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검사-위장계,간.담도계,혈액계,순환기계,호흡기계,신 요로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위장계 검사
1.UGI
2.Barium enema
3.Gastroscopy
4.Procto-sigmoidoscopy
5.GJA(gastric juice analysis)

★간.담도계 검사
1.간생검
2.Peritoneoscopy(복막경검사)
3.간스캔
4.경피경간담관조영검사
5.역행성 내시경 취담관 조영술
6.Hepatobilliary Scan
7.abdomen MRI
8.abdomen CT

★혈액질환검사
1.Bone marrow aspiration
2.일반혈액화학적 검사
3.Bleeding time
4.Prothrombin time
5.Partial thromboplastin time(PTT)

★순환기계질환검사
1.Electrocardiogram(EKG, ECG)
2.심도자술(Cardiac catheterization)
3.심초음파도(Echocardiogram)
4.운동부하검사(Treadmil exercise test)
5.폐동맥계입압측정(Pulmonary artery wedge pressure : PAWP)

★호흡기계질환검사
1.Chest X-ray
2.폐단층촬영
3.기관지 조영술
4.기관지경검사
5.폐생검
6.동맥혈 가스분석검사(Aterial Blood Gas Analysis : ABGA)

★호흡기계
1.폐혈관조영술(pulmonary angiogram)
2.폐조사(lung scintigraphy or lung scan)
3.폐 초음파 검사(pulmonary echogram)
4.늑막천자(pleural aspiration/thoracemtesis)

★내분비계
1.OGGT(경구포도당 내성 시험법)
2.thyrotropin(TSH)검사
3.FBS(공복시 혈당 측정법)
4.PP2hrs(식후 2시간후 혈당 측정법
5.Urine Sugar Test

★신 요로계 질환 검사
1.소변분석검사 (urinalysis)
2.KUB(kidney, ureter, bladder)
3.역행성신우촬영 (retrograde pyelogram : RGP)
4.요로조영술(excretory urogram :EUG)
5.방광조영술 (cystography)
6.방광경검사 (cystoscopy
7.신혈관조영술(renal angiography)
8.Renal biopsy(신장 생검)
9.Renal ultrasonogram (신장 초음파 검사)

