종성 유방
-X-선 유방 조영술의 방사선에 노출할 수 없는 임산부
-유방에서 멍울이 만져지나 유방촬영술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2) 목적
-유방조영술과 함께 실시하여 아주 작은 종양을 조기 발견하기 위함
-임산부나 수유부에게 안전하고 정확한 유방검사를 위함
4) 검사 과정
①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포를 덮어준다.
10. 산과 초음파
임부에게 시행하는 검사로서 태아와 태반을 영상화 하기 위해 시행된다.이 검사는 태아의 구조적 이상, 크기, 성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태아의 심박동이나 호흡운동을 감시하기 위해 도플러 기법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임신한 자궁은 양수로 차 있기 때문에 태아와 태반을 평가하는 이상적인 방법이다.
1) 적응증
-임신 제1기, 보통 4~5주
-임신 20주 이후
-제태연령 측정 시
-태아심음과 움직임이 없을 때
-임신이나 다태임신
-태반 조기박리와 전치태반
-자궁과 난소 확대 등의 감별진단이 필요한 경우
2) 검사 목적
-태아의 심장과 호흡운동을 평가하여 고위험 임신을 발견하기 위함
-태아 성장 속도를 측정하고 도플러 검사로 제대동맥, 자궁동매그 태아 대동맥을 평가하여 자궁 내 태아 성장지연을 알아보기 위함
-태반과 태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함
-뇌수종, 수막척수류, 골격결손, 신장 이상, 장 폐쇄, 심장 결손, 태아 기형을 확인하기 위함
3) 검사 과정
①대상자를 앙와위로 눕히거나 대정맥의 압박을 완화시키기 위해 좌측위를 취한다.
②실시간 영상으로 태아의 움직임을 스크린을 통해서 볼 수 있다.
③질식 초음파를 시행할 경우 방광이 가득 차 있지 않아도 되며, 임신 제1기를 지나면 시행되지 않는다.
[ 입체 초음파 모습 ] [ 임신 중기 초음파 ]
2) 검사 목적
-간/담도/췌장의 병변을 진단
-이상소견이 있을 경우 질환을 확인
-초음파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간종양, 간실질, 췌장종양 등 조직검사를 시행
3) 과정
① 상복부 장기들이 잘 보이게 하기 위해 대상자는 숨을 들여마시거나 배를 불리도록 한다.
②충수돌기 검사는 우측 아랫배에서 가장 아픈 곳을 직선형태의 탐촉자를 이용해 누르면서 시행한다.
4) 종류
▣ 복부/대동맥 초음파
대동맥 진단의 보조, 복부혈관이 좁아지거나 넓어져 있는지 알아보고 그 크기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안전하여 대혈관의 크기가 변화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6개월마다 할 수 있다.
▣ 비장 초음파
비장과 복부 장기주위의 외상이나 병리를 진단하는데 보조적인 검사로서 사용되고 있다.
-비장의 외상으로 인한 급성 통증 때문에 대상자는 비장 부위에서 심한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 췌장 초음파
진단을 보조하는 역할이며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췌장의 방사선 동위원소 검사를 병행하거나 확진을 위해 생검과 컴퓨터 단층 촬영을 할 수 있다.
▣ 간/담도계 초음파
간 초음파 검사는 간기능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방사성 동위원소 검사를 함께 할 수 있으며, CT와 간생검을 병행하여 확진할 수 있다. 진단적 초음파 검사는 신체의 모든 조직 검사에 유용하며 임신 중에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담석을 수반하는 담낭염] [괴저성 담낭염]
*주의사항
-대상자가 이전에 바륨 조영제를 사용한 경우 하제를 사용하여 미리 바륨을 모두 배설하도록 한다. 초음파는 바륨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바륨이 있으면 검사가 잘 시행되지 않는다.