본문내용

촬영)
4.검사 후 간호
1)경한 정도의 혈뇨, 요통, 배뇨시 통증 및 빈뇨 등이 있으며 대개는 일과성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소실되는 것을 교육한다.
2)증상 완화를 위해 아랫배에 온찜질을 하기도 한다.
3)만약 혈뇨가 심하게 나타나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4)방사선에 노출되는 검사이므로 임산부의 경우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만 시행한다.
요로조영술(excretory urogram :EUG)
1.목적: 요도나 방광에의 손상이나 종양, 구조적 이상 등을 살피고, 실금시에 배뇨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방광과 같이 하기도 따로 하기도 한다.
2.방법: 위를 향하고 누으면 카테터 삽입하고 음성조영제인 기체(공기 등)나 양성조영제(요오드)를 주입해 촬영한다.
3.검사 전 간호: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 조사 (있더라도 금기는 아니다.)
4.검사 후 간호
1)기구 사용으로 인해 감염의 위험이 있다.
2) 카테터 제거 후 X-선 촬영을 한 후에 배뇨하게 한다.
방광조영술 (cystography)
1.목적: 방광 안의 여러 병인에 관한 형태적 또는 기능적 정보를 얻을 뿐만 아니라, 방광에 가까운 장기(자궁 직장 전립선 등) 질환의 진단에도 도움이 된다.
2.방법: 위를 향하고 누으면 카테터 삽입하고 음성조영제인 기체(공기 등)나 양성조영제(요오드)를 주입해 촬영한다.
3.검사 전 간호: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 조사 (있더라도 금기는 아니다.)
4.검사 후 간호
1)기구 사용으로 인해 감염의 위험이 있다.
2) 카테터 제거 후 X-선 촬영을 한 후에 배뇨하게 한다.
방광경검사 (cystoscopy)
1.목적:방광벽의 종양, 결석, 궤양을 직접적으로 시진하거나 수술 전 전립선 요도부 시진하기 위해 사용한다. 간 신장으로부터 검체물 얻거나 신장의 기능 검사 또는 요도구의 위치와 윤곽 확인하고 결석 제거 방광, 요도, 전립선 병변 치료를 위해 사용한다.
2.방법: 방광경으로 요도, 요도전입선부, 방광을 관찰
3.검사 전 간호
1)회음부를 항생제 용색으로 검사 직전에 소독한다.
2)방광경 삽입 전에 국소 마취제를 요로에 점적
3)검사 중에도 소변이 계속 생성 중이며, 때문에 도중에 배뇨감을 느낄수 있을것임을 설명해 준다.
4)요로 감염이 있는 사람에게는 금기 임으로 반드시 확인한다.
4.검사 후 간호
1) 합병증 관찰 -요정체, 비뇨기 출혈, 전립선이나 방광 내 감염
2) 배뇨시 작열감이 있을 수 있으며, 혈액이 섞인 요와 점막 자극으로 인한 빈뇨가 있을 수 있음을 알려준다.
3)전립선 비대가 있는 환자는 삽입으로 인한 부종으로 요 정체가 있을수 있음을 알려주고 관찰한다.
4)하복부에 열감을 주거나 좌욕은 통증을 완화하고,근육이완 촉진에 유용하다는 것을 교육한다.
5)요정체가 지속 될 경우 정체 요도관을 삽입한다.
신혈관조영술(renal angiography)
1.목적: 혈류 역동석 평가하거나 복부의 혈관계, 신장의 낭포와 종양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종양의 경우에는 신장절제술 전의 신동맥의 색전술을 위해 실시한다
2.방법: 도관 ->대퇴, 장골 동맥 -> 대동맥,신동맥(조영제는 신동맥의 분포를 보기위하여 주입)
3.검사 전 간호
1)검사 전잘 자정부터 맑은 용액만 먹도록한다.
2)경구투약은 계속한다.(당뇨환자의 경우 특별한 처방이 필요하다.)
3)정맥주사가 필요하다.
4.검사 후 간호
1)사용된 다리를 똑바로 한 채 침대에서 8시간 동안 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2)혈종이나 출혈이 없는지 관찰하고 주시한다.
3)출혈이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모래주머니를 침대에 비치하도록 한다.
방광내압 및 요도압력 측정(cystometrography & rueteral pressure profile)
1.목적: 요실금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 방광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시행
2.방법: 검사실로 이동해 self boding 후 요도 통해 방광으로 관 삽입해 잔뇨 측정한다. 물이나 가스 투입 하고 압력 측정 (뇨의를 느끼는 시기와 참지 못하는 시기 관찰) 한 다음 배뇨하면서 압력 측정한다.
3.검사 전 간호
1)검사를 위해 미리 준비해야하는 전 처치는 없다.
2)요도, 방광 등 요로계통에 감염이나 염증이 있는 경우에는 시행하지 못하므로 확실한 사정이 필요하다.
4.검사 후 간호: 외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혈뇨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Renal biopsy(신장 생검)
1.목적: 신장 질환의 진단, 치료 예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2.방법: 초음파를 이용한 경피적 바늘 생검 또는 옆구리의 작은 절개를 통한 개방성 생검에 의해 행해진다.
3.검사 전 간호
1)출혈위험을 확인하기 위해 응고검사를 한다.
2)검사전 8시간 동안 금식을 한다.
3)IV 수액을 투여한다.
4) 바늘이 삽입되는 동안 신장이 움직이지 않도록 호흡을 멈추도록 교육 한다.
4.검사 후 간호
1)즉시 복위를 취하고 출혈 예방을 위해 24시간 동안 침산 안정 시킨다.
2)spacial v/s check.
3)측부요통이나 산통을 사정한다,
4)요통, 견갑통, 배뇨이상을 사정한다,
5)복부에 커지는 혈종이 만져지는지 촉진, 지속적 출혈을 의심해 복 출혈이 확인된 후에는 촉진하지 않는다.
6)빈뇨와 긴박뇨 호소를 사정한다.
7)신부전이 없는 경우 하루에 3000ml 수분 섭취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8)빈혈을 사정한다.
9)수혈과 외과적 중재를 준비해 둔다.
10)최소한 2주 동안 격렬한 운동, 활동, 무거운 물건 들기 등을 삼가라고 교육한다.
11)측부 통증, 혈뇨, 경미란 어지러움, 실신, 빠른 맥박, 출혈의 증상과 징후를 보고 하라고 교육한다.
12)생검 1~2개월 후 추후관리한다.
Renal ultrasonogram (신장 초음파 검사)
1.목적: 양, 기형, 폐쇄같은 비정상을 확인하고.고형과 액체 덩어이를 구분한다.
2.방법: 음파를 체내로 투과해 구성성분에 따라 각기 다른 차장으로 돌아오는 것을 검사한다,
3.검사 전후 간호
1)방광이 채어져 있어야 하므로 검사 전에 소변을 봐서는 안된다는 것을 교육한다.
2)검사 2일 전에는 바륨을 사용하는 검사를 해서는 안된다.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7.12.18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1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