7. 신장 초음파
1) 적응증
-신장의 종괴
-신장이나 요관의 결석
-만성 사구체 신염과 말기 신부전
-신장종양이나 신장이식
2) 목적
-신장의 종괴가 낭종인지 고형 종양인지 구별하기 위함
-신장결석이나 요관, 신우 결석을 확인하기 위함
-기능부전 상태인 신장의 크기, 모양, 위치를 확인하기 위함
-신장종양에 대한 방사선 요법이나 화학 요법 등의 치료를 계획하거나 평가하기 위함
-신장이식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함
3) 결과 해석
①신장의 크기, 형태, 위치가 정상 또는 정상이 아니다.
②종괴, 결석, 염증이나 수신증이 없으면 정상소견이다.
8. 방광 초음파
1) 적응증
-비뇨기계 폐쇄
-방광벽이나 골반의 종양
2) 검사 목적
-배뇨 후 잔뇨를 사정
-방광의 위치나 윤곽의 변화로 알수 있는 방광벽이나 골반의 종양을 발견하기 위함
9. 유방 초음파
이 검사는 X-선 유방 조영술을 수행할 수 없는 대상자에게 정기적으로 시행된다. 만약 임신한 여성처럼 X-선에 노출되면 안되는 경우 유방 조영술 대신에 혹은 보조적으로 시행된다.
1) 적응증
-섬유낭종성 유방
-X-선 유방 조영술의 방사선에 노출할 수 없는 임산부
-유방에서 멍울이 만져지나 유방촬영술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2) 목적
-유방조영술과 함께 실시하여 아주 작은 종양을 조기 발견하기 위함
-임산부나 수유부에게 안전하고 정확한 유방검사를 위함
4) 검사 과정
①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포를 덮어준다.
10. 산과 초음파
임부에게 시행하는 검사로서 태아와 태반을 영상화 하기 위해 시행된다.이 검사는 태아의 구조적 이상, 크기, 성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태아의 심박동이나 호흡운동을 감시하기 위해 도플러 기법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임신한 자궁은 양수로 차 있기 때문에 태아와 태반을 평가하는 이상적인 방법이다.
1) 적응증
-임신 제1기, 보통 4~5주
-임신 20주 이후
-제태연령 측정 시
-태아심음과 움직임이 없을 때
-임신이나 다태임신
-태반 조기박리와 전치태반
-자궁과 난소 확대 등의 감별진단이 필요한 경우
2) 검사 목적
-태아의 심장과 호흡운동을 평가하여 고위험 임신을 발견하기 위함
-태아 성장 속도를 측정하고 도플러 검사로 제대동맥, 자궁동매그 태아 대동맥을 평가하여 자궁 내 태아 성장지연을 알아보기 위함
-태반과 태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함
-뇌수종, 수막척수류, 골격결손, 신장 이상, 장 폐쇄, 심장 결손, 태아 기형을 확인하기 위함
3) 검사 과정
①대상자를 앙와위로 눕히거나 대정맥의 압박을 완화시키기 위해 좌측위를 취한다.
②실시간 영상으로 태아의 움직임을 스크린을 통해서 볼 수 있다.
③질식 초음파를 시행할 경우 방광이 가득 차 있지 않아도 되며, 임신 제1기를 지나면 시행되지 않는다.
[ 입체 초음파 모습 ] [ 임신 중기 초음파 ]
추천자료
검사실보고서
결핵성 복막염
비만 운동법
hepatocellular carcinoma (간세포암)
진단검사-위장계,간.담도계,혈액계,순환기계,호흡기계,신 요로계
만성 신부전증(CRF)
소화기 내과 - 수술 및 검사
외과실습 충수돌기염 케이스
성인간호학 응급실 실습 충수돌기염 (Appendicitis) 케이스 스터디
문헌 고찰 - gb polyp
(A+)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자궁경관무력증 IIOC, 유산(abortion) 케이스스터디
<모성간호학 실습>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Leiomyoma of uterus(자궁근종)
간경변 간호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